KR200422222Y1 - 두유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두유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222Y1
KR200422222Y1 KR2020060012076U KR20060012076U KR200422222Y1 KR 200422222 Y1 KR200422222 Y1 KR 200422222Y1 KR 2020060012076 U KR2020060012076 U KR 2020060012076U KR 20060012076 U KR20060012076 U KR 20060012076U KR 200422222 Y1 KR200422222 Y1 KR 200422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milk
fixed
filter
movable
spli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숭기
윤종희
Original Assignee
정숭기
윤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숭기, 윤종희 filed Critical 정숭기
Priority to KR2020060012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과기 본체는 양측 드럼수용실의 경계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되는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분할본체의 일측 조립부와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에는 패킹이 삽입 설치되는 패킹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분할본체의 일측 조립부와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에는 상기한 패킹을 탄력적으로 압착하면서 패킹홈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압착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들의 일측 조립부 및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의 상단부분에 형성된 조립홈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바가 조립되어지며,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들의 일측 조립부와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의 상,하측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하도록 형성된 조립공을 통해 삽입 설치되며, 상기한 고정 분할본체의 조립부 및 두유포집부측에서는 후단이 캡너트로 나사체결되는 한편, 상기한 가동 분할본체측에서는 압축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는 조임구가 각각 나사조립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두유여과장치, 여과기 본체,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 여과드럼, 스크레이퍼, 밸브판, 간격조절볼트

Description

두유여과장치{Filtering apparatus for soybean milk}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두유여과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두유여과장치의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의 분리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본 고안의 두유여과장치의 비지배출상태를 나타내는 밸브판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양측 여과드럼의 간격을 미세조정하기 위하여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의 간격조절작동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양측 여과드럼의 간격조절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프레임 2 : 콘트롤박스
21 : 콘트롤판넬 3 : 여과기 본체
3a,3b :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
31,32 : 드럼수용실 33,34 : 고정 및 가동 조립부
35,36 :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
37,38 : 패킹 4 : 연결바
5a,5b,5c,5d : 간격조절볼트 51 : 캡너트
52 : 압축스프링 54 : 조임구
6a,6b : 여과드럼 62 : 베이스드럼
63 : 금속박판 64 : 미세구멍
65 : 회전축 66 : 축지지구
67 : 배출공간 7 : 모터
7a : 구동기어 7b : 연동기어
8 : 밸브판 8a,8b : 스크레이퍼
81 : 스프링 82 : 배출공간
9 : 뚜껑체 91 : 수용실덮개부
92 : 포집부덮개부 93 : 두유즙 공급관
94 : 분배공 95 : 두유즙 분배관
본 고안은 콩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두부 또는 두유음료 등의 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쇄공정을 거친 생두유즙 또는 증숙두유즙을 두유와 비지(또는 찌꺼기)를 분리하는 두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두유여과장치의 본체에 서로 마주게 대설되는 양측 여과드럼의 간격을 미세조정이 가능케 하므로서 두유의 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과기 본체를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로 분할 형성하고, 일측의 가동분할본체를 타측의 고정분할본체에 대하여 설치간격 을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수단으로 양측으로 분할 형성된 고정 및 가동 분할분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양측 여과드럼의 간격을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두유여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분쇄된 두유즙에서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기 위한 두유여과기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314999호(2001. 11. 13. 공개)로 공개된 것이 있다.
