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745Y1 -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745Y1
KR200421745Y1 KR2020060011663U KR20060011663U KR200421745Y1 KR 200421745 Y1 KR200421745 Y1 KR 200421745Y1 KR 2020060011663 U KR2020060011663 U KR 2020060011663U KR 20060011663 U KR20060011663 U KR 20060011663U KR 200421745 Y1 KR200421745 Y1 KR 200421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r
coolant
exhaust gas
egr cool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원
김희년
Original Assignee
이태원
김희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원, 김희년 filed Critical 이태원
Priority to KR2020060011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7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7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3Layout, e.g. schematics
    • F02M26/28Layout, e.g. schematics with liquid-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에 관한 것으로 EGR 쿨러(C)의 냉각수 유입구(40)에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버트플라이 밸브(V)를 장착하여 EGR 쿨러(C)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다단으로 조절하여 냉각수 배출구(50)로 배출시키는 핫/콜드 EGR을 가변제어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의 재순환장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쿨러,솔레노이드,버트플라이 밸브,질소산화물.

Description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The Exhaust Gas Recirculation Device of a Vehicle}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구조 개념도
도 2 는 종래 엔진의 EGR 시스템의 구조 개념도
도 3 은 종래 엔진의 EGR 쿨러 시스템의 구조 개념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흡기관 (20) 배기관
(40) 냉각수 유입구 (50) 냉각수 배출구
(A)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C) EGR 쿨러
(E) EGR 밸브 (V) 버트플라이 밸브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흡기관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EGR 쿨러(Cooler)를 경유하여 순환시키되 EGR 쿨러의 냉각수 유입량을 조절하여 적정온도의 배기가스를 순환시킬 수 있게 하여 가능한 출력과 연비저하를 최소로 하면서 연소시의 최고온도를 저하시켜 질소산화물의 발생률을 저하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을 연소효율이 가장 높은 이론 혼합비로 운전시키면 탄화수소(HC)와 일산화탄소(CO)의 배출량은 감소하는데 반하여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은 증가되므로 상기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도 3 과 같이 배기관(20)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EGR 밸브(E)를 통하여 흡기관(10)의 흡기계통으로 재순환시켜 연소실(30)에서 연소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는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배기가스의 이산화탄소(CO2)나 응축수(H2O) 등과 같은 비열이 높은 가스가 흡기의 일부와 치환되어 혼입됨으로 혼합기의 열용량이 증대되어 실린더 내부의 연소가스 온도상승을 억제하며 공기 과잉율을 저하시켜 서멀(Thermal) 질소산 화물 생성을 억제함으로서 전체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줄이는 원리이다.
상기 EGR율 적용의 경우 북미(SULEV,ULEV 등),유럽(EUROⅢ,Ⅳ 등) 및 각국의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부하에서 50%,중속중부하에서 25%,고부하에서 10%까지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또한 저부하에서는 핫(Hot)EGR을 사용하여 점화지연과 공연비를 감소함으로서 질소산화물뿐만 아니라 매연을 포함하는 입자상물질(PM:Particulate Matters)과 탄화수소(HC)도 동시에 저감시키고 중부하에서는 콜드(Cold)EGR 적용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디젤엔진의 배기규제가 엄격해지면서 연비와 PM의 증가 없이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EGR 밸브에 엔진냉각수를 이용한 열교환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비교적 적은 투자로 질소산화물 저감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쿨드(Cooled)EGR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상기 EGR 쿨러가 효과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700℃까지 올라가는 것을 150-200℃까지 냉각시킬 수 있게 내열재질의 사용과,압력강하가 크면 적절한 EGR 양을 공급하기 어렵기 때문에 압력강하를 최소화하여야 하며,열교환 중 배기가스로부터 응축이 발생하며 연료의 황성분 때문에 응축수에 황산이 포함되어 부식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부식을 방지하여야 하고,배기가스의 맥동영향으로 기계적 부하가 작용하므로 기계적 강도유지가 필요하며,배출가스의 입자상 물질(PM) 등이 관내를 막을 수 있어 오염방지가 가능케 하는 EGR 