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202Y1 - 완충포장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완충포장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202Y1
KR200422202Y1 KR2020060011347U KR20060011347U KR200422202Y1 KR 200422202 Y1 KR200422202 Y1 KR 200422202Y1 KR 2020060011347 U KR2020060011347 U KR 2020060011347U KR 20060011347 U KR20060011347 U KR 20060011347U KR 200422202 Y1 KR200422202 Y1 KR 200422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wrapping paper
heating
rol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태
Original Assignee
유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태 filed Critical 유기태
Priority to KR2020060011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553/02Shock 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의 포장지 제조장치는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을 적층한 포장지가 공급되는 절첩공급롤러의 하부에 절첩부로 포장지를 절첩한 상태로 히팅부에서 가열하여 융착롤러로 융착시켜 공급하도록 형성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공급롤러의 공급 측 상부에 형성된 컷팅프레임의 하부로 상하 작동하는 이송부를 양단부에 형성된 탄성수단으로 결합 형성하고, 상하로 작동되는 이송부에 하부에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형성하고 복수의 가열시키는 열선이 구비되어 이송부로 상하 작동하면서 열선으로 가열시켜 컷팅날로 포장지를 컷팅하면서 열로 봉합하는 가열컷팅구를 형성한 컷팅봉합부와, 상기 컷팅봉합부의 가열컷팅부의 양측으로 포장지를 길이방향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상하 연동되는 지지구를 형성한 지지고정부와, 상기 컷팅봉합부의 배출 측으로 배출롤러의 구동으로 작동되는 배출컨베이어를 형성하여 컷팅봉합된 포장지를 배출하도록 형성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첩부, 컷팅봉합부, 지지고정부, 배출부

Description

완충포장지 제조장치 {Manufacturing Device for Packing Paper}
도 1은 일반적인 완충포장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완충포장지를 제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지 제조장치의 주요부분인 공급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지 제조장치의 주요부분인 컷팅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충포장지 2 : 포장필름
3 : 발포포장필름 4 : 수납부
5 : 접착부
100 : 제조장치 110 : 공급부
111 : 절첩공급롤러 112 : 절첩판
113 : 히팅부 114 : 융착롤러
115 : 장력조절롤러 116 : 공급롤러
120 : 컷팅봉합부 121 : 컷팅프레임
122 : 탄성수단 123 : 이송부
124 : 가열컷팅구 125 : 컷팅날
126 : 열선 130 : 지지고정부
131 : 지지프레임 132 : 체결구
133 : 지지축 134 : 탄성스프링
135 : 지지구 140 : 배출부
141 : 배출컨베이어 142 : 배출롤러
본 고안은 포장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으로 외부에는 방오방습용 필름을 형성하고, 내부에 발포필름을 형성하여 포장대상물의 외부충격을 완충하는 완충포장지를 일체로 적층한 상태로 중앙을 접철하여 가열 융착시키고 장력을 유지하면서 가열된 컷팅봉합부의 가열컷팅구에 컷팅날로 일측이 봉합된 포장지를 절단하면서 가열된 열로 봉합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생산공정을 일원화하고 단순화 하여 제작속도를 향상시키고 제작비를 감소시킨 포장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包裝, packaging)은 물품을 수송, 보관함에 있어서 가치 및 상태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절한 재료나 용기 등을 물품에 시장(施裝)하는 기술 및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에는 개장(個裝), 내장(內裝), 외장(外裝)의 세 가지가 있다.
포장의 기본적인 기능은 포장의 보호성, 상품성, 편리성, 심리성 및 배송성(配送性)에 있다. 종전에는 포장의 기능 및 중요성을 보호성에 두어왔고 또한 그것으로 충분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그것이 더욱 확대되어 판매촉진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생산된 물품 그 자체만으로는 상품이라 하기는 어려우며, 포장이 됨으로써 비로소 상품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이 내용물과 일체를 이룸으로써 비로소 상품이 되는 것이므로 포장의 상품성도 중요한 기능이다.
