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033B1 -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033B1
KR101844033B1 KR1020160041416A KR20160041416A KR101844033B1 KR 101844033 B1 KR101844033 B1 KR 101844033B1 KR 1020160041416 A KR1020160041416 A KR 1020160041416A KR 20160041416 A KR20160041416 A KR 20160041416A KR 101844033 B1 KR101844033 B1 KR 10184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ank
transfer pipe
porous memb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481A (ko
Inventor
정은표
Original Assignee
정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표 filed Critical 정은표
Priority to KR102016004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03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성폐기물이 발효되는 저장조; 물이 수용되는 탈취조; 상기 저장조와 탈취조를 상호 연결하는 이송관; 상기 탈취조에 수용 및 인출가능하도록 가요성튜브를 매개로 이송관에 상호 연결되어 저장조의 악취가스를 이송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물로 배기시키는 산기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저장조 내의 악취가스를 산기관으로 이송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산기관의 폐구(막힘)시 이를 가요성튜브를 이용해 외부로 쉽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산기관의 교체작업이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An organic waste deodorizing system}
본 발명은 산기관을 쉽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어 교체작업이 용이한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사람의 생활수준도 함께 높아져 하·폐수 발생량 및 각종 음식물 폐기물 발생이 증가하고, 더불어 고기의 수요가 많아져 양돈업, 축산업, 양계업 등이 매년 증가함으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축산 분뇨 폐수 및 폐기물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농도 폐수 및 폐기물은 기존에는 해양투기로 상당량을 폐기 처리하였으나, 근래에는 하수오니와 가축분뇨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었다.
이와 같이 전면적으로 고농도 폐수 및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서 양돈농가, 축산농가, 양계농가에서 발생되는 분뇨 폐기물과 요식업소에서 발생되는 음식폐기물 등은 축산폐수처리장, 음식폐기물처리장, 하·폐수처리장 등에서 처리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편, 유기성폐기물을 발효하는 과정에 악취가스(예:암모니아)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악취가스를 탈취액(예:물)이 저장된 탈취조로 이송하게 되며, 이송된 악취가스는 산기관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어 물에 희석됨으로써 악취가 제거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산기관은 탈취조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어 교체를 하거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탈취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모두 배출한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6327호(유기성폐기물의 자원화방법 및 장치/2005.11.09) 2.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3908호(유기성폐기물 악취제거장치/2003.05.09)
본 발명은 산기관을 쉽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어 교체작업이 용이한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산기관의 폐구시 악취가스를 유도해 이를 매개로 산기관을 부양시켜 외부로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이 발효되는 저장조;
물이 수용되는 탈취조;
상기 저장조와 탈취조를 상호 연결하는 이송관;
상기 탈취조에 수용 및 인출가능하도록 가요성튜브를 매개로 이송관에 상호 연결되어 저장조의 악취가스를 이송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물로 배기시키는 산기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저장조 내의 악취가스를 산기관으로 이송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관에는 이송관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요성튜브와 산기관 사이에는 산기관의 폐구시 악취가스를 유도해 이를 매개로 산기관을 부양시키는 부력기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산기관의 폐구(막힘)시 이를 가요성튜브를 이용해 외부로 쉽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산기관의 교체작업이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이송관에 설치된 압력계를 통해 산기관의 상태를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산기관의 교체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산기관의 폐구시 악취가스를 유도해 이를 매개로 산기관을 부양시켜주는 부력기구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산기관을 외부로 인출해 줄 수 있고, 특히 산기관을 인출하기 위해 가요성튜브를 잡아당기지 않아도 되므로 가용성튜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에서 산기관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에서 산기관과 부력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결합사시도 및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부력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에서 산기관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은, 저장조(10)와 탈취조(20), 이송관(30), 산기관(40) 및 송풍기(50)로 구성되며, 여기에 압력계(60)와 배기관(P1) 및 회수관(P2)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조(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통으로서, 내부에는 유기성폐기물(예:축산분뇨)이 수용되어 발효되고, 발효과정에 발생된 악취가스(예:암모니아)는 이송관(30)에 설치된 송풍기(50)를 통해 탈취조(20)로 이송된다.
