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778Y1 - 포스 장치 - Google Patents

포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778Y1
KR200418778Y1 KR2020060009038U KR20060009038U KR200418778Y1 KR 200418778 Y1 KR200418778 Y1 KR 200418778Y1 KR 2020060009038 U KR2020060009038 U KR 2020060009038U KR 20060009038 U KR20060009038 U KR 20060009038U KR 200418778 Y1 KR200418778 Y1 KR 200418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nitor
cover
upper cov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2020060009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7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와 본체를 힌지로 연결하고 본체의 평면과 배면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여 모니터의 고정 및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본체의 케이블 및 각종 연결 포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하고, 주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포트를 일측면에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본체와 케이블을 통해 통신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및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적어도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는 납작한 판 형상을 이루고, 본체의 평면에 착탈되어 케이블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 그리고 본체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며 적어도 정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고, 각 연결 포트가 포함되는 본체의 일측면에 착탈되어 각 연결 포트를 커버하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스 장치; 힌지; 모니터

Description

포스 장치{POS APPRARTU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 커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모니터 12 : 케이블
14 : 지지대 20 : 본체
22 : 연결 포트 24 : 힌지
26 : 걸림홈 28 : 가이드 바
30 : 상부 커버 32 : 걸림 돌기
33 : 요홈부 34 : 스토퍼
36 : 결합 돌기 40 : 배면 커버
44 : 안착홈 45 : 결합홈
46 : 발열구 100 : 포스 장치
본 고안은 포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모니터와 본체를 힌지로 연결하고 본체의 평면과 배면을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여 모니터의 고정 및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본체의 케이블 및 각종 연결 포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스(Point Of Sale) 장치는 판매와 관련된 데이터를 물품이 판매되는 그 시간과 장소에서 즉시 취득하는 시스템으로서, 상품에 붙어있는 바코드를 읽어들이는 시점에 가격 계산은 물론 재고량이 조정되고 신용조회 등 판매와 관련하여 필요한 일련의 조치가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포스 장치는 상품 가격 등을 입력하는 입력장치,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산술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본체 및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바코드 스캐너, 키보드 및 고객이 제시하는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상품의 바코드가 스캐닝될 때마다 상품의 가격과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본체에 의해 계산된 전체 상품가격 및 구매자가 지불한 지불금액, 그리고 거스름돈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는 각 상품의 가격, 전체 상품가격, 지불금액 및 거스름돈 등을 구매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구매자 디스플레이부와, 각 상품의 가격, 목록, 전체 상품가격, 지불금액 및 거스 름돈 등의 정보를 판매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한다. 구매자 디스플레이부는 통상적으로 본체의 평면 또는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 구비되며 모니터는 본체의 평면에 배치된다. 종래에는 모니터로 CRT 모니터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부피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고려하여 LCD 모니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 기능이 부가된 모니터도 사용되고 있다.
포스 장치를 이용한 상품 구매과정을 살펴보면,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각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하거나 입력장치를 통해 상품의 가격 및 명칭 등을 입력하면, 본체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각 상품의 가격을 합산하여 전체 상품의 가격을 산출한다. 입력된 상품의 가격 등의 정보는 모니터와 구매자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판매자는 구매자가 상품 구매대금의 결제를 위해 제공하는 현금의 금액을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거나 구매자가 제시하는 카드를 카드리더기로 판독하고, 본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지불된 금액에서 상품의 구매대금을 감산하여 거스름돈을 산출하며, 이는 모니터와 구매자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판매자는 디스플레이된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구매자에게 거스름돈을 지급함으로써 상품의 구매과정이 종료된다. 또한, 본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각 상품의 판매내역, 즉 각 상품명 및 분류와 판매금액 등을 중앙의 서버 또는 본체 내부의 메모리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여 매장 내의 상품에 대한 판매현황 및 판매실적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스 장치의 경우 모니터를 본체에 고정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단순히 본체의 평면에 배치하므로 모니터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모니터를 건드릴 경우 모니터가 움직이거나 본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경우 판매자가 데이터의 입력을 위해 모니터를 터치하면서 모니터가 흔들리거나 조금씩 밀려 아래로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포스 장치는 그 특성상 모니터와 본체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케이블이 구비되며, 본체의 일면으로는 주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포트가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이러한 케이블과 연결 포트들은 본체의 평면 및 배면에 배치되므로 구매자를 향해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구매자에게 지저분한 본체의 배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빈번하게 드나드는 구매자 또는 상품에 걸리거나 부딪힘으로 인해 케이블 등이 뽑히거나 연결 포트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와 본체를 힌지로 연결하여 모니터를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포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평면과 배면을 각기 감싸는 커버를 구비하여 본체와 모니터 간의 케이블 및 본체 배면의 연결 포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매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을 깔끔하게 정돈하고 케이블 및 연결 포트가 손상되거나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는,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의 