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997Y1 -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997Y1
KR200419997Y1 KR2020060007914U KR20060007914U KR200419997Y1 KR 200419997 Y1 KR200419997 Y1 KR 200419997Y1 KR 2020060007914 U KR2020060007914 U KR 2020060007914U KR 20060007914 U KR20060007914 U KR 20060007914U KR 200419997 Y1 KR200419997 Y1 KR 200419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late
wing
temporary
horizont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혁
Original Assignee
박성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혁 filed Critical 박성혁
Priority to KR2020060007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9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와 지하차도 및 일반 건축물 지하의 토목용 H빔 가설자재로 일정간격으로 바닥에 H빔을 세로로 세우고, H빔과 H빔 사이에 가로로 H빔을 부착하기 위해 개량형 가설부자재를 설치하여 신속하게 H빔을 부착하고 시공 후 다시 가설부자재를 탈착하여 다른 H빔에 부착 재사용할 수 있는 가설부자재로서, H빔의 일측 단부에서 부터 결속되어 슬라이딩되는 내측에 접촉주름판을 형성한 삽입공간부과, 상기 삽입공간부로 결합되어 좌측 체결판에 H빔의 좌측H빔날개가 위치하여 고장하기 위해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타측에는 좌우 회동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어 결합하는 개폐체결판이 우측H빔 날개에 결합하여 수평으로 고정하는 다수의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와 체결부재의 결속으로 H빔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단에 형성된 지지판위에 가로로 H빔을 고정시키는 'ㄱ'형상에 보강날개를 구비한 지지브라켓에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H빔, 가설자재, 지하철, 지히차도 건설, 탈부착식, 지지 브라켓, 파일브라 켓, 피스브라켓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A separation and attach possible subsidiary materials construction an improved model}
도1은 종래의 H빔과 H빔을 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의 사용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의 개폐체결판이 개폐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의 개폐체결판이 체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의 체결부재에 H빔이 체결된 측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의 체결부재 부분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의 수평지지부재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H빔 12:좌측H빔날개
14:우측H빔날개 16:볼트
20:삽입공간부 22:접촉주름판
30:체결부재 32:좌측체결판
33:구면 34:나사선홈부
35:연결부 36:구면대우
37:결속구 40:수평지지부재
41:힌지 42:개폐체결판
43:연결러그 44:턴버클
46:지지판 48:보강날개
50:지지브라켓
본 고안은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구조물 구축시 시공 되는 H빔을 일정간격으로 바닥에 H빔을 세로로 세우고, H빔과 H빔 사이에 가로로 H빔을 부착하기 위해 개량형 가설부자재를 설치하여 H빔을 부착하고 시공 후 다시 가설부자재를 탈착하여 다른 H빔에 부착 재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H빔(10)을 일정간격으로 바닥에 세로로 H빔(10) 버팀을 설치 후에 H빔(10)에 구멍을 강제로 뚫어 세로로 세워진 H 빔(10)에 가로로 교차되게 볼트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사용한 H빔(10)은 다시 재사용하기 위해 볼트를 해체하여 다른 H빔(10) 버팀에 설치하기 위해 그에 맞는 구멍을 또 뚫어 가로에 쓰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 방식의 H빔(10)은 H빔(10) 사용 후 녹슨 볼트를 해체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며 사용한 H빔(10)은 중고 빔의 가격으로 떨어지고, H빔에 여러번의 구멍 작업으로 지지하는 힘이 떨어지는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간격으로 바닥에 H빔을 세로로 세우고, H빔과 H빔 사이에 가로로 H빔을 부착하기 위해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를 설치하여 H빔을 신속하게 부착하고 시공 후 다시 가설부자재를 탈착하여 다른 H빔에 부착 재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는, H빔의 일측 단부에서 부터 결속되어 슬라이딩되는 내측에 접촉주름판을 형성한 삽입공간부과, 상기 삽입공간부로 결합되어 좌측 체결판에 H빔의 좌측H빔날개가 위치하여 고장하기 위해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타측에는 좌우 회동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어 결합하는 개폐체결판이 우측H빔 날개에 결합하여 수평으로 고정하는 다수의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와 체결부재의 결속으로 H빔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단에 형성된 지지판위에 가로로 H빔을 고정시키는 'ㄱ'형상에 보강날개를 구비한 지지브라켓에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를 제공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브라켓(50)은 일정간격으로 바닥에 H빔(10)을 세우고, 일측에서 체결되어 H빔(10)에 부착된다.
