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425Y1 - 식생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식생 옹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25Y1
KR200420425Y1 KR2020060009861U KR20060009861U KR200420425Y1 KR 200420425 Y1 KR200420425 Y1 KR 200420425Y1 KR 2020060009861 U KR2020060009861 U KR 2020060009861U KR 20060009861 U KR20060009861 U KR 20060009861U KR 200420425 Y1 KR200420425 Y1 KR 200420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vegetation
vegetation retain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성재
Original Assignee
호암건설(주)
맹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암건설(주), 맹성재 filed Critical 호암건설(주)
Priority to KR2020060009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 전방부분에 식생을 위한 토양을 담는 식생 공간부; 상기 식생 공간부의 중앙 하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구; 다른 옹벽 블록과의 축조를 위해 상부 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 하부 면에서 다른 옹벽 블록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양 측면 전방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로 들어간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과 만나고 뒷면 쪽에서 소정 각도로 각진 제 2 측면으로 구성된 두 개의 측면부;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수를 위해 상하 관통되어 구비된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식생 옹벽 블록, 친환경, 곡선배열

Description

식생 옹벽 블록{Retaining wall block for environment vegetation}
도 1은 종래의 옹벽 블록을 이용한 축대를 도시한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축대의 상면 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축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단의 옹벽 블록 110,210 : 식생 공간부
111,211 : 배수구 112 : 받이판
120,220 : 돌출부 121,221 : 삽입부
130 : 제 2 측면 140 : 제 1 측면
150,250 : 전면 160 : 관통공
161,162,261,262 : 통로 200 : 상단의 옹벽 블록
본 고안은 식생 옹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생을 위한 공간을 구비하 여 자연친화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식생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블럭은 중앙에 통공을 가지고 전후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블럭을 엇갈리게 적층시켜 상,하 블럭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뒤 이에 몰드를 유입시켜 상호 결속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데,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오그리드(geogrid) 보강제(30)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블록(20)의 축조는 사질토의 뒤채움 흙(10)에 인장력이 크고 마찰력이 좋은 보강재(30)를 수평으로 삽입하여 흙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토체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 지오그리드 보강제(30), 뒤채움용 보강토(10), 및 블록(2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블럭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의 블럭 전면 및 후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토사를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미관이 우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식물 등의 식생이 불가능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되지 않고 나아가 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친환경적인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블럭이 단순히 토사의 침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식물 등의 식생이 가능하여 외관상으로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식생 블럭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블럭은 전면 및 후면이 모두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그리고, 블럭이 하천의 제방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축조 블럭의 평면으로 형성된 블럭의 전면과 하천수와의 마찰이 전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유속 및 유량 이 증가하여 지반침하가 가속화되는 동시에 식물의 식생이 더욱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축조 블럭은 일직선을 따라 축조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형에 대응하여 구불구불하게 굴곡 형성되어 곡면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없어 시공상 많은 제한이 있다.
본 고안은 식물 등의 식생이 가능한 옹벽 블럭을 제공함으로써 미관이 우수한 친환경 식생 옹벽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블럭의 결합시 블럭 간에 일정 정도의 유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곡선으로 형성가능한 친환경 식생 옹벽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면에 미적 수려함을 부과하고 하천제방에 사용될 경우 하천수와의 마찰에 의해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친환경 식생 옹벽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 전방부분에 식생을 위한 토양을 담는 식생 공간부; 상기 식생 공간부의 중앙 하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구; 다른 옹벽 블록과의 축조를 위해 상부 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 하부 면에서 다른 옹벽 블록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양 측면 전방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로 들어간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과 만나고 뒷면 쪽에서 소정 각도로 각진 제 2 측면으로 구성된 두 개의 측면부;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수를 위해 상하 관통되어 구비된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블럭(100)의 도면으로서, 도 2a는 식생 옹벽 블럭의 상면도이고, 도 2b는 식생 옹벽 블럭의 측면도이며, 도 2c는 식생 옹벽 블럭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축대의 상면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한 축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블럭(100)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전방부분에 식생을 위한 토양을 담는 식생 공간부(110), 식생 공간부(110)의 중앙 하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구(111), 다른 옹벽 블록과의 축조를 위해 하나 이상으로 상부면에 구비된 돌출부(120), 다른 옹벽 블록과의 축조를 위해 다른 옹벽 블록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21), 굴곡진 요철이 형성된 전면부(150), 및 전방에서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제 1 측면(140)과 후방 쪽으로 소정 각도로 각진 제 2 측면(130)으로 구성된 측면부, 및 돌출부(120) 사이에 원활한 배수를 위해 구비된 관통공(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식생 공간부(110)는 옹벽 블럭(100)의 내측 부분에서 옹벽 블럭(100)의 상면으로부터 예컨대 16cm의 소정 깊이와 예컨대 20cm×21cm의 넓이로 움폭 들어가 형 성된 공간으로 구비되고, 이 식생 공간부(110)에 식물을 식생시킬 수 있도록 토양 및 종자 등을 담을 수 있게 되며, 중앙 하부에는 배수를 위해 소정 깊이와 폭으로 정사각형 단면으로 관통된 하나의 배수구(111)가 형성되며, 배수구(111) 상에는 토양을 받치기 위한 받이판(1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구(111)가 하나의 정사각형 단면으로 관통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정사각형의 형태 이외에 원형 등의 다른 형태의 단면으로 관통될 수도 있다.
