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050Y1 - 방수시트 - Google Patents
방수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1050Y1 KR200421050Y1 KR2020060009121U KR20060009121U KR200421050Y1 KR 200421050 Y1 KR200421050 Y1 KR 200421050Y1 KR 2020060009121 U KR2020060009121 U KR 2020060009121U KR 20060009121 U KR20060009121 U KR 20060009121U KR 200421050 Y1 KR200421050 Y1 KR 2004210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proof sheet
- waterproof
- woven fabric
- nonwoven fabric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화아스팔트층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무화아스팔트층의 일단 또는 양단의 상하부로 노출되는 부직포 또는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두 개 이상의 이음부로 더 구성되어, 인접하는 동일 구성의 방수시트와의 사이에서 상기 메쉬 형태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된 이음부에 도막재가 일체 함침되어 방수층의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이음부가 인접하는 방수시트를 견고하게 연결시켜 전체 방수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부착 시공 작업의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방수시트, 고무화아스팔트, 부직포, 메쉬직포, 도막재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수시트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시트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시트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시트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시트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방수시트 2 - 고무화 아스팔트층
3 - 상부 부직포층 4 - 하부 부직포층
5 - 메쉬 형태 직포
본 고안은 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무화아스팔트층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무화아스팔트층의 일단 또는 양단의 상하부로 노출되는 부직포 또는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두 개 이상의 이음부로 더 구성되어, 인접하는 동일 구성의 방수시트와의 사이에서 상기 메쉬 형태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된 이음부에 도막재가 일체 함침되어 방수층의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이음부가 인접하는 방수시트를 견고하게 연결시켜 전체 방수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부착 시공 작업의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방수는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한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들을 연결하여 방수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 이들 중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인접하는 동일 구성의 방수시트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양 아스팔트 시트의 이음부를 겹친 다음 열을 가하여 용융시키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수공법에 의하면, 이음부들이 부분적인 과열에 의해 구멍이 뚫어진 상태에서 시공되거나 또는 제대로 가열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용융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되어, 이음부가 불완전하게 접착되거나 이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열에 의한 열융착의 경우 가열에 필요한 여러 가지 부수적인 장비를 요하고, 화재 또는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었으며, 이음부를 겹치게 하여 연속적으로 아스팔트 시트를 부설함으로써 차후 하자 발생시 누수 부위를 찾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아스팔트 시트방수와 도막방수를 결합하여, 아스팔트 시트방수의 단점을 개선한 복합방수공법이 개발되었다.
그 예로서 본 고안자에 의한 국내 특허 제499748호 "부분절연식 복합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및 제444907호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에 의하면, 방수 바탕면에 도막방수층을 부분절연식 또는 전면적으로 도포하고, 그 위로 고무화아스팔트층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으로 구성된 방수시트를 배치함에 있어, 상기 하부 부직포층의 일단을 일정 길이만큼 연장한 이음부를 형성하여 동일 구성의 인접한 방수시트들 사이를 접합시키고, 그 사이에 상기 방수바탕면 위에 도포된 도막방수재와 동일 재질의 틈도막 방수재를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방수시트와 도막재의 일체 결합을 도모하도록 하는 방수공법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인접하는 두 개의 방수시트가 이음부를 매개로 도막방수층 위로 연결됨에 따라 방수시트 사이에 별도 재질의 이음부재를 필요로 하거나 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방수의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복합 방수공법의 경우, 이음부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공극이 충분하지 않아 이음부 부직포의 상부에 도포된 도막방수재가 부직포로 함침되기 전에 경화가 진행되어 함침이 충분히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또 이음부가 울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막방수재를 이 부분에 더 공급하거나 추가 보수작업을 수행해야 하였다. 이는 작업상의 공정을 증가시켜 번거로움을 초래하고 작업의 불안정성을 증가시켜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화아스팔트층(2)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3, 4)으로 구성되는 방수시트(1)의 일단으로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이음부(5)의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이음부(5)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고무화아스팔트층(2)의 일단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실용신안등록 제406964호에서 개시한 바 있다.