오늘날에는 판매촉진을 위해 편리한 포장, 내용물을 쉽게 끄집어 낼 수 있는 포장 등이 판매상의 강조점이 되어 포장의 편리성도 중시되고 있다. 또한 슈퍼마켓 등과 같이 셀프 서비스(self-service)제에 의한 판매방식의 점포에서는 소비자가 포장을 보고 구매결정을 하는 것과 같이 구매심리상의 작용도 포장이 수행하므로 구매심리를 자극하는 포장의 심리성도 중요한 기능의 하나이다. 한편, 수송포장에 있어서는 외장의 형상, 치수, 중량 등은 수송, 보관, 하역에 편리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배송성도 중요한 기능이 된다.
개장(個裝)이란 물품을 직접 싸기 위한 포장으로서 대개는 제조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제품에 시장된다. 이는 단순히 제품의 보호라는 기술적인 요구만을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고, 포장재료 또는 용기에 포장된 것이 상점에 진열되어 구매자 의 구매의욕을 자극하는 세련된 디자인이라는 시각적인 목적도 지닌다. 개장에 사용되는 포장재료로는 금속, 종이, 플라스틱 및 나무 등이 있다. 또 포장 디자인은 단순히 상품을 표면상 곱게 장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능적인 면도 고려하여야 한다.
내장(內裝)이란 개장된 물품을 상자 등과 같은 용기에 넣는 포장으로 포장된 화물의 안쪽에 시장되는 것이다. 이는 개장이나 외장보다 복잡하여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는 특수한 목적 없이 일반적으로 시장되는 일반 내장과 특수한 목적을 가지는 내장이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약품, 화장품, 과자, 문방구 및 도자기 등에 종이 포장지나 용기가 주로 쓰인다.
후자는 상품을 수분이나 습기에서 보호하려는 목적하에 시장되는 방수방습(防水防濕)포장과, 금속제품의 수송, 보관 중에 녹이 슬지 않도록 방지하려는 목적하에 시장되는 방청(防??)포장, 포장화물의 수송, 하역 중에 받게 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려는 목적하에 특히 도자기, 유리제품, 광학부품 및 전자제품 등 파손되기 쉬운 제품에 시장되는 완충(緩衝)포장의 세 가지가 있다.
상기와 같은 포장은 현대에 들어, 생활의 다양화, 식생활의 향상과 아울러 가공식품의 증대는 식품포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스턴트 식품의 포장, 사용 후에 버리는 것을 전제로 하는 물품의 포장의 일반통행화(one way)는 편리성을 추구하는 경향에 비추어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며, 화장품 등과 같은 무드 상품(mood goods)의 포장은 호사화 경향을 띠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포장 중에 손상되기 쉬운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서 합성수지재 포장필름과 충격을 흡수하는 발포지를 고온의 열로 융착시키는 라미네이팅기계에 삽입하여 일체로 열융착 시켜 발포포장필름을 형성하여 열융착된 가볍고 얇은 재질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포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발포포장필름은 광학기구나 전자부품이 택배로 운송되는 건수가 급격하게 증대되면서 차세대 포장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발포포장필름은 충격은 잘 흡수하지만 합성수지재가 가지는 인장력이 크게 떨어져 외력으로 잘 찢어지고, 발포지 자체가 외부 필름으로 융착되어 있다고 해도 습기를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으므로 방습에 취약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방습과 방오성능을 향상시키는 종래기술의 완충포장지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표면에 방습 및 방오 기능을 가지는 포장필름(2)을 형성하고, 내부에 발포지를 포장필름에 라미네이팅 기계로 열융착시켜서 형성된 발포포장필름(3)을 적층하여 수납되는 포장대상물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하며, 일측에 개구된 수납부(4)를 형성하고 일측을 제외시킨 외측으로 열로 융착된 접착부(5)를 형성하여 내부에 포장대상물을 내장시켜 포장하도록 포장지(1)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내부에 발포포장필름을 적층하여 포장대상물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장력이 강하여 잘 찢어지지 않는 방오 방습용 포장필름을 외부의 표면에 형성하여 포장대상물에 오염을 최소화 하면서 습기나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포장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완충포장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포장되는 