상기 H빔(10)의 상단 단부에 삽입공간부(20)이 위치토록 하여 단부에서 부터 결속되어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H빔(10)에 삽입된 삽입공간부(20) 내측에 접촉주름판(22)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면에서 H빔(10)과 마찰력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 상기 삽입공간부(20) 내측에 형성된 접촉주름판(22)은 고주파 열처리하여 주름면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부(20)로 결합되어 좌측체결판(32)에 H빔(10)의 좌측H빔날개(12)가 위치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재(30)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0)는 좌측체결판(32)에서 접촉주름판(22)의 구면(33)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홈 내부에 나사선을 형성한 체결부재(30)가 나사선홈부 (34)에서 전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체결부재(30)는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T'형상으로 일측에 구면대우(36)를 형성하여 나사선홈(34)부에서 나사선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주름판(22) 일측에서 볼트(16)로 원형테두리 형상의 연결부(35)의 원형체에 체결 고정하여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촉주름판(22)과 좌측체결판(32)의 접착부분 사이에 삽입 결속되는 결속구(37)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5)의 결속구(37)와 나사선홈부(34)가 일직선상으로 연장되게 결합한 홈에 체결부재(30)가 나사선 방향의 회전으로 미는 힘을 가하여 좌측H빔날개(12)와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체결부재(30)의 타측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H빔날개(14)에 좌우 회동하는 힌지(41)를 중심으로 좌우 개폐되어 결합하는 개폐체결판(42)이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H빔날개(14)를 덮으면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체결판(42)이 결합하여 H빔(10)의 양측부 내부공간에 각기 돌설되어 있는 연결러그(43)에 체결되어 그 중간에는 턴버클(44)이 개재되어 있어 길이 조절하는 수평지지부재(40)가 다수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부재(40)의 턴버클(44)은 도8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로 나사막대를 가진 부품으로 한쪽의 수나사는 오른나사로, 다른 쪽의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어, 암나사가 있는 부품, 즉 턴버클(44)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진다.
이러한 구조물의 수평지지부재(40)의 턴버클(44)은 구조물의 중간에 턴버클 (44)을 넣고 돌림으로써 팽팽하게 밀 수 있다.
이때, 상기 턴버클(44)의 조임과 풀림으로 수평지지부재(40)는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지지부재(40)는 H빔(10)의 내부공간부에서 팽팽하게 밀착시키며 체결부재(30)는 좌측체결판(32)이 좌측H빔날개(12)를 구비하여 체결부재(30)로 H빔(10)과 체결되어 H빔(10)과 지지브라켓(50)은 유동없게 고정된다.
이와같이 상기 수평지지부재(40)와 체결부재(30)가 조임하여 고정하게 되면, 비교적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40)와 체결부재(30)의 결속으로 H빔(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지지브라켓(5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판(46) 위에 가로로 H빔(1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50)은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ㄱ'형상으로 양측에 보강날개(48)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브라켓(50)의 보강날개(48)는 'ㄱ'형상에 꺽임을 방지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50)은 H빔(10)이 일정간격으로 세워지고 각각의 H빔(10)이 같은 높이에 지지브라켓(50)이 부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50)의 지지판(46) 위에 가로로 H빔(10)이 놓여져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50)은 시공에 맞는 H빔(10)에 설치하는 높이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 저 지하철 공사 또는 지하 토목 공사에서 작업자는 H빔(10)을 세우기 전에 H빔(10)의 일측 상단의 단부에 삽입공간부(20)이 위치토록 하여 단부에서 부터 결속되어 슬라이딩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좌측H빔날개(12)에 위치한 좌측체결판(32)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재(30)를 회전시키면 체결부재(30)는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좌측H빔날개(12)와 접촉주름판(22)을 강하게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30)의 타측에는 우측H빔날개(14)에서 좌우 회동하는 힌지(41)를 중심으로 좌우 개폐되어 결합하는 개폐체결판(42)이 우측H빔날개(14)를 덮으면서 결합한다.