돌출부(120)는 옹벽 블럭(100)의 상면 뒤쪽에 양측으로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이 돌출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옹벽 블록(200)에 대한 결합을 위해 위쪽에 구비되는 다른 옹벽 블록(200)의 삽입부(221)에 삽입되어 옹벽 축조를 이룰 수 있다.
삽입부(121)는 제 2 측면(130)의 일측으로부터 관통공(160)의 하부를 거쳐 제 2 측면(130)의 다른 측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된 직사각의 홈으로서, 폭이 예를 들어 8cm이고 깊이가 돌출부(120)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측면부는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제 1 측면(140)과 후면 쪽으로 소정 각도로 각진 제 2 측면(130)으로 구성되되, 옹벽 블럭(100)이 각각 축조된 후에 하단에 구비된 옹벽 블럭의 식생 공간부에 식생된 식물 등이 옹벽 블럭(100)의 제 1 측면(140)으로 둘러싸인 둘레면을 통해 보여지게 되어 식물 등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제 1 측면(140)들에 의해 둘러싸인 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형상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원호형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 2 측면(130)은 옹벽 블럭(100)의 뒷면에 대해 소정 각도(θ), 예를 들어 90°에서 105°로 각지게 형성되고, 이와 같이 소정 각도로 각진 제 2 측면(130)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블럭(100)들은 곡선 형태로 굴곡지게 축조될 수 있다.
전면부(150)는 실질적으로 완성된 옹벽에서 전면에 노출되어 사람이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굴곡진 요철을 구비하여 식생 옹벽 블럭(100)이 하천의 제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유속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미감을 위해 다양한 모양의 표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60)은 두 개의 돌출부(120) 사이에 원활한 배수를 위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관통공(160)에는 잡석 등이 채워지며 통로(161,162)와 연통하여 축조된 옹벽 블록의 물을 배수하거나, 물을 식생 공간부(110)로 공급하거나, 식생 공간부(110) 내의 물을 외측으로 배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블럭을 이용하여 축조한 축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 옹벽 블럭을 다수 이용하여 예를 들어 축대를 축조하게 되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축조된 식생 옹벽 블럭(100)들 위로 다수의 식생 옹벽 블럭(200)들이 쌓아지게 된다.
하단에 축조된 식생 옹벽 블럭(100)들은 측면부의 제 2 측면(130)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접하여 축조되고, 이때 제 2 측면(130)들 사이의 사잇각을 줄임으 로써 식생 옹벽 블럭(100)들을 곡선으로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단에 축조된 식생 옹벽 블럭(100)에 대해, 식생 옹벽 블럭(200)들이 식생 옹벽 블럭(100) 상에 바로 연결되어 축조되거나 또는 엇갈리게 축조되되, 돌출부(120)는 상단에 축조된 식생 옹벽 블럭(200)의 삽입부(221)에 삽입되어 축조된다.