상기한 두유여과기는, 비교적 큰 구멍(대략 5∼30mm 직경)들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베이스 드럼에 미세한 구멍(대략 0.1∼0.9mm 직경)이 무수히 형성된 금속박판이 감겨있는 좌,우 양측의 여과드럼이 본체 내부에 서로 근접시킨 상태로 수평상으로 평행하게 대설해 놓고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상태로 회전되게 하는 구성으로 본체의 투입구로 주입된 두유즙을 짜주는 방법으로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양측 여과드럼에서 일차적으로 두유를 짜낼 때 걸러진 비지가 배출되는 양측 여과드럼의 저부에는 이들 양측 여과드럼의 외주에 부착되는 비지를 긁어내기 위한 두개의 양측 스크레이퍼와, 이들 양측 스크레이퍼 사이의 배출통로에는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된 밸브판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두유여과기는 본체의 주입구로 주입되는 두유즙이 양측 여과드럼 사이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압축되어 두유는 양측 여과드럼 외주의 금속박판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으로 통해 양측 여과드럼 속으로 유입되고 금속박판의 미세한 구멍으로 여과되지 아니한 비지는 양측 여과드럼을 통과하여 양측 스크레이퍼에 의해 양측 여과드럼에서 탈락되어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어지는데, 이때 두유즙을 여과하는 초기에는 양측 여과드럼에서 짜여지면서 양측 스크레이퍼에 의해 탈락되는 비지의 량이 적기 때문에 양측 스크레이퍼 사이의 체류공간에는 비지의 배출압력이 약한 상태가 되어 양측 스크레이퍼 사이의 배출통로에 탄력설치된 밸브판이 그 배출통로를 차단하여 비지의 배출을 억제하게 되므로서 두유즙의 여과작동 초기에는 비지가 배출되지 않게 되지만 계속되는 양측 여과드럼의 여과작동에 의해 양측 스크레이퍼 사이의 체류공간에 비지의 량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밸브판에 작용되는 비지의 배출압력이 커지게 되면 증가되는 배출압력이 밸브판을 밀어내게 되므로서 배출통로가 개방되어 비지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양측 여과드럼의 압축작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짜여진 비지가 상기한 체류공간에서 포집되는 비지의 량이 증가됨에 따라 체류공간에서 비지가 이차적으로 짜여지는 작용이 나타나 양측 여과드럼의 압축작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짜여지지 않고 비지에 함유되어 있는 두유가 상기한 체류공간에서 이차적으로 짜여지도록 하므로서 두유의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본체 내부에 좌,우 양측으로 대설되어 있는 양측 여과드럼의 설치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두유의 여과효율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양측 여과드럼을 처음부터 너무 미세한 간격으로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두유즙이 양측 여과드럼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 두유의 여과작동이 더디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와 반대로 양측 여과드럼을 처음부터 설치간격을 넓게 이격시켜서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양측 여과드럼 사이로 많은 량의 두유즙이 통과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 두유즙이 제대로 압착되지 않고 통과하게 되어 두유의 수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두유여과기를 제작할 때 양측 여과드럼을 두유의 여과효율이 가장 바람직한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하지만, 통상 두유즙은 그 분쇄상태에 따라 비지의 입자 크기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좌,우측 여과드럼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방법은 두유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구조로서는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66757호로 제안된 두유여과기는 여과기 본체의 좌,우측에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좌,우 양측의 로울러설치부 각각에 큰 구멍으로 된 콩물출입공이 다수 형성된 압착로울러(또는 베이스드럼) 외주에 미세여과망을 이중으로 감싼 구조로 되어 양측 여과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좌,우 양측의 로울러설치부 내면과 양측 여과드럼 사이에 콩물배출구를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는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압착로울러에 이중구조로 설치되는 미세여과망 자체가 위사와 경사로 짜여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양측 여과드럼의 외주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양측 스크레이퍼가 양측 여과드럼의 외면에 형성된 미세여과망의 외주에 부착되는 비지를 제대로 긁어줄 수 없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양측 스크레이퍼에 의해 탈락되지 않고 미세여과망에 부착된 채로 회전이송되는 비지가 콩물배출구로 떨어지게 될 경우에는 콩물배출구로 배출되는 콩물에 비지가 혼입된 상태로 배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두부식품을 제조하는 업계에서나 두유음료 등을 제조하는 업계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두유즙의 분쇄상태에 따라서 두유즙을 짜내는 좌,우 양측 여과드럼의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두유즙의 분쇄상태에 상관없이 두유즙을 효율적으로 압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여과기 본체로 주입되는 두유즙이 좌,우 양측의 여과드럼에 고르게 분배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두유즙의 압착효율의 향상을 꾀하여 두유의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드럼수용실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기 본체와, 큰 구멍이 다수 형성된 베이스드럼과 이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두유즙에서 두유는 통과시키고 비지는 걸러내는 미세구멍이 무수히 형성된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채 상기한 양측 드럼수용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 여과드럼과,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양측 여과드럼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회전축 일측에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는 구동 및 연동기어와, 상기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금속박판에 