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721Y1 -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 Google Patents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721Y1
KR200421721Y1 KR2020060011144U KR20060011144U KR200421721Y1 KR 200421721 Y1 KR200421721 Y1 KR 200421721Y1 KR 2020060011144 U KR2020060011144 U KR 2020060011144U KR 20060011144 U KR20060011144 U KR 20060011144U KR 200421721 Y1 KR200421721 Y1 KR 200421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lamping bolt
clamping
preven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홍
Original Assignee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1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721Y1/ko
Priority to JP2007054229A priority patent/JP5090016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16B35/044Specially-shaped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건설현장 등에서 비계 설치용으로 사용되는 비계용 클램프 등의 클램핑 볼트에 있어서, 너트가 클램핑 볼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방지수단을 갖춘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에 관한 것인 바,
나사결합된 너트(2)를 풀고 조여서 클램핑 작업을 수행하는 클램핑 볼트(1)에 있어서, 클램핑 볼트(1)에 너트(2)의 나사체결과는 별도로 너트(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너트(2)의 분리방지수단을 구비시키되, 너트(2)의 분리방지수단은, 너트(2)가 나사체결되는 클램핑 볼트(1)의 나사체결부(3) 일측에 나사체결부(3)와 동일한 피치의 나사부(5)를 형성한 테이퍼부(4)를 형성하고 테이퍼부(4) 끝단에는 너트(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6)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너트(2)가 클램핑 볼트(1)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클램핑 볼트(1)와 너트(2)간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져 클램핑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등의 잇점을 도모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볼트 너트 나사체결부 테이퍼(TAPER)부 나사부 이탈방지부재 환턱 압점부 비계용 클램프 몸체 체결쇠 비계파이프

Description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Clamping bolt net separate pre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비계용 클램프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볼트 2: 너트
3: 나사체결부 4: 테이퍼(TAPER)부
5: 나사부 6: 이탈방지부재
7: 환턱 8: 압점부
10: 비계용 클램프 11: 몸체
12: 체결쇠 13: 비계파이프
본 고안은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 로 건설현장 등에서 비계 설치용으로 사용되는 비계용 클램프 등의 클램핑 볼트에 있어서, 너트가 클램핑 볼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방지수단을 갖춘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현장에서 비계파이프를 종횡으로 설치하는 비계용 클램프 등에는 체결쇠를 클램핑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조임함으로써 비계파이프를 클램핑의 몸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계용 클램프 등에 사용되는 클램핑 볼트는 체결된 너트를 볼트로부터 풀어낼 경우 작업의 신속성 등을 위해 전동공구 등을 사용하여 풀어내게 되는 데, 이때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체결된 너트가 클램핑 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분리된 너트의 관리가 용이치 않게 되고 너트를 유실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는 것이었다.
특히, 비계용 클램프와 같이 비계를 제거한 뒤 다음 비계설치작업을 위하여 너트를 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볼트에 결합된 상태로 두었다가 차후의 비계 설치작업시에 볼트에 너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곧바로 클림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위해 가장 바람직한 경우, 또는 너트가 볼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결합된 너트를 빈번히 조였다가 풀어내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각종의 클램프에 있어서는 너트를 조이고 푸는 작업 도중 너트가 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너트를 볼트에 재결합한 뒤 체결하여야만 하고 분리된 너트는 유실 우려도 높아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에서는 주로 비계용 클램프 등의 클램핑 볼트에 있어서 너트를 클램핑 볼트로부터 풀어낼 경우 너트가 클램핑 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볼트에 결합된 상태로 있게 함으로써 너트의 유실 우려를 방지함과 동시에 너트가 볼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에 대한 너트의 클램핑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즉, 너트를 풀고 조이는 작업은 그대로 수행되면서도 너트가 볼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계용 클램프 등 각종 클램프의 클램핑 볼트에 있어서, 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볼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바, 이하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비계용 클램프의 클램핑 볼트에 본 고안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이다.