이때, 식생 옹벽 블럭(200)이 하단에 축조된 식생 옹벽 블럭(100) 상에 축조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 옹벽 블럭(100)의 돌출부(120)가 식생 옹벽 블럭(200)의 삽입부(221)에 대해 전방으로 전진하여 소정 위치에 삽입됨으로써 식생 옹벽 블럭(100)과 식생 옹벽 블럭(200)이 서로 경사지게 축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옹벽 블럭은 상하방향으로 직선형태로 축조하는 것도 가능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후퇴하는 형태 즉 경사진 형태로 축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 옹벽 블럭(100) 바로 위에 식생 옹벽 블럭(200)을 축조하는 경우, 식생 공간부(110)와 식생 공간부(210)를 포함하는 수직영역 모두에 흙이 채워지기 때문에 식생 옹벽 블럭(100)에만 받이판(112)이 구비되고 식물이 식재된다. 물론, 식생 옹벽 블럭(100) 위에 식생 옹벽 블럭(200)들이 어긋나게 축조되는 경우에는 식생 공간부(110)와 식생 공간부(210) 각각에 받이판이 구비되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식생 옹벽 블럭(200)이 하단에 축조된 식생 옹벽 블럭(100) 상에 축조된 상태에서 식물이 식재되면, 통로(161,162,261,262)는 궁극적으로는 식생 공간부(110) 의 이면에 있는 원지반과 연결되므로, 식생 공간부(110)에서 식생하는 식물의 뿌리가 상기 통로(161,162,261,262)를 따라서 원지반으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도된 식물의 뿌리를 통해 간접적으로 옹벽의 강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옹벽의 축조시 식생 공간부에서 자라는 식물들이 옹벽 블록의 전방에서 충분히 노출되어 식생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인 옹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으로 옹벽 블록들을 원활하게 축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내측 전방부분에 식생을 위한 토양을 담는 식생 공간부;
    상기 식생 공간부의 중앙 하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구;
    다른 옹벽 블록과의 축조를 위해 상부 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
    하부 면에서 다른 옹벽 블록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양 측면 전방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로 들어간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과 만나고 뒷면 쪽에서 소정 각도로 각진 제 2 측면으로 구성된 두 개의 측면부;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수를 위해 상하 관통되어 구비된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상에 토양을 받치기 위한 받이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공간부는 상부면 전방부분에서 내측으로 소정 넓이와 소정 깊이로 들어간 사각형 단면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옹벽 블록의 제 1 측면은 옆에 배열된 다른 식생 옹벽 블록의 제 1 측면과 맞물려 원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 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옹벽 블록의 제 2 측면은 옆에 배열된 다른 식생 옹벽 블록의 제 2 측면과 맞물려 사잇각을 이루고, 상기 사잇각을 조절하여 상기 식생 옹벽 블록에 대해 상기 다른 식생 옹벽 블록이 곡선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 블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에서 상기 뒷면 쪽에서의 소정 각도는 상기 뒷면을 기준으로 90°내지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 블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옹벽 블록의 돌출부는 상기 식생 옹벽 블록 위에 축조된 다른 식생 옹벽 블록의 삽입부에 삽입되되, 상기 다른 식생 옹벽 블록의 삽입부에 대해 전방으로 전진하는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식생 옹벽 블록과 상기 다른 식생 옹벽 블록이 서로 경사지게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 블록.
KR2020060009861U 2006-04-13 2006-04-13 식생 옹벽 블록 KR200420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861U KR200420425Y1 (ko) 2006-04-13 2006-04-13 식생 옹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861U KR200420425Y1 (ko) 2006-04-13 2006-04-13 식생 옹벽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407A Division KR20070101940A (ko) 2006-04-13 2006-04-13 식생 옹벽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25Y1 true KR200420425Y1 (ko) 2006-07-04

Family

ID=4176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861U KR200420425Y1 (ko) 2006-04-13 2006-04-13 식생 옹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2385C (zh) 一种墙面挡土块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CN210104786U (zh) 一种可绿化的路肩挡土构件
CN105926537B (zh) 一种护坡砌块
KR101311257B1 (ko) 옹벽용 블록 구조
KR100505127B1 (ko) 보강토 옹벽용 조립체
KR200420425Y1 (ko) 식생 옹벽 블록
KR20070101940A (ko) 식생 옹벽 블록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324520Y1 (ko) 옹벽블럭
KR200376814Y1 (ko) 원지반 식생용 옹벽블록유닛
KR20060129146A (ko) 옹벽용 피씨구조체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100946224B1 (ko) 전면식생 보강토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200420352Y1 (ko) 식생형 옹벽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85192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CN114263197B (zh) 一种绿色环保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219490854U (zh) 一种混凝土砌块及挡墙
KR100770559B1 (ko) 옹벽축조 구조물
KR200409796Y1 (ko) H빔과 선반블록을 이용한 녹화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