가격계산 및 판매관리를 수행하는 포스 장치로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하고, 주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포트를 일측면에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본체와 케이블을 통해 통신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및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적어도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는 납작한 판 형상을 이루고, 본체의 평면에 착탈되어 케이블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 그리고 본체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며 적어도 정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고, 각 연결 포트가 포함되는 본체의 일측면에 착탈되어 각 연결 포트를 커버하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니터의 하단부가 본체의 일측 단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모니터의 배면에 힌지로 연결되고 본체의 평면에 맞닿아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본체의 평면 중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의 주변에, 횡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상하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을 더 포함하고, 상부 커버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각 걸림홈에 끼워지고, 일단부에 각 걸림홈의 주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부 커버가 본체의 후방으로 일정 영역 이 돌출되게 배치되고,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커버의 영역의 저면 중 본체의 배면에 맞닿는 위치에 접이식으로 출몰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가, 상부 커버의 배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고, 배면 커버가, 배면 커버의 정면에 함몰 형성되어,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커버의 영역이 안착되는 안착홈 및 안착홈에 함몰 형성되어 각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본체가, 길쭉한 막대 형상을 이루며 본체의 배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고, 배면 커버는, 양측면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각 가이드 바가 각기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단턱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100)는, 상품의 가격 정보 등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미도시),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본체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 서에 의한 처리 결과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0), 그리고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본체(20)를 포함하고, 본체의 평면 및 배면으로는 각기 상부 커버(30)와 배면 커버(40)가 장착된다. 입력장치로는, 판매자로부터 가격 정보 등 데이터를 직접 입력받는 키보드 및 마우스, 상품의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바코드 스캐너, 그리고 구매자가 제시하는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포스 장치(100)는, 구매자를 향해 배치되어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본체(20)의 처리 결과 등을 구매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구매자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모니터(10)는 본체(20)의 평면에 배치되고, 케이블(12)을 통해 본체와 통신 연결되어 본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모니터(10)로는 LCD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부가된 모니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모니터(10)의 하단부는 본체(20)의 일측 단부와 힌지(24)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모니터를 본체에 일체형으로 고정하면서 일정 각도 범위에서 모니터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10)의 배면으로는 본체의 평면에 맞닿아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대(14)를 포함하도록 한다. 지지대(14)는 모니터(10)를 후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바람직하게는 모니터의 각도에 따라 지지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대와 모니터의 연결부 역시 힌지로 구성하도록 한다.
본체(20)는 내부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하고, 케이블(12)을 통해 모니터(10)와 통신 연결되어 처리 결과를 모니터로 출력한다. 본체(20)의 상세한 내부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체(20)의 일측면으로는 다양한 주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포트(22)가 구비되며, 본체의 일측 단부로는 모니터(10)를 고정 설치하는 힌지(24)가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본체(20)의 배면에 연결 포트가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본체(20)의 평면으로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26)이 형성된다. 걸림홈(26)은 상부 커버(30)를 고정 장착하기 위한 구멍으로, 본체(20)의 횡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을 이루며 케이블(12)이 배치되는 영역의 주변에 다수 배치하도록 한다. 또한, 본체(20) 중 복수의 연결 포트(22)가 배치된 일측면(도 1 및 도 2에서의 배면)으로는 길쭉한 막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28)를 구비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좌우 두개의 가이드 바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부 커버(30)는 본체(20)의 평면에 배치되는 케이블(12)을 감싸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는 구성부로서, 납작한 판 형상을 이루고 적어도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는 크기와 높이를 갖도록 한다. 상부 커버(30)의 저면으로는 본체의 걸림홈(26)에 끼워져 장착되는 복수의 걸림 돌기(32)가 형성된다. 걸림 돌기(32)는 걸림홈(26)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며, 일측으로는 횡방향으로 함몰된 요홈부(33)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걸림 돌기(32)를 걸림홈(26)에 끼운 후 상부 커버(30)를 일방향, 즉 요홈부(33)가 형성된 방향(도 1 및 도 2에서 후방)으로 당기면 걸림홈의 주변부가 요홈부에 끼워져 상부 커버를 본체(20)에 고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30)를 본체(20)에 장착하였을 때 상부 커버의 일부 영역이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본체(2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커버(30)의 영역의 저면으로는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34)를 구비하도록 한다. 스토퍼(34)는 상부 커버(30)를 본체(20)에 장착한 상태에서 본체의 배면과 맞닿는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며, 접이식으로 출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걸림 돌기(32)를 걸림홈(26)에 장착한 후 스토퍼(34)를 하부로 펴줌으로써 걸림돌기와 스토퍼에 의해 상부 커버(30)가 본체(20)에 완전 고정하여, 상부 커버가 흔들려 걸림 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 커버(30)의 배면으로는 후방으로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36)를 구비하도록 한다.
