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106Y1 -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106Y1
KR200420106Y1 KR2020060008116U KR20060008116U KR200420106Y1 KR 200420106 Y1 KR200420106 Y1 KR 200420106Y1 KR 2020060008116 U KR2020060008116 U KR 2020060008116U KR 20060008116 U KR20060008116 U KR 20060008116U KR 200420106 Y1 KR200420106 Y1 KR 200420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nozzle
flower bed
water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성
Original Assignee
신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성 filed Critical 신현성
Priority to KR2020060008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1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분무형태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급수노즐을 니플(Nipple)을 통해 구간별로 선택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맞게 여러가지 분무모양을 갖는 급수노즐을 선택적으로 갈아 끼울 수 있음은 물론 화단크기 및 연장된 길이게 맞게 급수노즐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는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은,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공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제1 급수노즐과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천공된 배수공에 결착구가 결합되고 이러한 결착구 선단에는 조절부재가 나선결합되어 급수되는 물의 입자크기 및 분무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제2 급수노즐이 니플(Nipple)을 통해 구간별로 선택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조립식 화단, 급수노즐, 니플

Description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Water supply nozzle of Assembly type Flower bed}
도 1은 종래 급수노즐을 구비한 조립식 화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된 조립식 화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단 급수노즐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노즐의 다양한 결합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노즐 중 제2 급수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1...화분
14... 급수노즐
14-1...제1 급수노즐
14-2...제2 급수노즐
14-3...니플
142...결착구
144...조절부재
본 고안은 조립식 화단에서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화분내 분토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분무형태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급수노즐을 니플(Nipple)을 통해 구간별로 선택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맞게 여러가지 분무모양을 갖는 급수노즐을 선택적으로 갈아 끼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화단크기 및 연장된 길이게 맞게 급수노즐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고 있는 웰빙 붐과 함께 실내 인테리어 역시 자연친화적인 분위기 연출쪽으로 그 흐름이 전향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종 친환경적 기능을 가진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들이 근래들어 대거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일례로 가정 또는 건물내부에 설치되는 조립식 화단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화단은 보통 가정의 베란다나 건물내 자투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함과 아울러 자연친화적인 실내 분위기 연출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바, 상단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화단 여러개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직렬 또는 병렬 배치 후 조립하고, 그 내부 공간에는 분토를 채우고 여기에 관상용 식물 또는 식용 식물을 식재하여 친환경적 분위기를 연출함과 동시에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실내 조립식 화단들은 대부분 실내 인테리어 분위기 향상을 위해 외형적인 장식성만이 강조될 뿐 그 외 기능성이 부재하였으며, 특히 별도의 급수시설이 부재한 관계로 식물 생장을 위해 물을 급수하는 경우 인력에 의하여 수시로 급수하거나 수도관과 별도의 급수설비를 연결하여 물을 급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에는 급수를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세심한 관리가 요구될 뿐 아니라 일정주기로 인력이 소모되어야만 하는 문제점과 함께 별도의 급수 및 화단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처리하기위한 배수설비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화단 설치 및 운용에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외부로 연결된 직수 배관 없이 자체적으로 장착된 물탱크에 의해 물을 공급해 줌과 동시에 화단 아래로 배출되는 배출수를 지속적으로 재순환시켜 다시 화단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세심한 관리 없이도 화단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조립식 실내화단"을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즉,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27236호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분(1)을 직렬 또는 병렬 배치시켜 조립된 화단 일측에는 순환펌프를 내장한 저수조(미도시)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저수조(미도시)에 충 진된 물은 배관 및 다수의 배수공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급수관(14)을 통해 각각의 화분으로 공급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각 화분(14)과 연계된 급수관(14) 및 상기 배관은 배관상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전자밸브(17)에 의해 그 통수가 제어되어 해당 배관 및 급수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밸브(17)는 저수조(12) 일측에 구비되는 콘트롤 박스(15)에 의해 그 개폐동작이 일괄적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조립식 