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833Y1 -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833Y1
KR200421833Y1 KR2020060010985U KR20060010985U KR200421833Y1 KR 200421833 Y1 KR200421833 Y1 KR 200421833Y1 KR 2020060010985 U KR2020060010985 U KR 2020060010985U KR 20060010985 U KR20060010985 U KR 20060010985U KR 200421833 Y1 KR200421833 Y1 KR 200421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od waste
sink
inlet pip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찬
정길배
Original Assignee
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0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8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8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수조의 배수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주름관 등의 플렉시블관(Flexible Pipe)를 이용하여 배수관과 유입관을 연결하여 배수관의 직하방에 유입관이 위치하지 않아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관과 싱크대 수조의 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 연결부위의 수밀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 수조의 배수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싱크대 수조의 배수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과 유입관은 후렉시블관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수조, 배출구, 배출관, 음식물처리장치, 유입구, 유입관, 연결관,

Description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INLET PIPE OF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AND DRAIN PIPE OF SINK}
도 1은 일반적인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관을 나타내는 외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관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부 사시도.
***** 도면이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조 120 : 배출관
200 : 음식물처리장치 220 : 유입관
300 : 연결관 B : 스틸밴드(steel band)
본 고안은 싱크대 수조의 배수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주름관 등의 플렉시블관(Flexible Pipe)를 이용하여 배수관과 유입 관을 연결하여 배수관의 직하방에 유입관이 위치하지 않아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관과 싱크대 수조의 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 연결부위의 수밀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 수조의 배수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 처리가 불가능하며, 중량이 크기 때문에 수거에 어려움이 따른다. 소각처리가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많은 연료가 소모되어 경제성이 없고, 완전하게 연소하기 어렵다. 또한, 소각할 때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경우는, 대부분 부피가 커서 매립지의 사용 연수를 급격하게 줄어들게 하는 요인이 되고,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함으로써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며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야기한다.
한편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축사료나 퇴비로 가공하는 기술들이 활발히 제안되고 있으나, 수분이 많아 수거와 가공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소에서 수거하기 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시간 동안 보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거나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 악취가 발생하고 곰팡이나 세균 등의 온상이 되며 수거시의 취급 부주의로 음식물 쓰레기가 주변으로 흘러내려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소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미리 제거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싱크대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싱크대에 음식물처리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였다.
즉, 상기 싱크대의 수조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찌꺼기는 음식물처리장치로 유입되여, 분쇄 및 압축과정을 통하여 수분이 제거되었다.
따라서, 상기 수조와 음식물처리장치는 소정의 연결관으로 연결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싱크대의 수조(10)와 음식물처리장치(20)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간략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수조(10)와 음식물처리장치(20)는 연결관(30)을 통하여 수조(1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찌꺼기가 음식물처리장치(20)로 유입되도록 연결되었다.
즉, 상기 연결관(30)은 수조(10)의 배출구(11)의 하측으로 돌설된 배출관(12)에 상단이 결합되고, 음식물처리장치(20)의 유입구(21) 상측으로 돌설된 유입관(22)에 그 하단이 결합되었다.
또한, 상기 연결관(30)은 외관(32)과, 상기 외관(32)에 삽설되어 상하 슬라이드이동되는 내관(31)으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외관(32)의 하단은 유입관(22)에 결합되고 내관(31)의 상단은 배출관(1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30)은 외관(32)과 내관(31)이 상대적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하로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수조(10)와 음식물처리장치(20)를 연결시 배출관(12)과 유입관(22) 사이의 이격거리의 변화에 따라 원활하게 대응하여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 연결관(30)은 경질의 직관형상으로 배출관(12)과 유입관(22)이 수직의 동축선(Y-Y')상에 위치해야만 연결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결관(30)은 외관(32)과 내관(31)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로, 상기 외관(32)과 내관(31)의 결합부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며 그 틈새를 통하여 오수 및 악취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골곡이 자유롭고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원활한 재질과 형상을 갖는 연결관을 구비하여, 수조의 배수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배수관과 유입관의 연결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이고, 연결부위에 수밀도를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싱크대 수조의 배수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과 유입관은 후렉시블관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후렉시블관은 배수관과 유입관이 양단에 각각 관입되도록 연결하고, 그 양단을 스틸밴드를 사용하여 배수관과 유입관에 체결·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후렉시블관은 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양단의 일부를 제외하고 주름관으로 형성한다.
본 고안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 2, 3,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관을 나타내는 외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간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관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부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연결관(300)은 후렉시블관으로 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소정의 탄성을 구비하여 휨과 신축이 자유로우며 상단과 하단이 관통된 통관으로, 상단과 하단의 일정부위를 제외한 주름관으로 형성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가 형성되지 않은 연결관(300-1)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인 연결관(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조(100)의 배출구(110)의 하측으로 돌설된 배출관(120)과 음식물처리장치(200)의 유입구(210)의 상측으로 돌설된 유입관(220)이 각각 상단과 하단으로 삽입되게 연결한 후, 스틸밴드"B"을 사용하여 체결·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300)의 양단의 내경부가 스틸밴드"B"의 압착력에 의하여 배출관(120)과 유입관(220)의 외경부에 완전 밀착되게된다.
또한, 본 고안인 연결관(300)이 소정길이로 한정된 상태라도, 상기 음식물처리장치(200)를 싱크대 내에 설치시 마다, 배출관(120)과 유입관(220)이 동일한 수직축선상에 위치하지않거나 그 이격거리가 일정치 않더라도, 상기 연결관(300)은 재질 및 형상의 특성상 그 길이를 신축가변 및 굴곡변형하여, 수조(100)에서 음식물처리장치(200)로 오수와 함께 음식물찌꺼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관(120)과 유 입관(22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틸밴드"B"로 연결관(300)의 양단이 유입관(220) 및 배출관(120)의 외경부에 압착되도록 하므로써, 각 연결부위의 체결력을 강화하고 동시에 각 연결부위로 오수 및 악취가 노출되지않게 수밀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길이방향 신축 및 굼힘변형이 자유로우므로서, 음식물처리장치를 싱크대 내에 설치시 그 위치를 종래와 같이 일정위치로 한정하지 않고 작업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하며, 그에 따른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싱크대 수조의 배수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과 유입관은 후렉시블관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렉시블관은 배수관과 유입관이 양단에 각각 관입되도록 연결하고, 그 양단을 스틸밴드를 사용하여 배수관과 유입관에 체결·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렉시블관은 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양단의 일부를 제외하고 주름관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유입관의 연결구조.
KR2020060010985U 2006-04-24 2006-04-24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 KR200421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985U KR200421833Y1 (ko) 2006-04-24 2006-04-24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985U KR200421833Y1 (ko) 2006-04-24 2006-04-24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833Y1 true KR200421833Y1 (ko) 2006-07-19

