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664Y1 - 자전거용 이중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이중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664Y1
KR200421664Y1 KR2020060011950U KR20060011950U KR200421664Y1 KR 200421664 Y1 KR200421664 Y1 KR 200421664Y1 KR 2020060011950 U KR2020060011950 U KR 2020060011950U KR 20060011950 U KR20060011950 U KR 20060011950U KR 200421664 Y1 KR200421664 Y1 KR 200421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icycle
ball
presen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섭
Original Assignee
송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섭 filed Critical 송창섭
Priority to KR2020060011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6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6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안장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탑승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주행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안장이 유동 가능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기능이 부가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서 둔부(엉덩이)와 회음(會陰)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과 통증을 줄이는 한편 장시간의 주행시 피로감을 줄여주는 자전거용 안장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안장, 이중, 스프링

Description

자전거용 이중 안장{The bicycle for saddle doublenes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안장의 유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안장의 유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안장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2: 지지프레임
3: 지지판 10(10a): 안장
11: 심체 12(12a): 홀더
20: 볼 21: 샤프트
22: 스프링 23: 너트
30: 캡
본 고안은 자전거용 안장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탑승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주행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안장이 유동 가능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기능이 부가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서 둔부(엉덩이)와 회음(會陰)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과 통증을 줄이는 한편 장시간의 주행시 피로감을 줄여주는 자전거용 안장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여가 생활과 건강에 대한 관심들이 고조됨에 따라 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자전거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이에 따라 산악 자전거, 사이클링(cycling) 등 자전거를 이용하는 동호회와, 다양한 레포츠 등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탑승자가 안장에 앉아 두발로 페달을 밟아서 주행하는 기구로서, 이러한 자전거에서 안장은 탑승자의 몸무게를 지탱하는 부분으로 종래의 자전거 안장은 보통의 의자보다 면적이 적고, 양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밟아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좁고, 뒤쪽은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일반화된 자전거용 안장은 둔부(엉덩이)의 지탱과, 주행 중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 벌어지는 다리 사이의 폭을 감안하여 대략 삼각형태로 형성되므로 페달을 밟는 과정에서 인체의 회음(會陰) 부분과 안장의 뾰족한 앞 부분이 압착되므로, 이 로 인하여 압박감과 통증을 유발하고 있다.
특히, 자전거의 주행에 따른 압박마찰과 울퉁불퉁한 도로 노면의 요철부분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음낭(陰囊) 부분과 전립선(前立腺), 회음, 부분 등에 압박감과 통증이 발생하여 장시간 주행할 경우 통증이 심하고, 피로감이 가중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자전거는 레저용이나 스포츠용 또는 체력 증진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주행시 안장에서 인체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압박감과 통증으로 인하여 성적 불감증에 의한 성기능 장애와 배뇨장애를 겪는 등 심각한 문제점들이 발생함으로써, 자전거를 쉽게 즐기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 자전거용 안장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탑승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주행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안장이 유동 가능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기능이 부가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서 둔부(엉덩이)와 회음(會陰)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과 통증을 줄이는 한편 장시간의 주행시 피로감을 줄여주는 자전거용 안장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자전거의 프레임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한쌍으로 구성되고 내부 안쪽에 지지판이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에 상하 이 동가능케 끼워져 장착되고 스프링이 외삽되어 장착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 구형상의 볼과, 상기 볼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고 스프링이 안쪽에 내장되어 지지되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케 외삽되는 캡과, 상기 볼의 외주연을 감싸 유동가능케 장착되는 홀더가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는 안장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자전거용 안장을 탑승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유동 가능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서 안장에 밀착되는 둔부(엉덩이)와 회음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과 통증을 줄이고 장시간의 주행시 탑승자의 피로감을 덜어주어 자전거를 편안하고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자전거의 프레임(1)에 일체로 형성되어 한쌍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2)과, 상기 지지프레임(2)에 상하 이동가능케 끼워져 설치되고 스프링(22)이 외삽되어 장착되는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볼(20)과, 상기 샤프트(21)에 끼워져 고정되고 지지프레임(2)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케 외삽되는 캡(30)과, 상기 볼(20)의 외주연을 감싸 유동가능케 장착되는 홀더(12)(12a)와, 상기 홀 더(12)(12a)가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는 안장(10)(10a)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2)은 자전거 프레임(1)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자 형태의 한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내부 안쪽에 지지판(3)이 칸막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의 안쪽에서 각각 지지판(3)의 중앙부에 소정길이의 샤프트(21)가 이동가능케 끼워지고, 그 하단부에 너트(23)가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에서 샤프트(21)는 각각 지지프레임(2)의 안쪽에서 지지판(3)에 상하 이동가능케 끼워져 장착된 상태에서 스프링(22)이 외삽되어 장착되며, 여기서 스프링(22)은 탑승자의 신체를 지탱하는 한편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됨이 이상적이다.