상기 탈취조(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개폐가능한 뚜껑이 구비된 통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악취가스(예:암모니아)를 포집할 수 있는 물이 내부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탈취조(20)의 상단에는 이송관(30)의 단부가 인입되게 설치되고, 물속에 산기관(40)이 배치되며, 수용된 산기관(40)은 가요성튜브(T)를 매개로 이송관(30)과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탈취조(20)의 상단부 둘레면에는 배기관(P1)이 설치될 수 있고, 이 배기관(P1)에는 미량의 악취가스를 포집해 배출하는 필터(F)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탈취조(20)의 하단부 둘레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다시 저장조(10)로 보내기 위한 회수관(P2)이 설치될 수 있으며, 물을 보내기 위한 펌프(미도시)가 회수관(P2)에 설치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탈취조(20)에는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주입관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탈취조(20)가 1개인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 예에 불과하며, 후처리를 위한 탈취조(20)의 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30)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저장조(10)와 탈취조(20)에 인입되게 설치되어 저장조(10)의 악취가스(예:암모니아)가 탈취조(2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산기관(40)은 가요성튜브(T)를 매개로 이송관(30)과 상호 연결되어 이송관(30)을 통해 전달받은 악취가스(예:암모니아)를 균일하게 배기할 수 있도록 된 기구이다.
상기 산기관(40)은 다공성부재(41)와 상/하부지지판(42), 복수의 포스트(43), 연결관부(44) 및 고정부재(45)로 구성된다.
상기 다공성부재(41)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스펀지로서, 내부로 유입된 악취가스(예:암모니아)를 균일하게 배출시켜 줌과 동시에 각종 이물질(예:먼지)을 걸러(필터링)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상/하부지지판(42)는 원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다공성부재(41)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상/하부지지판(42)이 각각 맞대어져 포스트(43)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지지판(42)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으로 포스트(43)의 단부가 관통되게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지지판(42) 중 상부지지판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으로 연결관부(44)가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포스트(43)는 양단부 둘레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봉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다공성부재(41)의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다공성부재(4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포스트(43)의 양단부가 상/하부지지판(42)에 관통되게 끼워져 한 쌍의 너트(도 4 참조)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포스트(43)가 다공성부재(41)를 지지함에 따라 다공성부재(41)가 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연결관부(44)는 내부가 관통된 중공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부지지판(4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관통되게 끼워져 하단부가 다공성부재(41)에 결합되고, 고정부재(45)를 매개로 상부지지판(42)에 고정된다.
참고로, 상기 연결관부(44)에는 가요성튜브(T)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부(44)의 하단부가 다공성부재(41)에 끼워지는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연결관부(44)의 길이를 다공성부재(41)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이를 다공성부재(41)에 인입시켜 줄 경우 포스트(43)와 함께 다공성부재(41)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변형할 경우 연결관부(44)의 둘레면에는 악취가스(예:암모니아)가 다공성부재(41)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45)는 너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부지지판(42)을 기준으로 상면과 하면에 배치되어 연결관부(44)에 체결됨으로서 연결관부(44)를 상부지지판(42)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요성튜브(T)는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재질의 튜브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산기관(40)과 이송관(30)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가요성튜브(T)를 이용하여 산기관(40)과 이송관(30)을 상호 연결시켜 줌에 따라 이물질로 인해 산기관(40)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 쉽게 휘는 가요성튜브(T)를 이용해 산기관(40)을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산기관(40)의 교체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가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빼고 작업자가 산기관을 교체한 다음, 다시 내부에 물을 채워 넣고 가동을 해야했던 불편함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어 교체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산기관(40)이 1개인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 예에 불과하며, 산기관(40)의 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가감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송풍기(50)는 이송관(30)에 설치되어 저장조(10) 내의 악취가스(예:암모니아)를 산기관(40)으로 이송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이송관(30)에는 산기관(40)이 이물질에 의해 폐구(막힘)될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60)가 더 보강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계(60)는 기계식 압력계 또는 전자식 압력계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된다.