이는 인접하는 방수시트들 사이에서 이음부와 도막방수재가 완벽하게 함침되도록 하여 방수시트의 부직포가 부분적으로 울거나 들뜸으로 인해 시공상 불안정한 상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부착 및 보수 작업이 번거로웠던 문제점을 극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인접하는 방수시트들 사이를 더욱 견고히 하여 전체 방수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을 보완한다면 경제성 및 방수 효율 면에서 매우 유익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무화아스팔트층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으로 구성되는 방수시트로서, 상기 방수시트의 일단 또는 양단으로 메쉬 형태의 직포, 또는 부직포와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두 개 이상의 이음부가 연장되거나 노출되어 인접하는 동일 구성의 방수시트와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체 방수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시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고무화아스팔트층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으로 구성된 방 수시트와 인접하는 동일 구성의 방수시트를 접합하는데 있어서, 공극이 부직포 보다 큰 두 개 이상의 메쉬 형태 직포를 상기 고무화아스팔트층에 매설하고 상기 직포의 또 다른 일부는 상기 방수시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방수시트들 사이의 이음부에서 도막방수재와 메쉬 형태 직포의 함침이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방수시트 이음부의 부직포가 부분적으로 울거나 들뜸으로 인해 시공상 불안정한 상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부착시공 작업이 번거로웠던 문제점을 극복하여, 방수시트들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번거로운 부착 및 보수 작업의 필요성을 현저히 감소시킨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무화아스팔트층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으로 구성되는 방수시트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일단 또는 양단으로 메쉬 형태의 직포, 또는 부직포와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두 개 이상의 이음부가 연장되거나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이음부가 방수시트의 일단 또는 양단으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이음부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고무화아스팔트층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이음부가 방수시트로부터 연장되거나 노출되어 인 접하는 동일 구성의 방수시트와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체 방수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수 바탕면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한 다음 그 위에 방수시트들을 배치하여 연결함에 있어, 인접하는 방수시트들 사이의 이음부에 부직포 보다 공극이 큰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이음부를 제공하여 메쉬 형태의 직포에 도막방수재가 완전 함침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이음부에 도막방수재를 별도로 추가 공급하거나 보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메쉬 형태의 직포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부직포층에 재봉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쉬 형태 직포와 부직포의 결합이 견고해지고 작업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메쉬 형태 직포는 부직포 보다 공극이 큰 유리섬유 직포, 폴리에틸렌망, 폴리프로필렌망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공극을 인위적으로 크게 형성한 부직포, 즉 펀칭한 부직포도 이용가능하다.
상기 직포의 메쉬 크기는 0.1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인 방수시트의 일 실시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메쉬 형태의 직포로서 유리섬유 직포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다. 즉, 고무화아스팔트층(2)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3, 4)으로 구성되는 방수시트(1)에 있어서, 유리섬유 직포(5)의 일부분이 방수시트(1)의 상하 단부의 일면으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고무화아스팔트층(2)에 매립되어 있다.
도 3은 유리섬유 직포(5)가 고무화아스팔트층(2)의 좌측 하단 및 우측 상단으로 일부분이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고무화아스팔트층(2)에 매립된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유리섬유 직포(5)는 고무화아스팔트층(2)의 내부로 약 3-8cm 정도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로도 약 3-8cm 정도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길이는 시공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인 방수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고무화아스팔트층(2)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3, 4)으로 구성되는 방수시트(1)에 있어서, 상부 부직포층(3)의 일단이 우측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유리섬유직포(5)는 방수시트(1)의 우측 하단으로 일부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고무화아스팔트층(2)에 매립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5의 방수시트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상부 부직포층(3)의 일단이 우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지만, 유리섬유 직포(5)는 방수시트(1)의 좌측 하단으로 일부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고무화아스팔트층(2)에 매립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도 2에 도시된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층 위로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이 프라이머층 위로 도막방수재를 도포한다.
여기서 도막방수재는 프라이머층 위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당업자가 작업 환경이나 시공 조건 및 필요도에 따라 방수시트를 먼저 도포한 다음 그 위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도막방수재가 완전 경화되기 전에 방수시트(1)를 도막방수층 위로 부착하고, 상기 방수시트(1)와 일정 간격을 두면서 동일한 구성의 방수시트를 인접하여 부착하는데, 상기 방수시트(1)의 유리섬유 직포(5) 중 오른쪽 하단의 노출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인접하는 방수시트의 아래쪽에 깔리도록 하고, 오른쪽 상단의 노출부는 인접하는 방수시트의 위로 제공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방수시트들 사이의 일정 간격에 상기 도막방수재와 동일 재질의 틈도막방수재를 공급한다.