포장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일정한 크기에 따라 포장필름을 가열된 컷팅날로 컷팅하면서 열융착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도록 제작하고, 발포지와 포장필름을 라미네이팅 가공한 발포포장필름을 적층하여 포장필름의 내부에 적층되는 크기로 가열된 컷팅날로 컷팅하면서 열융착하여 접착부를 형성한 상태로 포장필름의 수납측으로 접착부를 형성한 발포포장필름을 삽입하여 포장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포장필름 제조장치는 포장필름을 일차적으로 제단하면서 접착부를 형성하고 발포포장필름을 내부에 적층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의 재질의 차에 따라 미끄럼 마찰계수가 상이함으로써, 동일한 제조장치에 삽입하여 제단 및 융착이 불가능하고 공급되는 롤러에서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을 적층하여 공급시키면 재질의 상이함 때문에 동시에 공급되지 못하여 따로 생산하여 삽입함에 따라 공정이 증대되어 생산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포장필름 제조장치는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을 별도로 제작하여 내부에 적층되도록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포장필름의 규격보다 발포포장필름의 규격이 크면 내부에 삽입되지 못하고, 접철하여 포장하게 되면 포장부분에 불균일이 발생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고 균등한 충격흡수가 되지 않아 포장대상물에 충격이 전달되어 물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포장필름 제조장치는 포장필름에 발포포장필름을 삽입하여 하나의 포장지로 형성하는 것으로 규격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포장지의 형태에 따라 삽입되는 형상이 변위됨으로써, 기계적으로 자동화 시켜 삽입하지 못하고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하여 하나씩 개별적으로 삽입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공정이 지체되고 제작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포장필름 제조장치는 포장필름에 발포포장필름을 삽입하여 하나의 포장지로 형성하는 것으로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 사이에 발생된 간극으로 내부에 습기와 오염물의 침입되어 포장대상물에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포장대상물의 외부충격을 완충하도록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 적층하여 형성한 완충포장지를 일체로 적층한 상태로 중앙을 접철하여 가열 융착시키고 장력을 유지하면서 가열된 컷팅봉합부의 가열컷팅구에 컷팅날로 일측이 봉합된 포장지를 절단하면서 가열된 열로 봉합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생산공정을 일원화하고 단순화 하여 제작속도를 향상시키고 제작비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포장지 제조장치는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을 적층한 포장지가 공급되는 절첩공급롤러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하나의 꼭지점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하향 형성되어 포장지가 하향으로 이송되면서 하부 꼭지점을 중심으로 중앙을 절첩시키는 절첩판을 형성하고, 절첩판의 전면부에 절첩된 절첩부위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형성하며, 히팅부의 하부에 가열 절첩된 포장지를 양측의 롤러로 가압시켜 융착하는 융착롤러를 형성하고, 융착롤러의 일측으로 복수의 롤러를 상하로 형성하여 장력을 조절시키는 장력조절롤러를 형성하며, 장력조절롤러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공급롤러로 공급하여 중앙을 절첩하여 융착시킨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공급롤러의 공급 측 상부에 형성된 컷팅프레임의 하부로 상하 작동하는 이송부를 양단부에 형성된 탄성수단으로 결합 형성하고, 상하로 작동되는 이송부에 하부에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형성하고 복수의 가열시키는 열선이 구비되어 이송부로 상하 작동하면서 열선으로 가열시켜 컷팅날로 포장지를 컷팅하면서 열로 봉합하는 가열컷팅구를 형성한 컷팅봉합부와, 상기 컷팅봉합부의 가열컷팅부의 양측으로 포장지를 길이방향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상하 연동되는 지지구를 형성한 지지고정부와, 상기 컷팅봉합부의 배출 측으로 배출롤러의 구동으로 작동되는 배출컨베이어를 형성하여 컷팅봉합된 포장지를 배출하도록 형성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는 