일 예로서, 상기 압력계(60)는 이송관(30)의 내부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되고, 이를 작업자 확인하여 압력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가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가요성튜브(T)를 잡아당겨 산기관(40)을 외부로 인출 후, 새로운 산기관(40)으로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압력계(60)를 설치해 줌으로서 산기관(40)의 기능저하에 따른 교체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활한 운영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저장조(10) 내에 유기성폐기물이 발효되는 과정에 악취가스(예:암모니아)가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악취가스는 송풍기(50)에 의해 이송관(30)을 따라 이송되어 탈취조(20)에 수용된 가요성튜브(T)를 지나 산기관(4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산기관(40)으로 유입된 악취가스(예:암모니아)는 다공성부재(41)를 통해 균일하게 배기하게 되며, 이 과정에 악취가스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은 다공성부재(41)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한편, 다공성부재(41)를 통해 배기된 악취가스는 물에 녹게 되면서 탈취되고, 이때 물에 미처 녹지 않은 미량의 잔존 악취가스는 탈취조(20)에 설치된 배기관(P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되는 과정에 필터(F)를 지나면서 대부분이 포집된다.
한편, 이송관(30)에 설치된 압력계(60)의 압력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 작업자는 산기관(40)의 폐구(막힘)된 것으로 판단하여 송풍기(50)의 가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탈취조(20)의 뚜껑(미도시)을 열고 가요성튜브(T)를 끌어당겨 산기관(40)을 외부로 인출 후, 새로운 산기관(40)으로 교체한 다음 다시 탈취조(20)에 수용시켜 주면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산기관(40)의 폐구(막힘)시 이를 가요성튜브(T)를 이용해 외부로 쉽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산기관(40)의 교체작업이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송관(30)에 설치된 압력계(60)를 통해 산기관(40)의 상태를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산기관(40)의 교체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앞선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산기관(40)을 교체하기 위해 가요성튜브(T)를 잡아당기게 되면 가요성튜브(T)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산기관(40)이 폐구(막힘)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악취가스(예:암모니아)를 유입시켜 주게 되면 산기관(40)과 가요성튜브(T)가 분리될 수도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가요성튜브(T)와 산기관(40) 사이에 산기관(40)의 폐구시 악취가스를 유도해 이를 매개로 산기관(40)을 부양시키는 부력기구(70)를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에서 산기관과 부력기구를 따로 발췌하여 결합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부력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부력기구(70)는 가지관(71)과 체크밸브(72) 및 풍선(73)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요성튜브(T)와 산기관(40) 사이에 설치되어 산기관(40)의 폐구시 악취가스를 유도해 이를 매개로 산기관(40)을 부양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지관(71)은 가요성튜브(T)와 산기관(40)을 상호 연결하는 주관(71a)과, 주관(71a)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유입공(71b-2)을 갖춘 단턱부(71b-1)가 일체로 형성된 분기관(7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크밸브(72)는 분기관(71b)의 내부에 일단부가 수용되고 타단이 주관(71a)을 관통해 체결수단(예:너트)을 매개로 고정되는 체결봉(72a)과, 체결봉(72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입공(71b-2)을 개방/폐쇄하는 패킹판(72b)과, 체결봉(72a)에 끼워져 패킹판(72b)을 유입공(71b-2)을 향해 미는 스프링(72c)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분기관(71b)의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봉(72a)은 단면모양이 대략‘T’자 형상을 이루고, 체결봉(72a)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예:너트)의 조작을 통해 스프링(72c)이 패킹판(72b)을 미는 강도를 조절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판(72b)는 합성고무재질의 판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72c)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이다.