쿨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EGR 쿨러 시스템은 도 3 과 같이 배기관(20)과 흡기관(10)의 사이에 설치되는 EGR 밸브(E)의 흡기관측으로 엔진 냉각수를 이용한 열교환장치인 EGR 쿨러(C)를 설치하고 EGR 쿨러(C)의 입구측 냉각수 유입구(40)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EGR쿨러(C)를 통해 배기가스를 냉각시키고 냉각수 배출구(50)를 통하여 냉각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엔진의 부압을 이용하여 EGR 밸브(E)의 유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EGR 쿨러 시스템은 엔진의 부압을 이용하여 EGR 밸브의 유량을 단순 제어하므로 엔진의 운전상태 즉,엔진의 회전속도와 부하에 따른 냉각수 온도의 가변제어는 불가능하여 엔진의 조건에 따른 EGR 쿨러의 내부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어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EGR 쿨러의 냉각수 통로에 버트플라이 밸브를 장착하여 개도를 직접 개방,일부개방 및 폐쇄작동시켜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여 엔진의 회전속도와 부하 및 냉각수의 온도 등을 감지한 엔진의 작동상태를 파악하여 EGR 온도를 가변 조절하므로 정밀제어가 가능케 하여 엔진의 구동조건에 따른 질소산화물 뿐만 아니라 입자상물질과 탄화수소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구조 개념도로로 흡기 매니폴드와 배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EGR 통로 상에 EGR 밸브와 쿨러를 설치하고 EGR 쿨러의 냉각수 유입구에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버트플라이 밸브를 설치하여 냉각수 통로의 개도를 개방,일부개방 및 폐쇄의 다단 작동으로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핫 EGR과 콜드 EGR의 가변제어 할 수 있게 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재순환 통로 상에 EGR 밸브(E)와 EGR 쿨러(C)를 설치하여 엔진상태에 따라 냉각수 유입구(40)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쿨러(C)를 통하여 냉각수 배출구(50)로 배출시킴으로서 EGR 온도를 조절하여 질소산화물 저감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A)에 있어서,
상기 EGR 쿨러(C)의 냉각수 유입구(40)에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버트플라이 밸브(V)를 장착하여 EGR 쿨러(C)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다단으로 조절하여 냉각수 배출구(50)로 배출시키는 핫/콜드 EGR을 가변제어 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상기 냉각수 유입구(40)에 설치되는 버트플라이 밸브(V)는 엔진의 부하,회전속도(RPM) 및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개도를 개방,일부개방 및 폐쇄 작동시킬 수 있게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은 EGR 컨트롤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기가스 중에서 유해가스로 규제하고 있는 일산화탄소(CO),탄화수소(HC),질소산화물(NOx) 및 입자상 물질(PM)의 성분을 엔진의 작동조건에 따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엔진을 장착하여 저공해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흡기관(10)에 배기관(20)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EGR 밸브(E)와 EGR 쿨러(C)를 경유하여 순환시키되 EGR 쿨러(C)의 냉각수 유입량을 조절하여 적정온도의 배기가스를 순환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EGR 쿨러(C)를 통하여 흡기관(10)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EGR 쿨러(C)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냉각수 유입구(40)와 냉각수 배출구(50)를 설치하고 냉각수를 공급하여 EGR 쿨러(C)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냉각수 유입구(40)에 버트플라이 밸브(V)를 장착시킨다.
상기 버트플라이 밸브(V)는 솔레노이드로 작동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은 3단계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솔레노이드를 90˚로 작동시키면 버트플라이 밸브(V)는 냉각수 유입구(40)의 흐름방향으로 수직으로 작동하여 개도를 전면 개방시켜 냉각수를 최대한 공급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를 45˚로 작동시키면 버트플라이 밸브(V)는 냉각수 유입구(40)의 흐름방향으로 45˚ 경사지게 개방 작동되어 개도의 일부를 개방시켜 냉각수를 일부만 공급하며 솔레노이드를 0˚로 작동시키면 버트플라이 밸브(V)는 냉각수 유입구(40)의 흐름방향으로 수평으로 작동하여 개도를 폐쇄시켜 냉각수가 EGR 쿨러(C)로 유입되지 못하게 차단시키는 것이다.
상기 EGR 쿨러(C)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엔진의 EGR율이 증가하면 매연이 증대되며 연비도 초기에는 향상되었다가 어느 시점에서 급격하게 악화되며 이들 제반인자들을 고려해 엔진 작동점에서 최적의 EGR율을 결정하여야 하며 최적의 EGR율의 결정은 일산화탄소,탄화수소,매연 및 연비가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 EGR 쿨러(C)는 자동차 엔진의 부하,회전속도 및 냉각수의 온도 정보를 ECU(도시없음)에 의해 전달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핫 EGR의 경우 EGR 쿨러(C)의 일측에 장착된 냉각수 유입구(40)에 장착된 버트플라이 밸브(V)를 폐쇄 작동시켜 즉,솔레노이드를 0˚로 작동시켜 개도를 막아버리면 EGR 쿨러(C)의 내부가 열교환이 적어져서 핫 EGR 가스가 엔진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다.