고정프레임에 양측으로 축형태의 지지축을 체결구로 결합되도록 지지프레임을 복수로 형성하고, 지지축의 하부에 탄성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포장지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구를 형성하여 가열컷팅구에 양측으로 포장지를 지지하도록 상하로 작동되는 지지구를 컷팅봉합부와 연동되도록 복수로 형성된 지지축에 탄성스프링으로 탄성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지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지 제조장치의 주요부분인 공급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지 제조장치의 주요부분인 컷팅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지 제조장치(100)는 포장필름(2)과 발포포장필름(3)을 적층한 상태에서 중앙으로 접철하여 가열 융착시켜 공급하도록 형성한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에서 공급된 포장지(1)를 가열된 가열컷팅구(124)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컷팅하면서 가열 봉합시키도록 형성한 컷팅봉합부(120)와, 상기 컷팅봉합부(120)의 가열컷팅구(124) 양측으로 컷팅 봉합되는 포장지(1)를 지지고정하는도록 형성한 지지고정부(130)와, 상기 컷팅봉합부(120)에서 컷팅 봉합된 포장지(1)를 배출하는 배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포장필름(2)과 발포포장필름(3)을 적층한 포장지(1)가 공급되는 절첩공급롤러(111)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하나의 꼭지점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하향 형성되어 포장지(1)가 하향으로 이송되면서 하부 꼭지점을 중심으로 중앙을 절첩시키는 절첩판(112)을 형성하고, 절첩판(112)의 전면부에 절첩 된 절첩부위를 가열하는 히팅부(113)를 형성하며, 히팅부(113)의 하부에 가열 절첩된 포장지(1)를 양측의 롤러로 가압시켜 융착하는 융착롤러(114)를 형성하고, 융착롤러(114)의 일측으로 복수의 롤러를 상하로 형성하여 장력을 조절시키는 장력조절롤러(115)를 형성하며, 장력조절롤러(115)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공급롤러(116)로 공급하여 중앙을 절첩하여 융착시킨 상태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컷팅봉합부(120)는 공급부(110)에 공급롤러(116)의 공급 측 상부에 형성된 컷팅프레임(121)의 하부로 상하 작동하는 이송부(123)를 양단부에 형성된 탄성수단(122)으로 결합 형성하고, 상하로 작동되는 이송부에 하부에 포장지(1)를 절단하는 컷팅날(125)을 형성하고 복수의 가열시키는 열선(126)이 구비되어 이송부(123)로 상하 작동하면서 열선(126)으로 가열시켜 컷팅날(125)로 포장지를 컷팅하면서 열로 봉합하는 가열컷팅구(124)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고정부(130)는 컷팅봉합부(120)의 가열컷팅구(124)의 양측으로 포장지(1)를 길이방향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상하 연동되는 지지구(13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지지고정부(130)는 컷팅프레임(121)에 양측으로 축형태의 지지축(133)을 체결구(132)로 결합되도록 지지프레임(131)을 복수로 형성하고, 지지축(133)의 하부에 탄성스프링(134)으로 탄성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포장지(1)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구(135)를 형성하여 가열컷팅구(124)에 양측으로 포장지를 지지하도록 상하로 작동되는 지지구(135)를 컷팅봉합부(120)와 연동되도록 복수로 형성된 지지축(133)에 탄성스프링(134)으로 탄성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배출부(140)는 컷팅봉합부(120)의 배출 측으로 배출롤러(142)의 구동으로 작동되는 배출컨베이어(141)를 형성하여 컷팅봉합된 포장지(1)를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지 제조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장지(1)로 사용할 포장필름(2)과 발포포장필름(3)을 포장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한층 또는 복수의 층이 형성되도록 선택적으로 적층하여 절첩공급롤러(111)로 공급시키면 삼각형태로 밑면을 상부로 형성하고 선단의 꼭지점을 하부로 절첩판(112)을 형성하여 공급된 포장지(1)가 하부로 이송되면서 꼭지점 부분이 포장지(1)의 중앙이 거치되어 통과하면서 중앙으로 절첩되고 절첩된 중앙부분은 일측으로 형성된 히팅부(113)로 가열되어 하부에 두 개의 롤러로 가압하는 융착롤러(114)를 거쳐서 중앙이 접철되면서 융착시킨다.
