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776Y1 -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 - Google Patents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776Y1
KR200419776Y1 KR2020060008447U KR20060008447U KR200419776Y1 KR 200419776 Y1 KR200419776 Y1 KR 200419776Y1 KR 2020060008447 U KR2020060008447 U KR 2020060008447U KR 20060008447 U KR20060008447 U KR 20060008447U KR 200419776 Y1 KR200419776 Y1 KR 200419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ir
connecting piece
conne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월드
Priority to KR2020060008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7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7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한개 이상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의자의 후방지지프레임은 코너연결구 후방에 배치된 제1연결편에 조립되고, 전방지지프레임은 코너연결구 전방에 배치된 제2연결편에 조립되며, 상기 제2연결편 측면에는 의자의 좌석프레임과 결합되는 제3연결편이 돌출된 것으로서, 의자의 프레임 제작이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코너연결구의 표면이 매끄러워 한개 이상의 의자를 적층 하기가 편리한 특징이 있다.
의자, 후방지지프레임, 전방지지프레임, 좌판프레임, 프레임연결구

Description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Frame jointer for constructing of chair frames}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된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의자 11: 전방지지프레임
12: 후방지지프레임 13: 등받이프레임
14: 좌판프레임 20: 프레임연결구
21: 제1연결편 22: 제2연결편
23: 제3연결편
본 고안은 의자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프레임을 하나의 로터리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의자의 한개 이상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그 구성의 형태와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되고 있으며, 구성에 따라 크게 회전이 가능한 회전의자와 이와 상반되는 고정형 의자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의자 중에서도 회전이 되지 않는 종래의 고정형 의자는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의자의 하부에 구비되어 의자를 지지하는 전/후방지지프레임과, 이의 전/후방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인체의 둔부가 안착 되는 좌판과, 그리고 전/후방지지프레임 후단에 상향으로 설치되고 인체의 등이 받쳐지는 등판이 고정되는 등받이프레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의자들의 골격을 유지하는 프레임이 대부분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관련부품이 많아 제조처에서의 제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즉, 좌판과 등판을 고정하는 좌판프레임 및 등받이프레임를 등을 각각 별도로 제조하여 이들을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관련부품의 수가 많아 제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 이들을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하는데 있어서도 전문인력과 시간 및 경비가 지나치게 소요되어 원가를 상승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 외에도 각 부품의 접합부위가 깨끗하지 못해 의자의 제품성이 저하됨은 물론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운반 및 보관에 있어서도 부피가 많이 차지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고정형 의자에 적용된 전/후방지지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 및 좌판프레임을 프레임연결구로 조립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레임연결구의 후방에는 상/하 돌기를 갖는 제1연결편과, 프레임연결구 전방에는 돌기를 갖는 제2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 측면에는 좌석프레임과 결합되는 제3연결편이 돌출되어 다수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성을 향상시킨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된 의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의 프레임은 전/후방지지프레임(11)(12)과 등받이프레임(13)및 좌판프레임(14)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이 만나는 각각의 단부에는 프레임연결구(20)부재가 배치된 것으로, 프레임연결구(20)에는 제1연결편(21)과 제2연결편(22)및 제3연결편(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연결구(20) 후방에 배치된 제1연결편(21)에는 상/하부 결합돌기(21a)(21b)가 돌출되어 있어, 후방지지프레임(12)과 등받이프레임(13) 내부 각각 구멍(12')(13')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연결구(20) 전방에 배치된 제2연결편(22)에 돌출된 돌기(22')는 전방지지프레임(11) 내부에 천공된 구멍(11')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편(22) 측면에 돌출된 제3연결편(23) 내부에는 나사구멍(23')이 형성되어 있어, 좌판프레임(14)과 결합한 후 볼트(24)로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의자(10)의 후방지지프레임(12) 내부에 천공된 구멍(12')에 프레임연결구(20)의 제1연결편(21) 하부에 돌출된 하부결합돌기(21a)를 끼우게 된다. 이어서, 등받이프레임(13) 내부에 천공된 구멍(13')에는 제1연결편(21) 상부에 돌출된 상부결합돌기(21b)를 끼워 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연결편(21)을 후방지지프레임(12)과 등받이프레임(13)과 조립한 후 제2연결편(22)에 돌출된 돌기(22')는 전방지지프레임(11) 내부에 천공된 구멍(11')에 끼워져 조립되며, 제2연결편(22) 측면에 돌출된 제3연결편(23)에는 좌판프레임(14)과 결합된다. 이때, 제3연결편(23)의 내부에는 나사구멍(23')이 형성되어 있어, 좌판프레임(14)과 결합한 후 볼트(24)로 나사 체결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형 의자에 적용된 전/후방지지프레임과 등판프레임 및 좌판프레임을 만나는 각각의 단부에 프레임연결구로 조립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각각의 연결부분을 용접하지 않고 돌출부와 구멍으로 조립됨으로써, 외관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제품이 향상되며, 특히, 프레임의 연결부분이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의자를 적층한 후 운반을 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의자(10)의 프레임은 전/후방지지프레임(11)(12)과 등받이프레임(13)및 좌판프레임(14)으로 구성된 의자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프레임(12)과 등받이프레임(13)에 천공된 구멍(12')(13')에는 코너연결구(20) 후방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연결편(21)에 돌출된 상/하부 결합돌기(21a)(21b)와,
    상기 전방지지프레임(11)에 천공된 구멍(11')에는 코너연결구(20) 전방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2연결편(22)에 돌출된 돌기(22')와,
    상기 제2연결편(22) 측면에 돌출된 제3연결편(23) 내부에는 나사구멍(23')이 형성되어 있어, 좌판프레임(14)과 결합한 후 볼트(24)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
KR2020060008447U 2006-03-30 2006-03-30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 KR200419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47U KR200419776Y1 (ko) 2006-03-30 2006-03-30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447U KR200419776Y1 (ko) 2006-03-30 2006-03-30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776Y1 true KR200419776Y1 (ko) 2006-06-26

Family

ID=4448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447U KR200419776Y1 (ko) 2006-03-30 2006-03-30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7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19880S1 (en) Exterior wall panel attachment component
USD652885S1 (en) Modular tent system
USD519292S1 (en) Folding chair with armrests
USD547076S1 (en) Collapsible rocking chair
USD548986S1 (en) Stackable rocker chair
USD555377S1 (en) Seating unit
USD543736S1 (en) Chair
USD533055S1 (en) Two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USD554872S1 (en) Lounge furniture
US20180116413A1 (en) Foldable bed
USD530112S1 (en) Couch
JP4789149B2 (ja) パネル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キッチン台
KR200419776Y1 (ko) 의자의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연결구
US20180116414A1 (en) Foldable bed equipped with improved bed board
USD521283S1 (en) Chair seat
USD520258S1 (en) Outdoor chair
JP4804939B2 (ja)
JP4386714B2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USD544718S1 (en) Glider rocker
JP5355885B2 (ja) 家具
JP3092194U (ja) 厚紙製組立棚
JP4566933B2 (ja) 机用脚
USD524567S1 (en) Outdoor chair
KR20230131538A (ko) 조립식 의자의 프레임
JP3643757B2 (ja) 組立て式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