비계용 클램프(1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몸체(11)와 몸체(11)에 힌지 결합되는 체결쇠(12)와, 몸체(11)에 힌지 결합된 클램핑 볼트(1)로 이루어지고, 클램핑 볼트(1)에 체결된 너트(2)가 체결쇠(12)에 조임결합되어 몸체(11)와 체결쇠(12) 사이의 비계파이프(13)를 종횡으로 고정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비계용 클램프(10) 등과 같은 각종 클램프의 클램핑 볼트(1)에 있어서, 클램핑 볼트(1)에 너트(2)의 분리방지수단을 갖춘 것이다.
클램핑 볼트(1)는 나사체결부(3) 일측에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테이퍼부(4)를 별도로 형성하고, 테이퍼부(4)에는 나사체결부(3)와 동일한 피치에서 나사산을 점차적으로 하향되게 절삭한 형태의 나사부(5)로 형성한다.
테이퍼부(4)는 너트(2)의 폭이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나사체결부(3) 일측 테이퍼부(4)의 끝단에는 환턱(7)을 만들고 너트(2)를 나사 결합 후 이탈방지부재(6)를 환턱(7)에 끼운 다음 선단부분을 압착하여 클랭핑 볼트(1)를 구성한 것이다.
이탈방지부재(6)는 클램핑 볼트(1)의 테이퍼부(4) 끝단의 환턱(7)에 너트(2)의 내경보다 큰 와셔를 삽입 후 끝단부분을 이탈방지부재(6)의 내경보다 다소 넓은 상태가 되게 압착하여 고정결합시켜 너트(2)가 클램핑 볼트(1)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부재(6)를 나사체결부(3)의 환턱(7)에 삽입 후 결합방법으로서 다른 실시 예로는 나사체결부(3)의 환턱(7)에 이탈방지부재(6)를 끼운 후 끝단부분을 다수 곳에 압점부(8) 처리하여 압접부(8) 부분이 이탈방지부재(6)의 애경보다 다소 돌출되게 하여 일체화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6)는 위에서 전술한 예 외에도 등가의 여러 수단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클램핑 볼트(1)에 너트(2)가 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핑 작업 등이 이루어져 너트(2)가 클램핑 볼트(1)로부터 분리되어 유실되거나 클램핑 볼트(1)로부터 분리된 너트(2)를 재결합하여 체결작업할 필요없이 너트(2)가 클램핑 볼트(1)에 결합된 상태에서 곧바로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클램핑 볼트(1)는 도 3과 같이 나사체결부(3)로부터 너트(2)를 풀어내게 되면 나사체결부(3) 일단에 형성된 테이퍼부(4)의 나사부(5)로 너트(2)가 풀려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테이퍼부(4)의 나사부(5)로 이동된 너트(2)는 너트(2)의 내경보다 작은 테이퍼부(4)에 위치하게 되므로 클램핑 볼트(1)의 나사체결부(3)에 대한 나사 결합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퍼부(4)에 이동된 너트(2)는 끝단의 이탈방지부재(6)에 의하여 클램핑 볼트(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테이퍼부(4)에 머물러 있는 단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너트(2)를 나사체결부(3)에 나사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테이퍼부(4)에 있는 너트(2)를 돌려서 나사체결부(3)로 체결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테이퍼부(4)에 형성된 나사부(5)의 안내에 따라 너트(2)가 점진적이면서 자연스럽게 나사체결부(3)에 나사결합되어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너트(2)의 체결작업을 보다 기민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의 비계용 클램프(10) 등에서와 같이 너트(2)가 클램핑 볼트(1) 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계파이프(13)의 클램핑작업을 위한 너트(2)의 풀고 조이는 작업이 이루어져 안정되고 기민한 클램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계용 클램프(10)의 클램핑 볼트(1)를 일례로 중점 설명하고 있으나, 너트(2)의 분리방지기능을 갖춘 본 고안은 언급된 비계용 클램프(10) 뿐만 아니라 클램핑 볼트(1)로부터 너트(2)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반복적이고 빈번하게 너트(2)를 조이고 푸는 클램핑작업이 요구되는 여러 클램프의 클램핑 볼트(1)에 적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계용 클램프(10) 등에 있어서, 클램핑 볼트(1)에 결합된 너트(2)를 풀고 조이는 작업은 그대로 수행하면서도 너트(2)가 클램핑 볼트(1)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클램핑 볼트(1)와 너트(2)간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져 클램핑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나사결합된 너트(2)를 풀고 조여서 클램핑 작업을 수행하는 클램핑 볼트(1)에 있어서,
