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978Y1 - 음료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978Y1
KR200421978Y1 KR2020060012243U KR20060012243U KR200421978Y1 KR 200421978 Y1 KR200421978 Y1 KR 200421978Y1 KR 2020060012243 U KR2020060012243 U KR 2020060012243U KR 20060012243 U KR20060012243 U KR 20060012243U KR 200421978 Y1 KR200421978 Y1 KR 200421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opening
inlet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익현
Original Assignee
양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익현 filed Critical 양익현
Priority to KR2020060012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9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를 역방향으로 보관토록 함으로서 마개에 의한 입구부 기밀성에 더하여 액상의 음료 자체가 입구부를 막아주게 되어 내부 밀폐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관용기는, 음료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가운데, 저면에는 입구부(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 상기 입구부(11)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마개(20);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음료의 선택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부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30); 상기 배출구(30)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조절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 탄산, 생수, 맥주, 기밀, 보관, 용기

Description

음료 보관용기{BOTTLE FOR BEVERAGE CHARGE}
도 1은 종래 음료 보관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 음료 보관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음료 보관용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음료 보관용기의 부분단면 측면도.
도 5는 도 3의 A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5a는 취수구 폐폐시 상태도.
5b는 취수구 개방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본체 11 : 입구부
12 : 손잡이 20 : 마개
21 : 평탄면 22 : 결합부
30 : 배출구 31 : 유입구
32 : 취수구 35 : 받침턱
40 : 개폐조절부 41 : 기밀밸브
42 : 승강로드 43 : 스프링
44 : 힌지축 45 : 작동구
46 : 유동레버
본 고안은 음료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냉 음료를 장시간 보관함에 있어 음료에 포함된 탄산성분의 외부 유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용기의 기밀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음료 보관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과일쥬스나 탄산 음료 및 커피음료, 이온음료, 스포츠 음료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 또는 생수 등을 보관하는 포장용기로서, 이는 음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작되며, 상기의 음료를 담는 용기는 유리병이나 알루미늄캔 또는 PET병 등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음료를 저장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뚜껑을 개방하여 음료를 수시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음료 보관용기의 통상적인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나 주류 등의 내용물이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 내부에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진 주입구(101)와, 상기 주입구(101)를 상호간 나사결합에 의해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102)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음료 보관용기는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의 음용시 마다 수시로 뚜껑(102)을 열어서 개방하게 됨으로,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의 탄산성분이 쉽게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료의 음용시마다 사용자가 직접 뚜껑(102) 부분을 손으로 잡고 돌린 후 음용이 끝나면 다시 뚜껑(102)을 손으로 돌려 잠궈주어야 함으로 사용상에 불편함이 발생함과 함께 사용과정에서 잦은 손의 접촉으로 인한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의 성분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용기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의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용 편리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음료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일정 공간을 이루며, 저면에 입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입구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마개와, 상기 용기본체내에 저장된 음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개폐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보관용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보관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음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입구부(11)가 저면에 형성되어져 있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입구부(11)에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개(20)로 구성된다.
특히, 용기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취수를 위한 배출구(30)가 구성되어져 있는데, 상기 배출구(30)에는 유로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조절부(40)가 설치되어져 있다.
개폐조절부(40)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4에서와 같이 배출구(3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기밀밸브(41)와, 상기 기밀밸브(41)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연결된 승강로드(42)와, 상기 승강로드(42)에 대해 하향탄성력을 가하며 지지하는 스프링(43)과, 상기 승강로드(42)에 승강 유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단에서 힌지축(44)에 의해 연결된 작동구(45)와, 상기 작동구(45)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 유동레버(4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작동구(45) 저면 양측에는 각각 일정 경사각의 경사면(45a,45b)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경사면(45a,45b)과 대응되는 배출구(30)의 상면 양측에는 받침턱(35a,35b)이 각각 돌출 구비되었다.
한편, 용기본체(10)의 측면에는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2)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마개(20)는 용기본체(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저면이 평탄면(21)을 이루고 있으며, 용기본체(10)의 입구부(11)와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내측에 형 성된 결합부(22)가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30)가 위치하는 일측에는 컵(C)이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 곡률형상의 요입홈(23)이 형성되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은 배출구(30)측으로 음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이고, 32는 외부로 유출되는 취수구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음료 보관용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 음료 보관용기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하면, 내부 기밀성이 극대화 되어 음료의 탄산성분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마개(20)의 결합력에 의한 기밀력에 더하여 입구부(11)가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에 의한 밀폐력이 가해짐으로 성분 변형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기밀상태로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를 음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배출구(30)에 직접 손을 접촉하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때는 도 5에서와 같이 배출구(30)의 출구측에 형성된 취수구(32)가 기밀밸브(41)에 의해 밀폐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컵(C)을 이용하여 유동레버(46)를 밀어주게 될 경우, 도 5b에서와 같이 작동구(45)가 힌지축(44)을 중심으로 회동됨과 함께 타측 경사면(45b)이 받침턱(35b)에 지지됨으로 힌지축(44)이 상승되어진다.
이러한 힌지축(44)의 상승동작에 의해 승강로드(42)가 상승하게 되면서 하부에 결합된 기밀밸브(41)가 함께 상승되어져 내부 유로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컵(C)이 유동레버(46)를 밀어주고 있는 상태에서는, 용기본체(10) 내부에 저장되어져 있는 음료가 유입구(31)를 통해 취수구(32)로 배출되어 컵(C)에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취수구(32)를 통해 원하는 량의 음료가 배출되었을 때 유동레버(46)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승강로드(42)는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기밀밸브(41)가 취수구(32)측 유로를 폐쇄시키게 됨으로 음료의 배출이 중단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음료 보관용기에서는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를 손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됨으로,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함께 청결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음료 보관용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보관용기는,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를 역방향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입구부를 하부에 구성시킴으로서 마개에 의한 입구부 기밀성에 더하여 액상의 음료가 입구부를 막아주게 되어 내부 밀폐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내부에 보관되는 음료의 음용시 손으로 마개를 열지 않고도 비접촉식으로 취수구 개방이 가능하게 되어 이용 편의성 증대 및 청결한 위생관리가 이루어지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6)

