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372Y1 -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 - Google Patents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372Y1
KR200420372Y1 KR2020060009160U KR20060009160U KR200420372Y1 KR 200420372 Y1 KR200420372 Y1 KR 200420372Y1 KR 2020060009160 U KR2020060009160 U KR 2020060009160U KR 20060009160 U KR20060009160 U KR 20060009160U KR 200420372 Y1 KR200420372 Y1 KR 200420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th
water level
storage uni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범
Original Assignee
박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범 filed Critical 박한범
Priority to KR2020060009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3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Abstract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욕조가 개시된다. 그러한 욕조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전자 수도밸브와, 그리고 상기 저장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물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욕조는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수도밸브를 잠금으로써 수위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여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욕조, 센서, 수위, 감지, 수도, 밸브

Description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BATHTUB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LEVEL}
도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의 "A-A선"에서 본 욕조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욕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차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는 목욕물을 담는 용기를 의미하며, 이러한 욕조에 일정량으로 담은 후 목욕 등을 하게 된다.
근래에는 아파트 등의 보급으로 각 가정집마다 욕조가 설치되어서 욕조가 다량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욕조는 통상적으로 오목하게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수도꼭지를 통해서 물이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욕조는 목욕물을 담는 경우, 수도꼭지를 개방하여 물이 욕조에 공급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물이 욕조에 넘치게 되므로, 사용자가 물이 적 절한 수위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한 후 수도꼭지를 잠가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수도꼭지가 잠겨짐으로써 수위를 일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욕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전자 수도밸브; 그리고 상기 저장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물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욕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욕조(1)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부(5)와, 상기 저장부(5)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전자 수도밸브(3)와, 그리고 상기 저장부(5)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위(W)를 감지함으로써 물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욕조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5)는 통상적인 구조의 형상을 갖음으로써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5)는 합성수지 혹은 대리석 등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오목하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물을 담을 수 있다. 또한, 목욕 후에는 배수구(13)를 개방함으로써 물을 배수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수도밸브(3)는 필요시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물을 저장부(5)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수도밸브(3)는 전자변 방식이며 상기 감지센서(7)에 연결됨으로써 물이 일정 수위(W)에 도달하면 전자 수도밸브(3)를 잠그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7)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9)와, 상기 출력부(9)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감지센서(7)는 포토센서 혹은 레이저 방식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한다.
따라서, 상기 출력부(9)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가 일정 경로(L)를 따라 입력부(11)에 도달한 상태에서, 수위(W)가 상승하여 이 감지신호를 차단하게 되면, 입력부(11)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부(11)는 신호의 차단을 감지하여 전자 수도밸브(3)에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잠그게 된다.
결과적으로, 저장부(5)에 저장되는 물은 일정 수위(W), 즉 감지센서(7)의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그 이상 상승하는 경우 물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수위(W)를 일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부(9)의 높이가 입력부(11)의 높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감지신호가 일정 경로(L)를 따라 물을 통과하는 경우, 약간 굴절될 수 있음으로 입력부(11)의 높이를 낮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욕조를 사용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감지센서(7)를 작동시키면 출력부(9)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여 입력부(11)에 입력된다. 이때, 출력부(9) 및 입력부(11)는 적절한 높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수도밸브(3)를 개방함으로써 저장부(5)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공급된 물은 하부에서부터 저장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수위(W)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 수위(W), 즉 출력부(9)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통과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입력부(11)에 입력되는 신호가 물에 의하여 차단된다.
따라서, 입력부(11)는 이를 감지하여 전자 수도밸브(3)에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전자 수도밸브(3)를 차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자 수도밸브(3)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차단됨으로서 욕조(1)에서는 더 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일정 수위(W)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조는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수도밸브를 잠금으로써 수위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여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 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3)

  1. 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전자 수도밸브; 그리고
    상기 저장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물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욕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력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욕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차단되는 경우 상기 수도밸브에 신호를 송출하여 잠금으로써 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욕조.
KR2020060009160U 2006-04-06 2006-04-06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 KR200420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160U KR200420372Y1 (ko) 2006-04-06 2006-04-06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160U KR200420372Y1 (ko) 2006-04-06 2006-04-06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372Y1 true KR200420372Y1 (ko) 2006-07-03

Family

ID=4176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160U KR200420372Y1 (ko) 2006-04-06 2006-04-06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3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222B2 (en) Adjustable overflow closure device
CA2675483A1 (en) Bath system
KR960015382B1 (ko) 소변기
KR200420372Y1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욕조
KR100804307B1 (ko) 변기 커버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물 내림 시스템 및 물내림 방법
US20090249542A1 (en) Overflow drain
KR101475728B1 (ko) 샤워기 헤드 홀더
JP2010077654A (ja) 洗面装置
KR102322771B1 (ko) 스마트 욕조시스템
JP2010077653A (ja) 洗面装置
KR101489224B1 (ko) 절수형 좌변기
JP2010253064A (ja) 洗濯機用のホース収納部
JP2010059654A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JP6991457B2 (ja) 衛生設備機器
KR200358443Y1 (ko) 원피스형 세면기
KR200325220Y1 (ko)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CA2982941C (en) Vessel with recessed soap dish and integrated overflow drain
KR101468673B1 (ko) 욕조용 물 공급장치
KR200335749Y1 (ko) 변기용 절수기
KR970005495Y1 (ko) 세면기용 배수장치
JPS6395015A (ja) 浴槽ユニット
JP5856399B2 (ja) 検知距離設定装置及びこの検知距離設定装置を備えた自動水栓装置
JPH0347587Y2 (ko)
JP2021145687A (ja) 洗面台
KR200435624Y1 (ko) 수평계가 부착된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