상기 풍선(73)은 분기관(72b)에 설치되며 분기관(72b)을 통해 악취가스(예:암모니아)를 전달받아 팽창되어 산기관(40)을 부양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튜브(T)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예:암모니아)는 주관(71a) 및 산기관(40)의 연결관부(44)를 지나 다공성부재(41)로 유입되며, 유입된 악취가스는 다시 다공성부재(41)에 의해 균일하게 배출되며, 이때 함께 유입된 이물질(예:먼지)은 다공성부재(41)에 의해 걸러(필터링)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부재(41)에 의해 배출된 악취가스는 물에 녹게 되면서 탈취된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상기 다공성부재(41)에 점진적으로 축적되는 이물질로 인해 다공성부재(41)가 폐구(막힘)되면 악취가스는 더 이상 다공성부재(41)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 대신, 분기관(71b)을 통해 풍선(73)으로 유입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분기관(71b)의 유입공(71b-2)으로 유입되는 악취가스로 인해 체크밸브(72)를 구성하는 패킹판(72b)이 밀리게 되고, 이 과정에 스프링(72c)는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악취가스는 분기관(71b)을 지나 풍선(73)으로 유입되며, 이로 인해 풍선(73)은 팽창하게 된다.
또한, 팽창된 풍선(73)으로 인해 산기관(40)은 자연스럽게 부양되고, 작업자는 부양된 산기관(40)을 파지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 후, 새로운 산기관(40)으로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산기관(40)의 폐구시 악취가스를 유도해 이를 매개로 산기관(40)을 부양시켜주는 부력기구(70)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산기관(40)을 외부로 인출해 줄 수 있고, 특히 산기관(40)을 인출하기 위해 가요성튜브(T)를 잡아당기지 않아도 되므로 가용성튜브(T)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부력기구(70)에 의해 산기관(40)이 부양된 경우 작업자 이를 확인하지 않게 되면 자칫 팽창된 풍선(73)이 분기관(71b)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탈취조(20) 내에서 터져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부력기구(70)에 의해 산기관(40)이 부양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탈취조(20) 내에 풍선(73)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80)가 설치되어 풍선(73) 감지시 이를 컨트롤러(미도시)로 출력하게 되고, 컨트롤러(미도시)는 이를 전달받아 탈취조(20)에 설치된 부져(B)를 동작제어해 음향을 발생하도록 함과 동시에 송풍기(50)의 동작을 제어해 줌으로서 더 이상의 악취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이를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저장조 20: 탈취조 30: 이송관
40: 산기관 41: 다공성부재 42: 상/하부지지판
43: 포스트 44: 연결관부 45: 고정부재
50: 송풍기 60: 압력계 70: 부력기구
71: 가지관 71a: 주관 71b: 분기관
72: 체크밸브 72a: 체결봉 72b: 패킹판
72c: 스프링 80: 감지센서 P1: 배기관
F: 필터 P2: 회수관 B: 부져

Claims (6)

  1. 유기성폐기물이 발효되는 저장조;
    물이 수용되는 탈취조;
    상기 저장조와 탈취조를 상호 연결하는 이송관;
    상기 탈취조에 수용 및 인출가능하도록 가요성튜브를 매개로 이송관에 상호 연결되어 저장조의 악취가스를 이송관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물로 배기시키는 산기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저장조 내의 악취가스를 산기관으로 이송하는 송풍기;
    상기 가요성튜브와 산기관을 상호 연결하며 분기관을 구비하는 가지관과, 분기관의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체크밸브, 및 분기관에 설치되며 분기관을 통해 악취가스를 전달받아 팽창되어 산기관을 부양시키는 풍선으로 구성되어 산기관의 폐구시 악취가스를 유도해 이를 매개로 산기관을 부양시키는 부력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에는 이송관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관은,
    상기 가요성튜브와 산기관을 상호 연결하는 주관과, 주관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유입공을 갖춘 단턱부가 일체로 형성된 분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분기관의 내부에 일단부가 수용되고 타단이 주관을 관통해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체결봉과, 체결봉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입공을 개방/폐쇄하는 패킹판과, 체결봉에 끼워져 패킹판을 유입공을 향해 미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풍선은,