부착되는 비지를 긁어내기 위하여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저부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양측 스크레이퍼와, 상기 양측 스크레이퍼 사이에 형성된 배출통로를 차단 및 개방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는 밸브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두유여과장 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본체는 양측 드럼수용실의 경계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되는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분할본체의 일측 조립부와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에는 패킹이 삽입 설치되는 패킹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분할본체의 일측 조립부와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에는 상기한 패킹을 탄력적으로 압착하면서 패킹홈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압착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들의 일측 조립부 및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의 상단부분에 형성된 조립홈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바가 조립되어지며,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들의 일측 조립부와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의 상,하측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하도록 형성된 조립공을 통해 삽입 설치되며, 상기한 고정분할본체의 조립부 및 두유포집부측에서는 후단이 캡너트로 나사체결되는 한편, 상기한 가동분할본체측에서는 압축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는 조임구가 각각 나사조립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상기한 조임구들을 나사조임방향이나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분할본체에 설치된 일측 여과드럼과 가동분할본체에 설치된 타측 여과드럼과의 간격을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 각각에 설치된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상부로 두유즙을 균등한 량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뚜껑체를 관통하는 두유즙 공급관의 끝단에는 상기 고정 및 가동 여과드럼의 경계부위 상방에 위치한 채 상기한 여 과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두유즙 분배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두유즙 분배관 양측에는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상방을 향해 두유즙을 동시에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분배공들이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두줄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두유 여과장치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두유 여과장치의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본 고안의 두유 여과장치의 비지배출상태를 나타내는 밸브판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양측 여과드럼의 간격을 미세조정하기 위하여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의 간격조절작동상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양측 여과드럼의 간격조절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지지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의 일측에는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판넬(21)이 전면으로 노출 설치된 콘트롤박스(2)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여과기 본체(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기 본체(3)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좌,우측(또는 전,후측)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 각각에는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드럼수용실(32)(3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 각각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두께가 두꺼운 판상으로 된 고정 및 가동 조립부(33)(34)가 형성되어 있 고, 타측에는 단면이 "ㄷ"자형으로 된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35)(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조립부(33)와 가동조립부(33) 그리고 고정두유포집부(35)와 가동두유포집부(36)들이 각각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는 조립면으로서, 상기 고정조립부(33)와 고정두유포집부(35) 각각에는 단면이 "ㄷ"자형으로 요입 형성된 패킹홈(331)(351)이 형성되더 있고, 상기 가동조립부(34)와 가동두유포집부(36) 각각에는 상기한 패킹홈(331)(351) 각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규격을 갖는 압착돌부(341)(36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에서의 고정조립부(33) 및 가동조립부(34) 각각에 형성되는 패킹홈(331) 압착돌부(341)은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두유포집부(35) 및 가동두유포집부(36) 각각에 형성되는 패킹홈(351) 및 압착돌부(361)은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조립부(33)와 고정두유포집부(35) 각각에 형성된 패킹홈(331)(351)에는 패킹(37)(38)이 각각 끼워져 있으며, 상기 고정두유포집부(35)에는 두유배출관(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의 고정조립부(33)와 가동조립부(34) 및 고정두유포집부(35)와 가동두유포집부(36) 각각의 상측에는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마주하도록 조립홈(332)(342),(352)(36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고정 및 가동 조립부(33)(34)에서 서로 마주하는 조립홈(332)(342)과 상기한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35)(36)에서 서로 마주하는 조립홈(352)(362) 각각에는 연결바(4) 가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며, 