이렇게, 융착롤러(114)에서 중앙을 접철하여 가열 융착한 상태로 복수의 롤러를 상하로 형성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롤러(115)를 거쳐서 공급롤러(116)로 공급되면 지지고정부(130)의 지지프레임(131)이 하부로 컷팅프레임(121)과 연동되면서 복수의 지지축(133)에 탄성스프링(134)으로 탄성 결합되어 가열컷팅구(124)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구(135)가 하강하여 포장지를 지지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지지구(135)를 하강하여 포장지(1)를 고정지지한 상태에서 열선(126)으로 가열되어 컷팅날(125)이 하부에 형성된 가열컷팅구(124)를 컷팅프레 임(121)의 탄성수단(122)으로 결합된 이송부(123)의 구동으로 하강하여 포장지(1)를 절단하면서 가열된 열로 인해 절단부분이 융착되어 포장필름(2)과 발포포장필름(3)이 동시에 융착되면서 접착부(5)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포장필름(2)과 발포포장필름(3)을 컷팅하면서 융착시킨 상태로 배출롤러(142)로 작동되는 배출컨베이어(141)로 포장지(1)를 배출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지 제조장치는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하부에 꼭지점이 형성된 삼각형태로 하향되도록 형성된 절첩판을 통과하면서 중앙이 접철된 상태로 접철부위를 히팅부로 가열시키고 중앙으로 압착하도록 양측으로 롤러형태로 형성된 융착롤러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절첩부분을 융착시키고 융착된 포장지를 복수의 롤러가 형성되어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롤러를 통과하여 공급롤러로 공급시키면 공급된 포장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면서 열로 봉합하도록 상부의 컷팅프레임에 탄성수단으로 상하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에 컷팅날을 구비한 가열컷팅구를 형성하고, 가열컷팅구를 가열시키는 열선을 일측에 형성하여 가열컷팅구가 하향하면서 일측을 절첩 융착한 포장지를 길이에 따라 컷팅 융착하여 배출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하나의 공정으로 절첩 및 컷팅 융착을 실시하여 공정을 축소시켜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고 공급하면서 절첩된 부분을 융착하여 재질의 미끄럼 계수에 차이로 발생되는 포장지 이격 현상을 최소화 하며, 일측을 접착시킨 상태로 제작하여 일정한 길이로 컷팅과 동시에 봉합하여 포장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산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포장지 제조장치는 발포포장필름과 포장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하부에 융착롤러를 형성한 절첩공급롤러로 공급시키면 양측으로 중앙을 향한 삼각형태의 절첩판이 중앙의 꼭지점이 하부 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적층된 포장지가 통과하면서 중앙이 접철되면서 꼭지점의 하부에 형성된 히팅부로 절첩부분을 가열하여 융착롤러를 통과하면서 완전히 봉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형재질로 형성된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의 중앙을 접철한 상태로 열융착시켜 융착부를 일측에 형성하면서 접철하여 융착함에 따라 공급과 동시에 중앙을 접철하여 융착시켜 접철과 동시에 일측부분을 접착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공정을 축소하고 일측이 접착되어 이형재질이 롤러에 장입되어도 접착을 유지함에 따라 후공정에서 취급이 용이하며 신속하게 공급되어 생산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포장지 제조장치는 발포포장필름과 포장필름을 적층하여 공급부에서 중앙을 접철하여 열융착한 상태로 공급롤러로 공급시키면 가열된 컷팅봉합부로 절단하면서 봉합하기 위해서 가열컷팅기의 좌우에 탄성스프링과 지지축으로 고정된 지지구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컷팅봉합되는 부분을 지지한 상태로 컷팅함에 따라 발포포장필름과 포장필름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으로 발생되는 봉합불량을 컷팅부분의 좌우를 지지구로 가압하여 지지함에 따라 간극이 없는 상태로 절단 봉합되어 정확한 절단면을 형성하여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포장필름과 발포포장필름을 적층한 포장지가 공급되는 절첩공급롤러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하나의 꼭지점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하향 형성되어 포장지가 하향으로 이송되면서 하부 꼭지점을 중심으로 중앙을 절첩시키는 절첩판을 형성하고, 절첩판의 전면부에 절첩된 절첩부위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형성하며, 히팅부의 하부에 가열 절첩된 포장지를 양측의 롤러로 가압시켜 융착하는 융착롤러를 형성하고, 융착롤러의 일측으로 복수의 롤러를 상하로 형성하여 장력을 조절시키는 장력조절롤러를 형성하며, 장력조절롤러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공급롤러로 공급하여 중앙을 절첩하여 융착시킨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공급롤러의 공급 측 상부에 형성된 컷팅프레임의 하부로 상하 작동하는 이송부를 양단부에 형성된 탄성수단으로 결합 형성하고, 상하로 작동되는 이송부에 하부에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형성하고 복수의 가열시키는 열선이 구비되어 이송부로 상하 작동하면서 열선으로 가열시켜 컷팅날로 포장지를 컷팅하면서 열로 봉합하는 가열컷팅구를 형성한 컷팅봉합부와,