  1. 음료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가운데, 저면에는 입구부(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
    바닥판을 이루며 상기 입구부(11)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마개(20);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음료의 선택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부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30);
    상기 배출구(30)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조절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보관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부(40)는 배출구(3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기밀밸브(41)와, 상기 기밀밸브(41)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연결된 승강로드(42)와, 상기 승강로드(42)에 대해 하향탄성력을 가하며 지지하는 스프링(43)과, 상기 승강로드(42)에 승강 유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단에서 힌지축(44)에 의해 연결된 작동구(45)와, 상기 작동구(45)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 유동레버(46)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보관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45) 저면 양측에는 각각 일정 경사의 경사면(45a,45b)을 형성하 고 있으며, 상기 경사면(45a,45b)과 대응되는 배출구(30)의 상면 양측에는 받침턱(35a,35b)이 각각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보관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면에는 손잡이(12)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보관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20) 상면에는 용기본체(10)의 입구부(11)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22)가 구성되고, 저면에는 평탄면(21)을 형성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보관용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개(20)의 일측에는 컵(C)이 진입되어질 수 있도록 소정곡률형상을 이루는 요입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보관용기.
KR2020060012243U 2006-05-08 2006-05-08 음료 보관용기 KR200421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243U KR200421978Y1 (ko) 2006-05-08 2006-05-08 음료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243U KR200421978Y1 (ko) 2006-05-08 2006-05-08 음료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978Y1 true KR200421978Y1 (ko) 2006-07-20

Family

ID=4177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243U KR200421978Y1 (ko) 2006-05-08 2006-05-08 음료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9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0090B1 (en) Drip-less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flow control element” with suction spout
JP5043231B2 (ja) ワインディスペンサ
US8701910B1 (en) Wine bottle closure apparatus
AU6390201A (en) Drip-less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34;flow control element&#34; with suction spout
CN101448711A (zh) 盛液体的容器中沉淀物的去除
KR200421978Y1 (ko) 음료 보관용기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CN216547309U (zh) 一种多用途的饮品保温容器
KR200446283Y1 (ko) 세로접이선이 구비된 용기
KR200427785Y1 (ko) 사용이 용이한 선반용 물통
JPH10167276A (ja) 清涼飲料水用連結ボトル
KR200328710Y1 (ko)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RU83494U1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напитк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и укупори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нее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KR200237024Y1 (ko)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CN210870902U (zh) 一种双饮调温杯
EA020436B1 (ru) Пробка-клапан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здачи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CN220384816U (zh) 一种便于饮用的保温瓶
RU86568U1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напитк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и укупори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нее
CN210198483U (zh) 一种量具酒勺的改良结构
CN2639207Y (zh) 一种多用瓶盖
KR200319536Y1 (ko) 냉장고용 펫트병 지지구
WO2022084704A1 (en) Removable lid to close the opening of a container
RU30340U1 (ru) Пробка-клапан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здачи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KR200396039Y1 (ko)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