이와 같이 조립홈에 조립되는 상기의 연결바(4)는 복수의 체결볼트(41)에 의해 고정 및 가동 조립부(33)(34),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35)(36) 각각에 체결되는데, 상기한 연결바(4)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조립공은 도 2의 도시예와 같이 체결볼트(41)가 관통하는 원형조립공(42)과 트랙형조립공(43)이 각기 두개씩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고정조립부(33) 및 고정두유포집부(35) 각각의 조립홈(332),(352)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공(도시 생략)으로 체결볼트(41)의 나사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공은 원형조립공(42)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가동조립부(34) 및 가동두유포집부(36) 각각의 조립홈(342),(362)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공(도시 생략)으로 체결볼트(41)의 나사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공은 트랙형조립공(43)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연결바(4)에 원형조립공(42)과 트랙형조립공(43)을 구분하여 형성한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바(4)를 체결볼트(41)로 나사체결시킨 상태에서 가동분할본체(3b)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양측 여과드럼의 간격을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 각각의 고정 및 가동 조립부(33)(34)와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35)(36) 각각에는 서로 같은 위치의 상,하측에 관통하는 조립공(333,343)(353,3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조립공에는 간격조절볼트(5a,5b)(5c,5d)가 각기 하나씩 끼워진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한 각 조립공으로 끼워진 간격조절볼트 각각의 후단 즉, 고정분할본체(3a)의 고정조립부(33) 및 고정두유포집부(35)의 후방측에서 노출되는 후단에는 캡너트(51)가 나사체결되며, 가동분할본체(3b)의 가동조립부(34) 및 가동두유포집 부(36)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간격조절볼트(5a,5b)(5c,5d) 각각의 전단에는 압축스프링(52)과 조임구(53)가 각기 하나씩 차례로 조립되는데, 상기한 조임구(53)들은 압축스프링(5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로 간격조절볼트(5a,5b,5c,5d) 각각에 나사조립되어 고정분할본체(3a)에 대하여 가동분할본체(3b)의 설치간격을 미세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 각각에 형성된 드럼수용실(31)(32)에는 서로 평행하도록 마주하게 설치되는 양측 여과드럼(6a)(6b)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양측 여과드럼(6a)(6b) 각각은 직경이 대략 5∼9mm 정도인 큰 구멍(61)이 다수 형성된 베이스드럼(62)과 이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설치되는 금속박판(63)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한 금속박판은 외면이 매끄럽고 두유즙을 짜낼 때 두유는 통과시키고 비지는 걸러낼 수 있도록 0.1∼0.8mm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된 미세구멍(64)이 무수히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양측 여과드럼(6a)(6b) 각각의 회전축(65) 일단은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의 고정조립부(33)(3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헤리컬기어로 구성된 구동기어(7a)와 연동기어(7b)가 치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65) 각각의 타단은 베이스드럼(62)에 고정 부착된 축지지구(66)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의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35)(36)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축지지구(66)에는 베이스드럼(62) 내측으로 유입된 두유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공간(67)이 형성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그리고 상기한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35)(3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65)의 타단에는 메카니칼실(6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여과드럼(6a)(6b) 중 일측 여과드럼(6a)의 회전축(65)은 모터(7)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 여과드럼(6a)(6b) 각각의 저부측에는 금속박판(62) 외면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비지를 긁어내기 위한 양측 스크레이퍼(8a)(8b)가 각각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에 부착된 상태로 대설되어 있으며, 상기한 양측 스크레이퍼 사이에는 스프링(81)으로 탄력설치된 밸브판(8)이 배출통로(82)를 탄력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배출통로(82) 하방에는 비지배출판(8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여과기 본체(3)를 덮어주기 위한 뚜껑체(9)는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의 드럼수용실(31)(32)을 덮어주는 수용실덮개부(91)와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35)(36)을 덮어주는 포집부덮개부(9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용실덮개부(91)에는 두유즙 공급관(93)이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두유즙 공급관(93)에는 양측 여과드럼(6a)(6b) 상방으로 두유즙을 고르게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분배공(94)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양측으로 두줄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두유즙 분배관(9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체(9)의 수용실덮개부(91)와 포집부덮개부(92) 각각에는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 내부와 양측 여과드럼(6a)(6b)을 세척하는 세척수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관(96)과 세척수 