    상기 컷팅봉합부의 가열컷팅구의 양측으로 포장지를 길이방향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상하 연동되는 지지구를 형성한 지지고정부와,
    상기 컷팅봉합부의 배출 측으로 배출롤러의 구동으로 작동되는 배출컨베이어를 형성하여 컷팅봉합된 포장지를 배출하도록 형성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부는 컷팅프레임에 양측으로 축형태의 지지축을 체결구로 결합되도록 지지프레임을 복수로 형성하고, 지지축의 하부에 탄성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 포장지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구를 형성하여 가열컷팅구에 양측으로 포장지를 지지하도록 상하로 작동되는 지지구를 컷팅봉합부와 연동되도록 복수로 형성된 지지축에 탄성스프링으로 탄성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제조장치.
KR2020060011347U 2006-04-27 2006-04-27 완충포장지 제조장치 KR200422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47U KR200422202Y1 (ko) 2006-04-27 2006-04-27 완충포장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47U KR200422202Y1 (ko) 2006-04-27 2006-04-27 완충포장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202Y1 true KR200422202Y1 (ko) 2006-07-25

Family

ID=4177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347U KR200422202Y1 (ko) 2006-04-27 2006-04-27 완충포장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2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102A (ko) * 2016-11-16 2018-05-25 최은경 식품포장이 용이한 포장지 및 그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102A (ko) * 2016-11-16 2018-05-25 최은경 식품포장이 용이한 포장지 및 그 성형장치
KR101888757B1 (ko) 2016-11-16 2018-08-14 최은경 식품포장이 용이한 포장지 및 그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49627B (zh) 成型柔性装运包装件及其制备方法
US8328079B2 (en) Carton with display header
US20090056280A1 (en) Automobile part shipping system and method
US20190218010A1 (en) Packaging system and method
AR034311A1 (es) Un articulo de productos embalados y un metodo para embalar dicho articulo
US9216832B2 (en) Heat shrinkable bubble wrapping machine
JP2009516625A (ja) ブリスタパックおよび該ブリスタパック内にブリスタを包装するための方法
JP2008013197A (ja) 商品の包装方法
KR200422202Y1 (ko) 완충포장지 제조장치
EP3245143B1 (en) Single serve display bag
US20160083127A1 (en) Blister package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id assemblies
US11814207B2 (en) Automated packaging station and system for packaging objects
RU2388670C2 (ru)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кофе и упаков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упаковки кофе
KR101009099B1 (ko) 과채류 포장용 비닐팩의 제작방법
JP7360200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包装体の簡易閉鎖部の閉鎖装置及び当該閉鎖装置を備えた包装装置
US20220144481A1 (en) Shippers with air cells
JP6889034B2 (ja) 物品の取出し取扱い方法
KR20130054712A (ko)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US20120118783A1 (en) Package for candy bars and holder therefor
JP2011157116A (ja) 梱包容器、および梱包方法
CN112407599B (zh) 防盗揿扣及套袋内含六片废瓦楞纸板的快拆气囊环保小箱
US20230399144A1 (en) Webs of cushioned closable bags
US20020027158A1 (en) Food container and wrap combination
CN112896664A (zh) 一种用商品来包裹快递物品的方法
KR200261163Y1 (ko) 과일포장용 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