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711Y1 -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711Y1
KR200421711Y1 KR2020060010647U KR20060010647U KR200421711Y1 KR 200421711 Y1 KR200421711 Y1 KR 200421711Y1 KR 2020060010647 U KR2020060010647 U KR 2020060010647U KR 20060010647 U KR20060010647 U KR 20060010647U KR 200421711 Y1 KR200421711 Y1 KR 200421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tube
intake hole
electrostatic brus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욱
Original Assignee
윤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욱 filed Critical 윤성욱
Priority to KR2020060010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6/00Cleaning by electrost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레르기성 비염과 호흡기 질병의 주원인인 각종 먼지와 집먼지 진드기와 같은 미세 해충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에 관한 것으로, 진공청소기에서 흡기력이 발생하는 호스 또는 홈으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외주면이 테이퍼진 삽입관을 갖는 연통관; 상기 연통관과 연결되고, 상기 진공청소기의 구동에 의한 흡기가 일어나는 흡기구멍을 갖는 덮개를 포함한 본체; 및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는 소정길이의 가요성 털로 구성되며, 상기 흡기구멍과 인접하게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정전솔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Aspira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의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통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흡진기구 110 ; 정전솔
111 ; 끼움막대 120 ; 덮개
121 ; 가로막 122 ; 끼움구멍
123 ; 흡기구멍 124 ; 지지체
125 ; 고정편 126 ; 제1나사산
130 ; 본체 131 ; 연결관
132 ; 제2나사산 140 ; 가요관
150 ; 연통관 151 ; 끼움관
152 ; 삽입관 153 ; 패킹부재
200 ; 흡입관
본 고안은 알레르기성 비염과 호흡기 질병의 주원인인 각종 먼지와 집먼지 진드기와 같은 미세 해충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에 관한 것이다.
집먼지에 주로 서식하는 집먼지 진드기는 알레르기성 비염과 축농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종 미세 해충 및 먼지 등과 더불어 천식 및 아토피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문제의 원인이라 할 수 있는 미세 해충 및 먼지 등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미세 해충 및 먼지 등은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창문의 틈이나, 이불 및 옷 등 직물재 물품의 틈새공간, 또는 세간의 구석 및 사이 사이에 깊숙이 존재하면서, 청소 시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주변에 남는 문제가 있었다.
즉, 먼지털이,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먼지제거 및 물청소 등, 다양한 방식의 청소를 진행하더라도 이러한 종래 청소도구 및 방식으로는 미세 해충 및 먼지 등을 완벽히 제거한다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앞서 제시한 일상적인 청소방법으로는 창문의 틈이나, 이불 및 옷 등 직물재 물품의 틈새공간, 또는 세간의 구석 및 사이 사이에서 미세 해충 및 먼지 등의 제거가 거의 불가능하여,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미세 해충 및 먼지 등을 그대로 방치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미세 해충 및 먼지 등의 제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 청소 시 발생하게 되는 비산먼지의 확산을 가능한 줄여 보다 쾌적하고 깔끔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서 흡기력이 발생하는 호스 또는 홈으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외주면이 테이퍼진 삽입관을 갖는 연통관;
상기 연통관과 연결되고, 상기 진공청소기의 구동에 의한 흡기가 일어나는 흡기구멍을 갖는 덮개를 포함한 본체; 및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는 소정길이의 가요성 털로 구성되며, 상기 흡기구멍과 인접하게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정전솔;
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흡진기구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 및 본체가 소정 길이의 가요관을 매개로 이격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흡진기구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멍의 개구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흡기구멍의 중심부에 위 치되는 가로막이 상기 덮개에 더 구비되고;
상기 정전솔은 상기 가로막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흡진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이 탄성 및 마찰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패킹부재로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흡진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이, 다수의 경사진 구배면과 다수의 평면이 각각 교대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흡진기구에 있어서,
상기 정전솔은 양단에 각각 배치된 털이 중심에 배치된 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 전체적으로 타원형이 되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의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100)는 일반적인 청소방법 으로는 미세 해충 및 먼지(이하 미세 먼지) 등을 청소할 수 없는 공간에서 상기 미세 먼지의 확산없이 이들을 제거할 수 있고, 그 방식 또한 어렵지 않도록 한 것으로, 상기 미세 먼지 등을 전기적인 인력으로 끌어당겨 잡는 정전솔(110)과, 상기 정전솔(110)을 고정하면서 말단은 진공청소기(미 도시함)의 흡입관(200)과 연통되는 본체(130)를 포함한다.
결국, 상기 흡진기구(100)는 상기 정전솔(110)에서 발생한 정전기가 미세 먼지 등을 전기적인 인력으로 잡아당겨 포집하고, 상기 정전솔(110)이 보유한 정전기의 소멸로 이탈하는 미세 먼지는 상기 흠진기구(100)와 연통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본체(130)로 흡입된다. 이후, 상기 본체(130)로 흡입된 미세 먼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200)으로 유입되어서 진공청소기에 담기게 된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보다 명확해지도록 설명한다.