회수관(9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체(9)의 플랜지에는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에 볼트로서 조립하기 위한 볼트조립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분할본체(3a)에 조립시키기 위한 볼트조립공은 원형조립공(98)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비추어, 상기 가동분할본체(3b)에 조립시키기 위한 되는 볼트조립공은 가동분할본체(3b)를 고정분할본체(3a)에 대하여 설치간격을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트랙형조립공(99)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콘트롤판넬(21)에 장착되어 있는 전원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모터(7)를 구동시키게 되면 치합되어 있는 구동기어(7a)와 연동기어(7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서 여과기 본체(3)에 설치되어 있는 양측 여과드럼(6a)(6b)이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두유즙을 짜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두유즙 공급관(93)을 통해 두유즙 분배관(95)으로 공급된 두유즙은 두줄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측의 분배공(94)을 통해 양측 여과드럼(6a)(6b)의 상방에 고르게 분배 공급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측 여과드럼(6a)(6b) 사이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착되어진다. 이와 같이 양측 여과드럼(6a)(6b) 사이에서 압착될 때 비지와 분리되는 두유는 양측 여과드럼의 금속박판(63)에 무수히 형성되어 있는 미세구멍(64)을 통해 양측 여과드럼(6a)(6b) 내측으로 유입되며, 두유와 분리되어 금속박판(63)을 따라 회전이송되는 비지는 양측 스크레이퍼(8a)(8b)에 의해 금속박판(63)에서 탈락되어 배출통로(82)로 떨어지게 되는데, 두유즙을 여과하는 초기에는 비지의 배 출량이 적기 때문에 배출통로(82)로 배출되는 비지의 배출압력이 낮은 상태이므로 밸브판(8)은 스프링(81)의 탄성력에 의해 배출통로(82)를 차단한 상태(도 3 참조)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 계속되는 양측 여과드럼(6a)(6b)의 회전작동에 의해 두유가 일차적으로 분리된 비지가 배출통로(82)의 상방에 쌓이면서 배출압력이 점차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압축될 때 비지에 함유되어 있는 두유가 이차적으로 분리되어 미세구멍(64)을 통해 양측 여과드럼(6a)(6b)으로 유입되는 것이며, 상기 배출통로(82)로 탈락되는 비지의 량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배출압력이 스프링(81)의 탄발력을 이길 정도로 높아짐에 따라 밸브판(8)은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배출통로(82)를 점차로 넓어지도록 개방시키게 되므로서 비지는 비지배출판(83)으로 배출되는 것인데, 상기 밸브판(8)이 배출통로(82)를 개방시키게 되더라도 양측 여과드럼(6a)(6b)에서 압착되어 두유가 일차적으로 여과된 비지는 배출통로(82) 상방에서 이차적인 압착작용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양측 여과드럼(6a)(6b)의 압착작동시 여과되지 아니한 채 비지에 함유되어 있는 두유는 배출통로(82) 상방에서 이차적으로 압착되므로서 두유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양측 여과드럼(6a)(6b)으로 유입된 두유는 축지지구(66)에 형성된 배출공간(67)을 통해서만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의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35)(36)로 배출시키게 되므로서 양측 스크레이퍼(8a)(8b)에 의해 탈락되지 아니한 상태로 양측 여과드럼(6a)(6b)의 금속박판(63)에 부착된 비지가 양측 드럼수용실(31)(32)쪽으로 이송되더라도 비지는 금속박판(63)에 형성된 미세구멍(64)을 통해 양측 여과드럼(6a)(6b)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서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 부(35)(36)에는 비지가 여과된 두유만 포집되는 것이며, 상기한 고정 및 가동 두유포집부(35)(36)로 포집되는 두유는 두유배출관(39)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두유즙을 압착하여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양측 여과드럼(6a)(6b)의 간격을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3a)(3b)를 체결하고 있는 간격조절볼트(5a,5b,5c,5d) 각각의 전단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각 조임구(53)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압축스프링(52)이 가동분할본체(3b)를 고정분할본체(3a) 쪽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분할본체(3b)의 가동조립부(34) 및 가동두유포집부(36) 각각에 돌출되어 있는 압착돌부(341)(361)가 패킹(37)(38)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패킹홈(331)(351) 속으로 진입하게 되며(도 7 및 도 8 참조), 이에 따라 가동분할본체(3b)에 장착되어 있는 여과드럼(6b)은 고정분할본체(3a)에 장착되어 있는 여과드럼(6a)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9의 도시와 같이 양측 여과드럼(6a)(6b)의 간격(d1)을 도 10의 도시와 같이 더 좁아진 간격(d2)으로 미세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여과기 본체를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로 분리 형성하는 수단으로 두유즙의 분쇄상태에 따라 양측 여과드럼의 간격을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두유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두유즙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두유즙을 양측 여과드럼의 상방에 고른게 분배시켜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두유즙의 압착작용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두유 의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드럼수용실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기 본체와, 큰 구멍이 다수 형성된 베이스드럼과 이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두유즙에서 두유는 통과시키고 비지는 걸러내는 미세구멍이 무수히 형성된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채 상기한 양측 드럼수용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 여과드럼과,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양측 