한편 소정길이를 갖는 샤프트(21)의 상단부에 구형상의 볼(20)이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볼(20)은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겸비한 합금강을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볼(20)의 외주연에는 분할된 한쌍의 홀더(12)(12a)가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2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 볼(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샤프트(21)에 끼워져 캡(3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캡(30)은 저면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21)상에 외삽된 스프링(22)이 안쪽에 내장되고, 지지프레임(2)의 상부에 외삽되어 상하 이동가능케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에 상하 이동가능케 설치된 샤프트(21)에 캡(30)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캡(30)의 내부에서 샤프트(21)에 외삽되어 스프링(22)이 설치됨에 따라 스프링(22)의 한쪽은 지지프레임(2) 안쪽의 지지판(3)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은 캡(30)의 내부 안쪽에 지지됨으로써, 샤프트(21)의 상하 이동시 스프링(22)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볼(20)의 외주연을 감싸 유동가능케 장착되는 홀더(12)(12a)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쪽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분할된 한쪽은 안장(10)(10a)의 심체(11)에 부착되고, 이와 다른 한쪽은 체결구(13)로 결합되어 볼(20)의 외주연을 감싸게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 안장(10)(10a)은 앞쪽과 뒤쪽을 경계로 하여 양쪽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심체(11)가 내장되어 지지력을 높이고, 상기 심체(11)의 저면부에 홀더(12)의 한쪽이 부착되고, 여기에 다른 한쪽의 홀더(12a)가 체결구(13)로 결합되어 볼(20)을 감싸게 설치된다.
따라서, 양쪽으로 분할된 안장(10)(10a)의 저면부에서 심체(11)에 홀더(12)(12a)가 부착되어 볼(20)을 감싸 유동가능케 설치됨으로써, 안장(10)(10a)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도면에서 도 4와 도 5와 같이, 안장(10)(10a)이 전후 좌우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는 양쪽으로 분할된 안장 (10)(10a)에 각각 홀더(12)(12a)가 부착되어 볼(20)을 감싸 유동가능케 설치되므로 탑승자가 안장(10)(10a)에 앉아 발로 페달을 밟으면서 주행할 경우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안장(10)(10a)이 전후 좌우로 유동함으로써, 신체의 둔부(엉덩이)와 회음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과 통증을 줄이는 한편 장시간의 주행시 탑승자의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볼(20)이 상단부에 고정된 샤프트(21)가 지지프레임(2)에 상하 이동가능케 설치된 상태에서 캡(30)과 스프링(22)에 의해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안장(10)(10a)에 상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완충작용으로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울퉁불퉁한 도로 노면에서 안장(10)(10a)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감과 통증을 줄여주어 피로감을 줄이고 편안한 자세로 주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전거에서 탑승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주행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안장이 유동 가능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기능이 부가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서 둔부(엉덩이)와 회음(會陰)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과 통증을 줄이는 한편 장시간의 주행시 탑승자의 피로감을 덜어주어 자전거를 편안하고 쉽게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어 탑승자가 앉는 자전거용 이중 안장에 있어서;
    자전거의 프레임(1)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한쌍으로 구성되고 내부 안쪽에 지지판(3)이 형성된 지지프레임(2)과; 상기 지지프레임(2)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3)에 상하 이동가능케 끼워져 장착되고 스프링(22)이 외삽되어 장착된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 구형상의 볼(20)과; 상기 볼(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샤프트(21)에 끼워져 고정되고 스프링(22)이 안쪽에 내장되어 지지되며 지지프레임(2)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케 외삽되는 캡(30)과; 상기 볼(20)의 외주연을 감싸 유동가능케 장착되는 홀더(12)(12a)가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는 안장(10)(10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이중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볼(20)의 외주연을 감싸 유동가능케 장착되는 홀더(12)(12a)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분할되어 구성되며, 분할된 한쪽은 안장(10)(10a)의 심체(11)에 부착되고, 이와 다른 한쪽은 체결구(13)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이중 안장.