    클램핑 볼트(1)에 너트(2)의 나사체 결합과는 별도로 너트(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너트(2)의 분리방지수단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너트(2)의 분리방지수단은, 너트(2)가 나사체결되는 클램핑 볼트(1)의 나사체결부(3) 일측에 나사체결부(3)와 동일한 피치의 나사부(5)를 형성한 테이퍼부(4)를 형성하고, 테이퍼부(4)에는 나사체결부(3)와 동일한 피치에서 나사산을 점차적으로 하향되게 절삭한 형태의 나사부(5)로 형성하며, 테이퍼부(4)의 끝단에는 환턱(7)을 만들어 너트(2)를 나사 결합 후 이탈방지부재(6)를 환턱(7)에 끼운 다음 선단부분을 압착함을 특징으로 한 너트분리방지 클랭핑 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나사체결부(3)의 환턱(7)에 이탈방지부재(6)를 끼운 후 끝단부분을 다수 곳에 압점부(8) 처리하여 압접부(8) 부분이 이탈방지부재(6)의 내경보다 다소 돌출되게 일체함을 특징으로 한 너트분리방지 클랭핑 볼트.
KR2020060011144U 2006-04-26 2006-04-26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KR200421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44U KR200421721Y1 (ko) 2006-04-26 2006-04-26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JP2007054229A JP5090016B2 (ja) 2006-04-26 2007-03-05 クラン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44U KR200421721Y1 (ko) 2006-04-26 2006-04-26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457A Division KR20070105807A (ko) 2006-04-28 2006-04-28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721Y1 true KR200421721Y1 (ko) 2006-07-18

Family

ID=4177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144U KR200421721Y1 (ko) 2006-04-26 2006-04-26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7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79B1 (ko) 2013-07-24 2015-05-14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운반용 팔레트의 파이프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79B1 (ko) 2013-07-24 2015-05-14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운반용 팔레트의 파이프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496A (en) Reusable and adjustable fastener for use with power tool applicator
GB2369169A (en) Bolt for conveyor belt fastener
JP2009299885A (ja) 弛み防止ボルト
AU2004274305A1 (en) Tool for tightening security nut, tool for releasing security nut, tool for both tightening and releasing security nut, and security nut for exclusive use of these tools
KR200421721Y1 (ko)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KR101097958B1 (ko) 와이어 정착용 앵커볼트
KR20070105807A (ko) 너트분리방지 클램핑 볼트
CN102255148A (zh) 涨紧连接线夹
JP2011047479A (ja) 締結構造
JP3113812U (ja) クランプ金具
EP1143182A3 (de) Überwurfschraube und Schraubverbindung zwischen einem Bremsschlauch und einer Bremsleitung
KR100958409B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0447996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JP2011179679A (ja) ロック用ピン機構
KR20100005514U (ko) 와이어 고정용 턴버클
KR20190097436A (ko) 교량의 박스거더용 발판현가시스템
JP2022129431A (ja)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の取付け治具及び取付け方法
JP2005066725A (ja) アンカー抜取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カー抜取方法
US7748936B2 (en) Bracing arrangement with overload protection
KR200433314Y1 (ko) 소켓 렌치
CN201037498Y (zh) 一种复合式螺栓
CN215596142U (zh) 一种螺栓连接紧固件
KR200294277Y1 (ko) 가공전선 가선용 전선클립
KR200285350Y1 (ko) 전선연결용 슬리브
JP2008014469A (ja) 締付結合装置、締付結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