여과드럼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회전축 일측에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는 구동 및 연동기어와, 상기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금속박판에 부착되는 비지를 긁어내기 위하여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저부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양측 스크레이퍼와, 상기 양측 스크레이퍼 사이에 형성된 배출통로를 차단 및 개방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는 밸브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두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본체는 양측 드럼수용실의 경계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되는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분할본체의 일측 조립부와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에는 패킹이 삽입 설치되는 패킹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분할본체의 일측 조립부와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에는 상기한 패킹을 탄력적으로 압착하면서 패킹홈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압착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들의 일측 조립부 및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의 상 단부분에 형성된 조립홈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바가 조립되어지며,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들의 일측 조립부와 타측 두유포집부 각각의 상,하측에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하도록 형성된 조립공을 통해 삽입 설치되며, 상기한 고정분할본체의 조립부 및 두유포집부측에서는 후단이 캡너트로 나사체결되는 한편, 상기한 가동분할본체측에서는 압축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는 조임구가 각각 나사조립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상기한 조임구들을 나사조임방향이나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분할본체에 설치된 일측 여과드럼과 가동분할본체에 설치된 타측 여과드럼과의 간격을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가동 분할본체 각각에 설치된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상부로 두유즙을 균등한 량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뚜껑체를 관통하는 두유즙 공급관의 끝단에는 상기 고정 및 가동 여과드럼의 경계부위 상방에 위치한 채 상기한 여과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두유즙 분배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두유즙 분배관 양측에는 양측 여과드럼 각각의 상방으로 두유즙을 고르게 분배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분배공들이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두줄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여과장치.
KR2020060012076U 2006-05-04 2006-05-04 두유여과장치 KR200422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76U KR200422222Y1 (ko) 2006-05-04 2006-05-04 두유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76U KR200422222Y1 (ko) 2006-05-04 2006-05-04 두유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222Y1 true KR200422222Y1 (ko) 2006-07-25

Family

ID=4177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076U KR200422222Y1 (ko) 2006-05-04 2006-05-04 두유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2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21B1 (ko) * 2009-11-18 2014-02-13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롤러식 고액 분리 장치
KR101362722B1 (ko) * 2009-11-09 2014-02-13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롤러식 고액 분리 장치
KR20240076982A (ko) 2022-11-24 2024-05-31 조경화 증숙 마쇄 대두의 고액 분리용 스퀴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22B1 (ko) * 2009-11-09 2014-02-13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롤러식 고액 분리 장치
KR101362721B1 (ko) * 2009-11-18 2014-02-13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롤러식 고액 분리 장치
KR20240076982A (ko) 2022-11-24 2024-05-31 조경화 증숙 마쇄 대두의 고액 분리용 스퀴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222Y1 (ko) 두유여과장치
MX2014011920A (es) Prensa extrusora de doble husillo para separacion solido / fluido.
AU2014358672A1 (en) Filtration system and filter assembly associated therewith
EP0203637B1 (en) Bandfilter press and band therefor
JP2007532295A (ja) 生ごみ処理機のクラッチ
JPS5912398B2 (ja) 連続式固液分離装置
CN100519450C (zh) 螺杆式淤泥脱水装置
KR200275721Y1 (ko) 산수유 탈피기
CN211279856U (zh) 一种植物油加工用压榨装置
JP2017522174A (ja) 押出し機プレスのための分割フィルタブロック
CN115536235A (zh) 一种具有反洗功能的污泥脱水用带式压滤机及使用方法
CN108579199A (zh) 一种蓝藻过滤装置
CN108325258A (zh) 多功能固液分离机及其反冲洗方法
KR100966889B1 (ko) 디스크 압착회전 방식 오폐수 여과기
CN218248701U (zh) 一种压滤机滤饼吹脱设备
CN216677127U (zh) 一种框板压滤机用自动振料装置
CN115350519A (zh) 一种食用油加工用油渣收集装置
CN114712928A (zh) 一种用于处理钛白粉生产副产物的转鼓过滤机及使用方法
CN207153237U (zh) 一种固液分离设备
CN112007733A (zh) 一种智能餐厨垃圾处理设备
CN208049523U (zh) 多功能固液分离机
US4203845A (en) Filter press
KR200266757Y1 (ko) 두유 여과기
KR960000220Y1 (ko) 착즙기
CN216166817U (zh) 一种原汁机压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