KR2020060011950U 2006-05-03 2006-05-03 자전거용 이중 안장 KR200421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950U KR200421664Y1 (ko) 2006-05-03 2006-05-03 자전거용 이중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950U KR200421664Y1 (ko) 2006-05-03 2006-05-03 자전거용 이중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664Y1 true KR200421664Y1 (ko) 2006-07-18

Family

ID=4177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950U KR200421664Y1 (ko) 2006-05-03 2006-05-03 자전거용 이중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6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30B1 (ko) 2007-05-07 2008-10-02 이용견 자전거 안장
KR101027867B1 (ko) 2009-08-13 2011-04-07 유현규 분할형 자전거 안장
KR20160034648A (ko) * 2014-09-22 2016-03-30 나승식 자전거 안장
KR101913090B1 (ko) 2017-12-04 2018-10-30 여인찬 유동형 안장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30B1 (ko) 2007-05-07 2008-10-02 이용견 자전거 안장
KR101027867B1 (ko) 2009-08-13 2011-04-07 유현규 분할형 자전거 안장
KR20160034648A (ko) * 2014-09-22 2016-03-30 나승식 자전거 안장
KR101697493B1 (ko) * 2014-09-22 2017-01-18 나승식 자전거 안장
KR101913090B1 (ko) 2017-12-04 2018-10-30 여인찬 유동형 안장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505B2 (en) Saddle having a cushion sandwiched between a pad and a base
US9016779B2 (en) Bicycle or ride on vehicle seats and saddles
KR200421664Y1 (ko) 자전거용 이중 안장
US20080136222A1 (en) Bicycle Seat
US20110260511A1 (en) Bicycle seat
KR101042540B1 (ko)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TWM304479U (en) Shock absorbing shaft of a bicycle's seat
KR200430798Y1 (ko) 유압밸브가 부착된 자전거용 이중 안장
WO1994025331A2 (en) Seating arrangements for cycles, exercice cycles, other pedal-powered contrivances and the like contrivances
US5857691A (en) Bicycle shock absorption structure
CN209889004U (zh) 具有调节功能的自行车车座
KR102332986B1 (ko) 골반 지지대가 있는 이동수단 안장
KR101407276B1 (ko) 자전거의 안장 완충장치
KR101027253B1 (ko) 자전거 안장축 스프링 장치
AU2012262657B2 (en) Improvements to bicycle or ride on vehicle seats and saddles
KR20100004798U (ko) 실리콘 패드가 구비된 자전거 바지
JP5926434B1 (ja) 胸部支持機構および胸部支持機構一体型フレーム
CN219481448U (zh) 一种立式健身车
US11547899B2 (en) Procumbent exercise apparatus
CN204641961U (zh) 可左右摆动的仿生自行车车座结构
CN114715311B (zh) 丁字斜面凹型自行车坐垫
KR20110005585A (ko) 안장 장치
CN207654617U (zh) 一种动感单车
JP2019517416A (ja) 自転車シート
CN206475980U (zh) 一种运动型自行车鞍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