실내화단은, 순환펌프 가동에 의해 저수조(12)에 담긴 물이 급수관(14)을 통해 각각의 화분(1)으로 공급되어지되, 급수관(14)은 해당 전자밸브(17)에 의해 통수가 제어되고 전자밸브(17)은 콘트롤 박스(15)에 의해 입력된 시간주기에 따라 그 개폐가 제어됨으로써, 별도의 인력소모 없이도 각각의 화분에 일정주기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4)의 경우, 속이빈 중공의 PCV관 내지는 강관 표면에 등간격으로 단순히 배수공을 천공한 구조로서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맞게 여러 가지 분무모양을 취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단순히 길게 뻗은 일체형 관으로서 화단의 제작/조립 후 임의로 길이조절이 불가능 하였고, 관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부분교체가 불가능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모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분무 형태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급수노즐을 니플(Nipple)을 통해 구간별로 선택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맞게 여러가지 분무모양을 갖는 급수노즐을 선택적으로 갈아 끼울 수 있고, 화분크기 및 연장된 길이게 맞게 급수노즐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으며, 특정구간에 하자가 발생될 경우 그 구간에 있는 급수노즐만을 따로 분리시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인 낱개의 화분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결합되고, 화분들의 결합으로서 이루어진 화단의 일측에는 순환펌프를 내장한 저수조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저수조에 충진된 물은 급수노즐을 통해 각각의 화분으로 공급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실내화단에 있어서, 상기 급수노즐은,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공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제1 급수노즐과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천공된 배수공에 결착구가 결합되고 이러한 결착구 선단에는 조절부재가 나선결합되어 급수되는 물의 입자크기 및 분무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제2 급수노즐이 니플(Nipple)을 통해 구간별로 선택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결착구는 제2 급수노즐과 이너볼조인트 형식으로 조립되게 하여 각 결착구별로 물의 분사각도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제1 급수노즐 및 제2 급수노즐의 외주연 일측에는 손잡이를 일체로 돌출되게 하여 상기 급수노즐의 분사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전술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된 조립식 화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우선 조립식 화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식 화단은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로서 각각의 낱개가 설치될 공간상황에 맞게 연속해서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화분(1)을 포함한다. 상기 화분(1)들의 결합으로서 이루어진 화단의 일측에는 순환펌프를 내장한 저수조(미도시)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저수조에 충진된 물은 급수노즐(14)을 통해 각각의 화분(1)으로 공급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급수노즐(14)은 도 3에서와 같이 임의의 길이를 갖는 단일 급수노즐들(14-1,14-2)이 연결부재인 니플(Nipple;14-3)을 매개로 요구되는 길이만큼 연속해서 선택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노즐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급수노즐(14)은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공(141)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제1 급수노즐(14-1)과, 도 3의 부분확대도의 도시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천공된 배수공에 결착구(142)가 결합되고 이러한 결착구(142) 선단에는 조절부재(144)가 나선결합되어 조절부재(144)의 조임량에 따라 급수되는 물의 입자크기 및 분무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제2 급수노즐(1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급수노즐(14-1) 및 제2 급수노즐(14-2)은 임의의 길이를 갖는 단일부재로서 그 사이에 연결부재로서 개입되는 니플(Nipple; 14-3)을 매개로 도 4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간별로 선택적인 조립이 가능하다.
부연설명하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가랑비형 분무가 요구되는 경우의 구간에서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제1 급수노즐(14-1) 만으로 급수노즐을 형성하고, 이와는 다르게 안개(또는 이슬비)형 분무가 요구되는 란(蘭)이나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이 식재된 구간의 화분에는 도 4의 (b)와 같이 제2 급수노즐(14-2) 만을 연결하여 급수노즐을 형성함으로써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맞게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때에 따라서 안개형분무와 가랑비형 분무가 동시에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도 4의 (c)에서와 같이 제1 급수노즐(14-1)과 제2 급수노즐(14-2)을 순차적으로 배열한 후 니플을 이용해 연결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1 급수노즐(14-1) 및 제2 급수노즐(14-2)의 외주연 일측에는 손잡이(146)를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각각의 급수노즐을 니플을 이용해 연속해서 연결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파지한 후 해당 급수노즐을 원주방향으로 돌리면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분사각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실시에 따르면, 서로 다른 분무형태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급수노즐을 니플(Nipple; 14-3)을 통해 구간별로 선택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맞게 여러가지 분무모양을 갖는 급수노즐을 선택적으로 갈아 끼울 수 있으며, 화분의 크기 및 연장된 길이게 맞게 니플을 이용해 급수노즐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특정구간에 하자가 발생될 경우 그 구간에 있는 급수노즐만을 따로 분리시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급수노즐 중 제2 급수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전술한 일실시예에 적용된 제2 급수노즐(14-2)의 배출공에 연결되는 상기 결착구(142)를 제2 급수노즐(14-2)과 이너볼조인트(Inner ball joint) 형식으로 조립되게 하여 각 결착구(142) 별로 물의 분사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급수노즐(14-2)의 배수공 주변에는 상단 중앙이 개방된 반구형상의 볼 하우징(147)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공에 결합되는 결착구(142) 하단에는 상기 볼 하우징과 대응되는 반원통형 형상의 볼(143)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시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결착구 선단에 형성된 볼(143)이 상기 볼 하우징(147) 내측에 끼워져 볼 하우징에 의해 감싸여지는 형태가 되는데 이를 이너볼조인트라 한다. 