상기 틈도막방수재는 고무화아스팔트층(2)의 일측 단부에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립된 유리섬유 직포(5) 사이로 흘러내려 방수시트(1)와 도막재의 수밀한 접합을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이음부재로 유리섬유 직포(5)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유리섬유 직포(5)가 부직포 보다 공극이 크게 분포되어 있어 틈도막방수재의 함침이 수월하고 일체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방수시트(1)와 도막재의 일체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방수시트들의 간격 부위 위로 상기 틈도막방수재와 동일 재질의 도막방수재를 대략 1mm 두께로 더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수시트들을 원하는 면적에 반복적으로 접합한 상태에서 선택적 으로 절연 필름을 깔고, 그 위로 누름 콘크리트를 도포하면, 도막과 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사가 완성된다.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의하면, 인접하는 방수시트들 사이를 연결함에 있어 접착이나 가열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 작업성이 보다 개선되고 시공비 또한 절감되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고무화아스팔트층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으로 구성된 방수시트와 인접하는 동일 구성의 방수시트를 접합하는데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일단 또는 양단으로 메쉬 형태의 직포, 또는 부직포와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두 개 이상의 이음부가 연장되거나 노출되어 인접하는 방수시트와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체 방수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수시트를 이용함으로써, 공극이 부직포 보다 큰 두 개 이상의 메쉬 형태 직포를 상기 고무화아스팔트층에 매설하고 상기 직포의 또 다른 일부는 상기 방수시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방수시트들 사이의 이음부에서 도막방수재와 메쉬 형태 직포의 함침이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의 방수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방수시트 이음부의 부직포가 부분적으로 울거나 들뜸으로 인해 시공상 불안정한 상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부착시공 작업이 번거로웠던 문제점을 극복하여, 방수시트들 사이 를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번거로운 부착 및 보수 작업의 필요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 고무화아스팔트층을 사이에 둔 상하 부직포층으로 구성되는 방수시트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일단 또는 양단으로 메쉬 형태의 직포, 또는 부직포와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두 개 이상의 이음부가 연장되거나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 형태의 직포로 된 이음부가 상기 방수시트의 일단 또는 양단으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이음부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고무화아스팔트층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메쉬 형태의 직포는 부직포 보다 공극이 큰 유리섬유 직포, 폴리에틸렌망, 폴리프로필렌망, 또는 펀칭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9121U KR200421050Y1 (ko) | 2006-04-06 | 2006-04-06 | 방수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9121U KR200421050Y1 (ko) | 2006-04-06 | 2006-04-06 | 방수시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1050Y1 true KR200421050Y1 (ko) | 2006-07-10 |
Family
ID=4176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9121U KR200421050Y1 (ko) | 2006-04-06 | 2006-04-06 | 방수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105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7014B1 (ko) | 2011-08-17 | 2013-05-30 | 최귀환 | 섬유보강메쉬층을 포함하는 우레탄 도막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2006
- 2006-04-06 KR KR2020060009121U patent/KR2004210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7014B1 (ko) | 2011-08-17 | 2013-05-30 | 최귀환 | 섬유보강메쉬층을 포함하는 우레탄 도막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0555B1 (ko) |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73181B1 (ko) |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 |
KR100912923B1 (ko) | 방수시트의 맞물림 이음구조가 적용된 통기성 단열 방수구조 | |
KR20060136038A (ko) |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22506B1 (ko) | 아스팔트 보강재, 이것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 시공방법 | |
KR100885944B1 (ko) | 콘크리트 표면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06964Y1 (ko) | 방수시트 | |
KR100875893B1 (ko) |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 |
KR100779217B1 (ko) | 피브이씨 시트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방수 시트 및 그복합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 |
KR100444907B1 (ko) |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 |
JP4357914B2 (ja) | シート防水材の連結部接合構造 | |
KR101020646B1 (ko) | 섬유에 파일사 필라를 형성한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복합방수공법 | |
KR200421050Y1 (ko) | 방수시트 | |
KR100412935B1 (ko) | 복합 시트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 |
KR20030051969A (ko) | 구멍 뚫린 pvc시트와 다공성 세라믹 고무 아스팔트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점접착 절연형 비노출복합방수층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 |
KR200396919Y1 (ko) | 방수시트 | |
KR101298794B1 (ko) | 도로 및 교면 방수부재 | |
KR100875897B1 (ko) |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 |
KR20110032168A (ko) |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 |
KR101268299B1 (ko) | 시트 조립형 방수공법 | |
KR102127732B1 (ko) | 다중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중방수공법 | |
KR200413500Y1 (ko) | 유리섬유 방수시트 | |
KR100864970B1 (ko) | 건축용 지붕재 시트 및 그의 설치 방법 | |
KR102286256B1 (ko) | 접합홀을 구비한 교면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36967Y1 (ko) | 복합 방수 시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