아울러 다수의 수평지지부재(40)를 구비한 개폐체결판(42)은 H빔(10)의 양측부 내부공간에 각기 돌설되어 있는 연결러그(43)에 체결되어 그 중간에는 턴버클(44)이 개재되어 있어 길이 조절하는 수평지지부재(40)가 다수 체결되어 턴버클(44)의 회전으로 2개의 수나사는 서로 멀어져 H빔(10)의 내부공간에서 우측H빔날개(14)와 지지브라켓(50)을 밀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와같이 체결부재(30)와 수평지지부재(40)로 H빔(10)의 일측에 일정한 높이에 고정된 지지브라켓(50)을 다수 고정시킨 H빔(10)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바닥에 세워 지지브라켓(50)의 지지판(46)에 위에 가로로 H빔(10)을 고정시켜 지하철 및 지하 토목 공사등 공사에 사용되는 H빔(10)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50)의 체결부재(30)와 수평지지부재(40)는 상호 경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부재(30)와 수평지지부재(4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브라켓(50)의 체결부재(30)는 상호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T'형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T'형상이 아니더라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형상의 구면대우(36) 구비한 일측의 모양이 4각, 6각, 8각으로 제작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지지브라켓(50)의 체결부재(30)와 수평지지부재(40)로 H빔(10)에 조임되어 H빔(10)에서 유동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고 안정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H빔(10)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50)으로 가로로 H빔(10)을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편리하면서도 신속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는 지하 구조물 구축시 시공 되는 H빔을 일정간격으로 바닥에 H빔을 세로로 세우고, H빔과 H빔 사이에 가로로 H빔을 부착하기 위해 개량형 지지브라켓을 설치하여 H빔을 부착하고 시공 후 다시 지지브라켓을 탈착하여 다른 H빔에 부착 재사용할 수 있어 자재비와 인건비가 절감되며 신속한 H빔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일정간격으로 바닥에 H빔을 세로로 세우고, H빔과 H빔 사이에 가로로 H빔을 부착하기 위한 가설자재에 있어서,
    상기 H빔(10)의 일측 단부에서 부터 결속되어 슬라이딩되는 내측에 접촉주름판(22)을 형성한 삽입공간부(20)와,
    상기 삽입공간부(20)로 결합되어 좌측체결판(32)에 H빔(10)의 좌측H빔날개(12)가 위치하여 고장하기 위해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부재(30)와,
    상기 체결부재(30)의 타측에는 좌우 회동하는 힌지(41)를 중심으로 개폐되어 결합하는 개폐체결판(42)이 우측H빔날개(14)에 결합하여 수평으로 고정하는 다수의 수평지지부재(40)와,
    상기 수평지지부재(40)와 체결부재(30)의 결속으로 H빔(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단에 형성된 지지판(46) 위에 가로로 H빔(10)을 고정시키는 'ㄱ'형상에 보강날개(48)를 구비한 지지브라켓(50)에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빔(10)의 좌측H빔날개(12)와 결합하여 좌측체결판(32)에서 접촉주름판(22)의 구면(33)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홈 내부에 나사선을 형성한 나사선홈부(34)와,
    상기 접촉주름판(22) 일측에서 볼트(16)로 원형테두리형상의 연결부에 체결 고정하여 접촉주름판(22)과 좌측체결판(32)의 접착부분 사이에 삽입 결속되는 결속구(37)를 형성한 원형체의 연결부(35)와,
    상기 연결부(35)의 결속구(37)에 구면대우(36)가 결속되고 나사선홈부(34)에서 회전하면서 안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것으로 일측에 구면대우(36)를 구비한 'T'형상의 체결부재(30)에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H빔날개(12)의 타측에 형성된 우측H빔날개(14)에 좌우 회동하는 힌지(41)를 중심으로 좌우 개폐로 우측H빔날개(14)를 덮어 결합하는 개폐체결판(42)과,
    상기 개폐체결판(42)이 결합하여 H빔(10)의 양측부 내부공간에 각기 돌설되어 있는 연결러그(43)에 체결되어 그 중간에는 턴버클(44)이 개재되어 있어 길이 조절하는 수평지지부재(40)에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KR2020060007914U 2006-03-24 2006-03-24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KR200419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914U KR200419997Y1 (ko) 2006-03-24 2006-03-24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914U KR200419997Y1 (ko) 2006-03-24 2006-03-24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860A Division KR20070096433A (ko) 2006-03-24 2006-03-24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997Y1 true KR200419997Y1 (ko) 2006-06-27

Family

ID=4448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914U KR200419997Y1 (ko) 2006-03-24 2006-03-24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9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5026B1 (en) Structure comprising two juxtaposed panels and an assembly for securing the two juxtaposed panels to a structure
US20100037552A1 (en) Side mounted drill bolt and threaded anchor system for veneer wall tie connection
BR112016000321B1 (pt) Painel de cofragem, concretagem de cofragem de parede e de teto, e, método para produção de um painel de cofragem
US7987948B2 (en)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KR20110069771A (ko) 부재의 단부 유지용 고정구
PT819200E (pt) Serie de acessorios para unir vigas em i ou em u ou outras seccoes transversais de vigas
TW202010972A (zh) 太陽能板之調整配件及攜載系統
KR20070096433A (ko)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KR200419997Y1 (ko) 탈부착이 가능한 개량형 가설부자재
MXPA06009181A (es) Sistemas de formas de concreto con amarres de concreto.
KR102553211B1 (ko) 잠금식 타일 파스너 및 이를 이용한 잠금식 타일 설치 기구
JP2006265837A (ja) グレーチングの固定具
JP2001214694A (ja) コッター式継手装置
US8763317B2 (en) Concrete roof panel
KR100514604B1 (ko) 긴장력을 이용한 형강 부착용 클램프
JPH086896Y2 (ja) 天井下地筋違用金物
KR100653317B1 (ko) 요철결합을 이용한 형강 부착용 클램프
JP3772320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方法
AU2007317210A1 (en) A fastening system and a method of fastening a building panel
KR200267890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JP7411963B2 (ja) かん合パネル落下防止用ワイヤーロープの取付け金具
JP4155948B2 (ja) 建築物の改修構造
JP3054035U (ja) 吊足場
JPH11324312A (ja) 吊足場
GB2495742A (en) Securing device for a tensioning system for reinforcing trusses in a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