    상기 분기관의 둘레면에 끼워져 악취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유입된 악취가스가 통과되는 다공성부재와,
    상기 다공성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맞대어지는 상/하부지지판과,
    상기 다공성부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하부지지판을 관통해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포스트와,
    상기 상부지지판에 끼워져 하단부가 다공성부재에 인입되고,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가요성튜브와 상호 연결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상부지지판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연결관부와 상호 체결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41416A 2016-04-05 2016-04-05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KR10184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16A KR101844033B1 (ko) 2016-04-05 2016-04-05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16A KR101844033B1 (ko) 2016-04-05 2016-04-05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481A KR20170114481A (ko) 2017-10-16
KR101844033B1 true KR101844033B1 (ko) 2018-04-02

Family

ID=6029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416A KR101844033B1 (ko) 2016-04-05 2016-04-05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636B1 (ko) * 2021-02-22 2021-09-27 주식회사 에코피앤씨 고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된 폐기물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864A (ja) * 2005-07-06 2007-01-25 Sumitomo Heavy Ind Ltd 廃水の嫌気性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0757461B1 (ko) * 2007-04-13 2007-09-11 주식회사 수엔테크 균일한 공기공급이 가능한 고효율 멤브레인 산기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864A (ja) * 2005-07-06 2007-01-25 Sumitomo Heavy Ind Ltd 廃水の嫌気性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0757461B1 (ko) * 2007-04-13 2007-09-11 주식회사 수엔테크 균일한 공기공급이 가능한 고효율 멤브레인 산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481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460B1 (ko) 가축사체 처리장치
KR101844033B1 (ko) 유기성폐기물 탈취시스템
CN106769270A (zh) 一种静态水面大气污染气体采样装置及其采样方法
KR100883199B1 (ko) 관로세척장치
WO2020187804A1 (en) Stable comprising a ventilation system and a waste removal system
EP3707997A1 (en) Stable comprising a ventilation system and a waste removal system
CN110201513A (zh) 一种生物除臭装置及其除臭工艺
KR101385027B1 (ko) 저장탱크를 이용한 동물 사체 처리용 혐기성 소화조
KR102047381B1 (ko) 공기중의 악취탈취 시스템
CN107549274A (zh) 一种肉牛用大肠清洗装置
KR101061535B1 (ko) 악취처리장치
CN201249990Y (zh) 一种真空吸液罐组件
CN207295965U (zh) 一种智能化预制泵站
JP2004016854A (ja) 汚水貯留槽等の臭気除去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臭気除去装置の設置方法
CN207685269U (zh) 一种养殖污水覆膜沼气池
CN106045014B (zh) 一种造纸废水处理反冲洗疏通曝气装置
KR101260798B1 (ko) 종말처리장 악취방지설비의 응축수 자동 배수장치
CN206078659U (zh) 一种具有回收饵料和排泄物功能的气动回收系统
NL2025132B1 (en) Stable comprising a ventilation system and a waste removal system
KR200421833Y1 (ko) 싱크대 수조의 배출관과 음식물처리장치의 연결구조
NL2025127B1 (en) Stable comprising a ventilation system and a waste removal system
US20120067445A1 (en) Device for use of animal waste gas emission for conversion of methane and suppression of global warming
EP3707996A1 (en) Stable comprising a ventilation system and a waste removal system
CN211706351U (zh) 一种工业废气除臭装置
CN220665302U (zh) 一种粪便废水处理实用年限长沼气池软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