이러한 이너볼조인트에 의하여 결착구(142)는 그 선단의 볼(143)이 상기 볼 하우징(147)에 감싸여 지지된 상태에서 이를 지점으로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 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급수노즐(14-2)에 결합되는 결착구(142)가 이너볼조인트되어 조인트된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조절부재(144)가 결합되는 타단은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결착구(142) 선단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분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식물의 종류 및 특성에 맞게 물의 급수형태를 알맞게 조절하여 최적의 급수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조립식 화단의 급주노즐에 의하면, 서로 다른 분무형태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급수노즐을 니플(Nipple)을 통해 구간별로 선택조립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맞게 여러가지 분무모양을 갖는 급수노즐을 선택적으로 갈아 끼울 수 있고, 화분의 크기 및 연장된 길이게 맞게 급수노즐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으며, 특정구간에 하자가 발생될 경우 그 구간의 급수노즐만을 따로 분리시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인 낱개의 화분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결합되고, 화분들의 결합으로서 이루어진 화단의 일측에는 순환펌프를 내장한 저수조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저수조에 충진된 물은 급수노즐을 통해 각각의 화분으로 공급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실내화단에 있어서,
    상기 급수노즐(14)은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공(140)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제1 급수노즐(14-1)과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천공된 배수공에 결착구(142)가 결합되고 이 결착구(142) 선단에는 조절부재(144)가 나선결합되어 급수되는 물의 입자크기 및 분무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제2 급수노즐(14-2)이 니플(Nipple;14-3)을 통해 구간별로 선택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수노즐(14-1) 및 제2 급수노즐(14-2)의 외주연 일측에는 손잡이(146)가 일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142)는 제2 급수노즐(14-2)에 이너볼조인트되어 각 결착구(142) 별로 물의 분사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KR2020060008116U 2006-03-27 2006-03-27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KR200420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116U KR200420106Y1 (ko) 2006-03-27 2006-03-27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116U KR200420106Y1 (ko) 2006-03-27 2006-03-27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106Y1 true KR200420106Y1 (ko) 2006-06-28

Family

ID=4929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116U KR200420106Y1 (ko) 2006-03-27 2006-03-27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1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989B1 (ko) 2007-06-04 2008-07-11 주식회사 대경기업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보행자 안전휀스
KR20210120500A (ko) *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989B1 (ko) 2007-06-04 2008-07-11 주식회사 대경기업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보행자 안전휀스
KR20210120500A (ko) *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KR102379728B1 (ko) * 2020-03-27 2022-03-28 주식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7526A1 (en) Vertical Hydroponic Growing System and Method
KR100750905B1 (ko) 자체 급수가 가능한 조립식 화단
CN205454898U (zh) 多层次浇水花盆
KR200420106Y1 (ko)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KR100933624B1 (ko) 양액 재배장치
CN106386211B (zh) 一种打造生态工厂用可拆装植物景观成型模具及成型方法
KR100858994B1 (ko)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JP4423270B2 (ja) 水耕栽培装置
KR200411174Y1 (ko) 농작물 재배용 호스
KR101852141B1 (ko) 타워형 화분
KR20010099372A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US9521813B2 (en) Subsurface irrigation
KR102285559B1 (ko) 농작물 재배용 점적 조절장치
CN204762641U (zh) 一种独蒜兰竹编土培种植槽
CN108887027A (zh) 一种石斛苗种植装置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200425845Y1 (ko)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KR100594479B1 (ko) 지중관수시스템
CN206005433U (zh) 一种用于农产品无土基质栽培装置
KR200220751Y1 (ko) 식물재배용 화분
KR101397466B1 (ko) 기능성 화분
CN209594368U (zh) 带有滴灌植物灯的浸盆养护造型种植柜
CN109699335B (zh) 阳台多功能壁挂
CN219555736U (zh) 一种立体植物墙的喷滴灌装置
KR200288917Y1 (ko) 습도유지 및 수위관찰 기능을 갖는 이중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