Family

ID=4177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985U KR200421833Y1 (ko) 2006-04-24 2006-04-24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8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857A (ko) * 2009-06-23 2010-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접속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씽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에서의 체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857A (ko) * 2009-06-23 2010-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접속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씽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에서의 체결구조
KR101628363B1 (ko) * 2009-06-23 2016-06-08 코웨이 주식회사 접속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씽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에서의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77651A0 (en) Personal urinal
WO2005079408A3 (en) Waterless toilet
KR200421833Y1 (ko)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
JP3934588B2 (ja) 排水トラップ構造
US10400204B2 (en) Reservoir for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CN213722775U (zh) 一种具有清洗除味辅助装置的造口袋
KR20100137857A (ko) 접속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씽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에서의 체결구조
KR101844033B1 (ko)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JP2009112642A (ja) 使用済み紙おむつの処理機
JP4381100B2 (ja) 厨芥処理具
KR200394044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여과 필터
KR200252426Y1 (ko) 쓰레기수거차암롤박스탈취장치
DE10337420A1 (de) Abfallsammelvorrichtung mit integrierter Reinigungsanlage
CN217288497U (zh) 一种生物学实验台
KR200409116Y1 (ko) 폐 음식물 처리장치의 여과장치
KR200226890Y1 (ko) 싱크대 배수구 청소재
GB2480572A (en) A disposal utensil
KR200423886Y1 (ko) 배수점검구
KR200207065Y1 (ko) 배수 트랩
JP2005334545A (ja) 排泄物処理装置
KR940005954Y1 (ko) 오물스크린 탈수장치
ATE336619T1 (de) Vorrichtung für sequentielle abwasserzufuhr zum gebrauch in kläranlagen
KR200150927Y1 (ko) 쓰레기용 봉투
KR200388727Y1 (ko) 배수구 냄새 차단장치
CN111851676A (zh) 排便系统和排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