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886Y1 -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 Google Patents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886Y1
KR200419886Y1 KR2020060008451U KR20060008451U KR200419886Y1 KR 200419886 Y1 KR200419886 Y1 KR 200419886Y1 KR 2020060008451 U KR2020060008451 U KR 2020060008451U KR 20060008451 U KR20060008451 U KR 20060008451U KR 200419886 Y1 KR200419886 Y1 KR 200419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ring hole
body portion
hanger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유니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8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6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e.g. paper, board, plastics, glas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 중앙영역에 고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공의 폭방향 일 측 영역은 폭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 좌우대칭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가 상기 고리공에 대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는 한 쌍의 받침날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절개 영역을 연결하는 체결부를 갖는 종이재질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고리공의 폭방향 타측 영역에 직선상의 절첩접이선이 상기 고리공으로부터 연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공으로부터 상기 절첩접이선에 대하여 180도보다 작은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첩접이선과 일직선을 이루는 연결접이선을 통해 절곡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기 연결절개선 대향영역으로부터 상기 연결절개선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접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받침날개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해진다.
철선, 옷걸이, 어깨받이, 체결부, 접착판

Description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Shoulder Support for Wire Hanger}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의 사시도,
도2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대응하는 전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의 절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종래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의 사시도,
도7은 종래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대응하는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바디부 10', 110' : 받침날개
10e : 절첩접이선 10f : 걸림절취선
20, 120 : 체결부 21 : 접착판
121 : 끼움부 122 : 끼움절개부
본 고안은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옷의 어깨부를 지탱하도록 철선옷걸이에 장착되는 어깨받이에 관한 것이다.
철선옷걸이는 세탁된 옷을 걸어두거나 운반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철선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옷의 어깨영역이 구겨지거나 자국이 발생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철선옷걸이의 경사철선부에 어깨받이를 장착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있다.
도6은 종래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의 사시도이고, 도7은 종래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대응하는 전개도이다.
종래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중앙영역에 고리공(110a)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대칭형의 바디부(110)와, 바디부(110)가 고리공(110a)에 대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는 한 쌍의 받침날개(110')를 형성하도록 절개 영역을 연결하는 체결부(120)를 갖고 있다.
바디부(110)는 고리공(110a)의 폭방향 상측 영역이 폭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고, 바디부(110)는 고리공(110a)의 좌우영역에 각각 직선상의 지지절개선(110b)이 고리공(110a)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20)는 바디부(110)의 절개영역 일 측에 형성된 끼움부(121)와, 바디부(110)의 절개영역 타 측에 형성된 끼움절개부(122)로 구성되어 있다.
끼움부(121)는 바디부(110)의 절개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목부(121a)와, 목부(121a)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략 반원 형상의 끼움편(121b)을 갖고 있다.
끼움절개부(122)는 중앙의 주절개선(122a)과 주절개선(122a)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보조절개선(122b)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주절개선(122a)은 끼움편(121b)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주절개선(122a)의 길이구간을 짧게 하더라도 끼움편(121b)을 측면으로부터 주절개선(122a)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끼움절개부(1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끼움편(121b)을 끼움절개부(122)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로 보관한다.
다음에 끼움편(121b)을 끼움절개부(122)에 고정시켜 한 쌍의 받침날개(110')를 형성한다.
다음에 철선옷걸이(201)의 걸고리(202)를 고리공(110a)에 삽입하여 통과시킨다(도1 참조).
다음에 받침날개(110')에 옷의 어깨부가 지지되도록 옷을 철선옷걸이(201)에 건다.
그런데, 종래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따르면, 끼움편(121b)을 끼움절개부(122)에 고정시켜 받침날개(110')를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옷걸이에 설치)시간이 많아지고 사용이 불편하며 외력에 의해 받침날개(110')의 형태가 와해될 염려가 있 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받침날개(110')가 형성된 상태로 보관하거나 끼움편(121b)을 끼움절개부(122)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로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관이 어렵다(보관공간의 증가, 등)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받침날개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반으로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내측 중앙영역에 고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공의 폭방향 일 측 영역은 폭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 좌우대칭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가 상기 고리공에 대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는 한 쌍의 받침날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절개 영역을 연결하는 체결부를 갖는 종이재질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고리공의 폭방향 타측 영역에 직선상의 절첩접이선이 상기 고리공으로부터 연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공으로부터 상기 절첩접이선에 대하여 180도보다 작은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첩접이선과 일직선을 이루는 연결접이선을 통해 절곡되도록상기 바디부의 상기 연결절개선 대향영역으로부터 상기 연결절개선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접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바디부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상기 고리공은 상기 절첩접이선과 상기 연결접이선을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대각선을 갖는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깨띠를 갖는 옷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걸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받침날개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끈을 지지하는 끈걸림편을 하방향으로부터의 가압동작에 의해 형성하기 위한 걸림절취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의 사시도이고, 도2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대응하는 전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중앙영역에 고리공(10a)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대칭형의 바디부(10)와, 바디부(10)가 고리공(10a)에 대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는 한 쌍의 받침날개(10')를 형성하도록 절개 영역을 연결하는 체결부(20)를 갖고 있다.
바디부(10)는 고리공(10a)의 폭방향 상측 영역이 폭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고, 고리공(10a)의 폭방향 하측 영역에는 직선상의 절첩접이선(10e)이 고리공(10a)으로부터 하측 연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다.
바디부(10)의 연결절개선(10c)은 고리공(10a)으로부터 절첩접이선(10e)에 대하여 180도보다 작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고리공(10a)은 절첩접이선(10e)과 연결접이선(10d)을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대각선을 갖는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10)는 각 받침날개(10')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영역에 걸림절취선(10f)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절취선(10f)을 하방향으로부터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받침날개(10')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끈을 지지하는 끈걸림편(10'f)이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10)는 고리공(10a)의 좌우영역에 각각 직선상의 지지절개선(10b)이 고리공(10a)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20)는 바디부(10)의 연결절개선(10c) 대향영역으로부터 연결절개선(10c)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접착판(2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접착판(21)은 절첩접이선(10e)과 일직선을 이루는 연결접이선(10d)을 통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결부(20)에 따르면 접착판(21)의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바디부(10)의 이면에 가압접촉시킴으로써, 받침날개(1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착판(21)의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바디부(10)의 이면에 가압 접촉시킨다. 접착판(21)이 바디부(10)에 가압 접촉되면 받침날개(10')가 형성된다.
다음에 반으로 접은 상태로 보관한다(도4 참조).
다음에 보관중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를 다시 원 상태로 편다.
다음에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철선옷걸이(201)의 걸고리(202)를 고리공(10a)에 삽입하여 통과시킨 후, 옷을 철선옷걸이(201)에 건다. 여기서 어깨띠가 있는 옷의 경우 끈걸림편(10'f)에 의해 옷이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도5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0)에 절첩접이선(10e)을 형성하고 접착판(2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바디부(10)에 고정시켜 받침날개(10')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받침날개(10')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고리공(10a)을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바디부(10)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부(10)에 걸림절취선(10f)을 형성함으로써, 어깨띠를 갖는 옷을 흘러내리지 않도록 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바디부에 절첩접이선을 형성하고 접착판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바디부에 고정시켜 받침날개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받침날개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해진다.