상기 정전솔(110)은 마찰로 인한 정전기 유도가 쉽게 일어나는 재질로 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다수개의 털이 솔 형태로 뭉쳐 이루어진다.
이는 정전솔(110)을 창문의 틈이나 세간의 구석 및 사이 사이로 쉽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상기 정전솔(110)을 상기 틈이나 구석 및 사이사이에서 끼워넣은 후 소정 횟수의 왕복운동을 하면 정전기가 유도된다. 또한 부드러운 가요성 재질로 되므로, 직물과의 직접적인 마찰로 해당 직물이 손상되거나 훼손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정전솔(110)은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는 재질 인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칠렌 및 염화비닐과 같은 합성섬유나, 실리콘 및 테프론 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정전솔(110)은 상기 본체(130)와의 결합을 위해 이를 매개하는 상기 덮개(120)에 끼워지며, 이를 위해 끼움막대(111)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120)는 본체(130)와 정전솔(110)을 연결하는 매개이자, 진공청소기의 흡기력이 정전솔(110)에 미치도록 한 것으로, 상기 끼움막대(111)가 삽입되는 끼움구멍(122)과, 진공청소기의 흡기력이 발생하는 흡기구멍(123)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전솔(1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끼움막대(11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막대(111)가 삽입되는 상기 끼움구멍(122)은 상기 흡기구멍(123)의 중심에 위치한다. 즉, 상기 흡기구멍(123)에서 발생하는 흡기력이 끼움막대(111)를 중심으로 한 정전솔(110)의 둘레부에 일률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끼움구멍(122)은 상기 흡기구멍(123)의 중심을 일부 가로막는 가로막(121)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막(121)은 상기 정전솔(110)의 하단부를 감싸는 듯한 곡면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정전솔(110)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을 이루는 것이 좋다. 즉, 타원형의 상기 정전솔(110)은 장축이 상기 끼움막대(11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되도록 되며, 상기 장축의 양단에 배치되는 낱개의 털은 중심부에 배치되는 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흡기구멍(123)에 인접한 상대적으로 짧은 털과 상기 털을 흡기 구멍(123)과 격리하는 상기 가로막(121)은, 상기 정전솔(110)의 털이 흡기구멍(123)으로 빨려들어가 흡기구멍(123)을 막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막(121)에 의해 흡기구멍(123)의 면적이 좁아져서 노즐효과에 의한 흡기력의 상승을 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로막(121)을 흡기구멍(123)에 위치시키기 위해 이를 고정하는 지지체(124)와 고정편(125)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체(124)는 가로막(121)을 지탱하며, 상기 고정편(125)은 상기 지지체(124)를 덮개(120)의 외벽과 연결 고정한다.
상기 본체(130)는 상기 덮개(120)와 연결되며, 상기 흡기구멍(123)과 연통하는 중공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120)와 본체(130)는 일체일 수 있으나, 제조 상의 편익을 위해 분리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상기 덮개(120)와 본체(130)가 분리된 실시예를 보이고 있으며, 덮개(120)와 본체(130)는 제1나사산(126)과 제2나사산(132)에 의한 결합을 이룬다.
한편, 상기 본체(130)는 가요관(140)과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131)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가요관(140)은 진공청소기로부터 상기 정전솔(110) 및 본체(130)를 이격시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가요관(140)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는 상기 본체(130)의 연결관(131)과 연통관(150)의 끼움관(151)이 맞물려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100)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있고 기동성이 떨어지는 진공청소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나, 창문의 틈, 세간의 구석 및 사이사이에서 활동적 으로 움직여야 하므로, 진공청소기와는 이동성에 있어서 독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덮개(120) 및 본체(130)는 상기 진공청소기와 소정 길이의 가요관(140)을 매개로 연통 연결되며, 상기 본체(130)는 상기 가요관(140)의 일단과 맞물리는 연결관(131)을 갖는다.
여기서는 상기 가요관(140)과 연결관(131)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가요관(140)과 본체(130)가 일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와 연결되어 활용되는데, 상기 진공청소기는 제조사와 그 용도 및 모델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100)는 다양한 규격의 진공청소기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며, 이를 위해 상기 가요관(140)의 타단은 모든 진공청소기와 결합할 수 있는 연통관(1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연통관(150)이 맞물리게 되는 진공청소기의 위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 또는 진공청소기의 본체와 상기 호스가 연결되는 홈 등, 흡기력이 발생하는 곳은 어디든지 가능할 것이다.
진공청소기의 기성품은 상기 호스 또는 홈이 원형을 이루며, 일반적으로 31파이, 34파이, 38파이 등으로 된다. 즉, 다양한 구경을 갖는 상기 호스 또는 홈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통관(150)은 상기 가요관(140)의 일단과 맞물려 끼워지는 끼움관(151)과, 상기 호스 또는 홈에 맞물려 끼워지고 상기 끼움관(151)과 연통하는 삽입관(15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관(152)은 외주 면에 테이퍼져서 다양한 구경을 갖는 호스 또는 홈으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된다.