콜드 EGR의 경우는 EGR 쿨러(C)의 일측에 장착된 냉각수 유입구(40)에 장착된 버트플라이 밸브(V)를 개방 작동시켜 즉,솔레노이드를 90˚로 작동시켜 개도를 열어버리면 EGR 쿨러(C)의 내부로 최대유량의 냉각수가 공급되어 열교환이 많아져서 콜드 EGR 가스가 엔진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중간온도의 EGR 가스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EGR 쿨러(C)의 일측에 장착된 냉각수 유입구(40)에 장착된 버트플라이 밸브(V)를 일부 개방 작동시켜 즉,솔레노이드를 45˚로 작동시켜 개도를 일부 열어서 EGR 쿨러(C)의 내부로 일정량의 냉각수가 공급되어 열교환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중간온도의 EGR 가스가 엔진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버트플라이 밸브(V)의 3단계 다단작동으로 냉각수의 유량을 가변제어함으로써 핫/콜드 EGR을 정밀제어가 가능케 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배기가스의 재순환시 엔진의 상태에 따라 적정온도로 가변제어 함으로서 가솔린 엔진의 경우 연소실의 연소온도를 저하시키고 디젤 엔진의 경우에는 연소공기의 산소농도를 저감시킴으로 질소산화물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탄화수소 및 입자상 물질의 배출을 저감시켜 친환경적인 저공해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재순환 통로 상에 EGR 밸브(E)와 EGR 쿨러(C)를 설치하여 엔진상태에 따라 냉각수 유입구(40)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쿨러(C)를 통하여 냉각수 배출구(50)로 배출시킴으로서 EGR 온도를 조절하여 질소산화물 저감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A)에 있어서,
    상기 EGR 쿨러(C)의 냉각수 유입구(40)에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버트플라이 밸브(V)를 장착하여 EGR 쿨러(C)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다단으로 조절하여 냉각수 배출구(50)로 배출시키는 핫/콜드 EGR을 가변제어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의 재순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입구(40)에 설치되는 버트플라이 밸브(V)는 엔진의 부하,회전속도(RPM) 및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개도를 개방,일부개방 및 폐쇄 작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가스의 재순환장치.
KR2020060011663U 2006-05-01 2006-05-01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KR200421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663U KR200421745Y1 (ko) 2006-05-01 2006-05-01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663U KR200421745Y1 (ko) 2006-05-01 2006-05-01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745Y1 true KR200421745Y1 (ko) 2006-07-14

Family

ID=4177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663U KR200421745Y1 (ko) 2006-05-01 2006-05-01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7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608B1 (ko) 2007-08-24 2010-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Egr 냉각수 제어 시스템
KR101960216B1 (ko) * 2018-01-10 2019-03-20 김희년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608B1 (ko) 2007-08-24 2010-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Egr 냉각수 제어 시스템
KR101960216B1 (ko) * 2018-01-10 2019-03-20 김희년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8642B2 (ja) Egr装置
US20170306898A1 (en) Engin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ngine using the engine system
US10247144B2 (en) Engine 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ing system with integrated latent heat storage device
US20080163855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of EGR control
US10167821B2 (en) Engine system hav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ngine system hav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apparatus
JPH11200955A (ja) 排気ガス還流装置
CN108716433A (zh) 发动机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RU2684051C2 (ru)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хладителем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US9353670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262128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combustion heater
CN101245730B (zh) 用于混合动力汽车的均质压燃汽油机进气系统
CN108843464A (zh) 柴油机再循环废气冷却器用旁通阀的控制方法
KR20080098843A (ko)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JP2001164999A (ja) 排気再循環装置の詰まり検出装置
KR20180053102A (ko) 응축수 제거를 위한 엔진 시스템
JP2017036695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7178226B2 (ja) 排気ガス暖機装置
US20140109884A1 (en) Automotive engine coolant and heating system
KR200421745Y1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CN107781021B (zh) 用于车辆的发动机冷却系统和车辆
KR102193900B1 (ko) 과잉산소 재순환을 이용한 준무배기 엔진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1821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rifying exhaust gas for prevention of nh3 slip
JP2008063976A (ja) エンジンの排気ガス還流装置
JP2009085094A (ja) 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KR101227178B1 (ko) 디젤엔진시스템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에서의 응축수 제거구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