Claims (3)

  1. 내측 중앙영역에 고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공의 폭방향 일 측 영역은 폭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 좌우대칭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가 상기 고리공에 대하여 하향경사를 이루는 한 쌍의 받침날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절개 영역을 연결하는 체결부를 갖는 종이재질의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고리공의 폭방향 타측 영역에 직선상의 절첩접이선이 상기 고리공으로부터 연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공으로부터 상기 절첩접이선에 대하여 180도보다 작은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첩접이선과 일직선을 이루는 연결접이선을 통해 절곡되도록상기 바디부의 상기 연결절개선 대향영역으로부터 상기 연결절개선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접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공은 상기 절첩접이선과 상기 연결접이선을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대각선을 갖는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받침날개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끈을 지지하는 끈걸림편을 하방향으로부터의 가압동작에 의해 형성하기 위한 걸림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KR2020060008451U 2006-03-30 2006-03-30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KR200419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51U KR200419886Y1 (ko) 2006-03-30 2006-03-30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51U KR200419886Y1 (ko) 2006-03-30 2006-03-30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886Y1 true KR200419886Y1 (ko) 2006-06-28

Family

ID=4929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451U KR200419886Y1 (ko) 2006-03-30 2006-03-30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8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03B1 (ko) 2012-04-18 2013-02-18 최선희 옷걸이용 보조판
KR20160002825U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이지택 의류 상의 어깨부분 구김 방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03B1 (ko) 2012-04-18 2013-02-18 최선희 옷걸이용 보조판
KR20160002825U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이지택 의류 상의 어깨부분 구김 방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360B2 (en) Adjustable clothes hanger
US20090294494A1 (en) Garment hanger including fold-over paper sizer
US5645200A (en) Garment hanger
US9186009B2 (en) Hanger strap and shoulder covers
KR200419886Y1 (ko)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JP2005160555A (ja) 衣料用ハンガー
CN115605114A (zh) 一种折叠式衣架
JP2005021564A (ja) ハンガー
KR200399442Y1 (ko) 철선옷걸이용 어깨받이
US8430283B2 (en) T-shirts hanger
US7708174B1 (en) Top sizer for garment hanger
JP3179397U (ja) ハンガー
US20050184110A1 (en) Garment hanger covers
KR200174989Y1 (ko) 주름방지용 옷걸이 보조 어깨판
JP5368024B2 (ja) ハンガー
US6499635B1 (en) Garment hanger
JP3238161U (ja) ハンガーに着脱できる折り畳み式肩パッド
JP3234573U (ja) 棚板ハンガー
US20070062985A1 (en) Hanger having a locking bar
US11028530B2 (en) Folding guide hanger
US5950885A (en) Garment hanger with reinforced non-creep clamp retainers
JP3190221U (ja) 下半身用衣料のハンガー
KR101234303B1 (ko) 옷걸이용 보조판
KR200223517Y1 (ko) 옷걸이용 공기주입식 보조 어깨받이
KR100645312B1 (ko)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