일예를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삽입관(152)의 가장 짧은 외경을 31파이로 하고, 가장 긴 외경을 38파이로 하여 이 범위 내의 구경을 갖는 호스 또는 홈과는 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삽입관(152)의 외경이 제시된 외경 값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삽입관(152)의 외주면은 탄성재질의 패킹부재(153)로 도포된다.
상기 패킹부재(153)는 표면 마찰력이 큰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패킹부재(153)를 포함한 상기 연통관(150)을 상기 호스 또는 홈으로 강하게 밀어 넣음으로서, 진공청소기와 가요관(140)과의 연결은 물론 연통관(150)과 진공청소기 간의 연결부에 대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통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통관(150)과 진공청소기의 호스 또는 홈과의 결합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의 연통관(150')은 상기 삽입관(152') 또는 패킹부재(153')의 외주면이 하나 이상의 층이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층은 구배면(a, c, e)과 평면(b, d, f)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구배면(a, c, e)과 평면(b, d, f)의 외경은 순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일예로, 상기 평면(b, d, f) 부분의 외경은 각각 순차적으로 31파이, 34파이, 38파이가 되며, 그 이전에 위치하는 구배면(a, c, e) 부분의 외경은 각각 31파 이 이하, 31파이 내지 34파이, 34파이 내지 38파이로 점점 증가하도록 된다.
이상 설명한 연통관(150')은 상기 연통관(150)과 비교할 때 상기 호스 또는 홈의 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연통관(150')과 진공청소기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100')의 다른 실시예를 보면, 상기 덮개(120')가 본체(130')와 일체로 되고, 지지체(124')와 고정편(125') 및 가로막(121')은 덮개(120')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다. 한편, 상기 덮개(120') 부분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편(125')의 말단이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133)가 형성된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흡진기구(100, 100')의 형상변화가 다양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보인 것으로,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정전솔을 이용해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이렇게 포집된 미세 먼지를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곧바로 흡진하여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생활환경 내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진공청소기와 호환을 이룰 수 있어,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진공청소기에서 흡기력이 발생하는 호스 또는 홈으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외주면이 테이퍼진 삽입관을 갖는 연통관;
    상기 연통관과 연결되고, 상기 진공청소기의 구동에 의한 흡기가 일어나는 흡기구멍을 갖는 덮개를 포함한 본체; 및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는 소정길이의 가요성 털로 구성되며, 상기 흡기구멍과 인접하게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정전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 및 본체가 소정 길이의 가요관을 매개로 이격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멍의 개구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흡기구멍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가로막이 상기 덮개에 더 구비되고;
    상기 정전솔은 상기 가로막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이 탄성 및 마찰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패킹부재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이, 다수의 경사진 구배면과 다수의 평면이 각각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솔은 양단에 각각 배치된 털이 중심에 배치된 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 전체적으로 타원형이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KR2020060010647U 2006-04-20 2006-04-20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KR200421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47U KR200421711Y1 (ko) 2006-04-20 2006-04-20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47U KR200421711Y1 (ko) 2006-04-20 2006-04-20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711Y1 true KR200421711Y1 (ko) 2006-07-18

Family

ID=4177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647U KR200421711Y1 (ko) 2006-04-20 2006-04-20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7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7845B2 (en) Flexible crevice tool for vacuum cleaners
US7024723B2 (en) Duster cleaning member for a vacuum cleaner
US7478457B2 (en) Rotating dust wand
JP2013141610A (ja) 真空清掃電気器具のための床ツール
US5765259A (en) Vacuum nozzle for cleaning ceiling fan blades
US6484357B1 (en) Nozzle attachment for a vacuum cleaner
KR20050021840A (ko) 진공청소기용 악세사리 조립체
CA2670689A1 (en) Duct cleaning attachment for a vacuum
ES2818256T3 (es) Dispositivo de recolección de polvo y desempolvado
CN101018497A (zh) 用于清洁器具的附件
JP2010213886A (ja) 電気掃除機
KR200427227Y1 (ko)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KR200421711Y1 (ko) 진공청소기용 흡진기구
JP3129636U (ja) 花粉等の吸取装置
WO2012153460A1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5278925B1 (ja) 電気掃除機の補助用ホース
JP2008296006A (ja) フレキシブルホ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US7017227B2 (en) Vacuum cleaner dusting attachment
JPH0397423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416717Y1 (ko) 진공청소기의 진드기 흡입장치
US20120023697A1 (en) Vacuum attachment assembly
JP3136563U (ja) 布類掃除用ノズル
JP2006289039A (ja) 電気掃除機用ブラシ型ノズル
US20070089264A1 (en) Suction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JP2006122065A (ja) 床用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