배면 커버(40)는 복수의 연결 포트(22)가 배치되는 본체(20)의 일측면, 즉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 포트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는 구성부로서, 적어도 정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배면 커버(40)가 본체(20)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갖도록 한다. 배면 커버(40)는, 양측면의 내측으로 가이드 바(28)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단턱(42)을 구비하고, 평면의 단부로는 본체(20)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부 커버(30)의 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안착홈(44)을 구비한다. 또한, 안착홈(44)의 단부에는 상부 커버(30)의 결합 돌기(36)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결합홈(45)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체(20)의 평면에 상부 커버(30)를 장착한 후, 가이드 바(28)를 단턱(42)에 안착시킨 상태로 배면 커버(4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부 커버의 영역을 안착홈(44)에 안착시키면서 결합 돌기(36)를 결합 홈(45)에 결합시켜 배면 커버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면 커버(40)의 일측면으로는 본체(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배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발열구(46)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본체(20)의 연결 포트(22)에 연결된 주변장치의 케이블을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배면 커버(4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케이블 배출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10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모니터(10)와 본체(20)를 케이블(12)을 통해 통신 연결하고 본체의 연결 포트(22)에 주변장치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본체(20)의 평면에 상부 커버(30)를 배치한 후, 본체 평면의 걸림홈(26)에 상부 커버의 걸림 돌기(32)를 끼운다. 다음으로, 걸림 돌기(32)에 요홈부(33)가 형성된 방향(도 1 및 도 2에서 후방)으로 상부 커버(30)를 당기면, 걸림홈(26)의 주변부가 요홈부에 끼워지면서 상부 커버를 본체(20)에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토퍼(34)를 아래로 펴면 스토퍼가 본체(20)의 배면에 맞닿게 되므로, 걸림 돌기(32)와 스토퍼에 의해 상부 커버(30)가 본체에 고정된다. 즉, 스토퍼(34)가 본체(20)의 배면에 걸려 상부 커버(30)를 전방으로 움직일 수 없어 걸림홈(26)의 주변부가 요홈부(33)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므로 상부 커버(30)를 본체(20)에 완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배면 커버(40)의 단턱(42)에 본체(20) 배면의 가이드 바(28)를 안착시킨 상태로 배면 커버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부 커버(30)의 영역을 안착홈(44)에 안착하고 결합 돌기(36)를 결합홈(45)에 결합시킨다. 이때,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배면 커버(40)를 본체(2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부 커버(20)와 배면 커버(40)의 장착이 완료되면, 지지대(14)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모니터(1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를 분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배면 커버(40)를 후방으로 당겨 결합 돌기(36)와 결합홈(45)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단턱(42)으로부터 가이드 바(28)를 이탈시킨다. 이때, 배면 커버(40)가 별도의 체결 수단으로 본체(20)에 고정되는 경우 체결 수단의 체결을 해제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부 커버(30)의 스토퍼(34)를 위로 접은 후, 걸림 돌기(32)에 요홈부(33)가 형성된 반대 방향(도 1 및 도 2에서 전방)으로 상부 커버(30)를 밀어 걸림홈(26)의 주변부를 요홈부로부터 이탈시킨다. 다음으로, 걸림 돌기(32)를 걸림홈(26)으로부터 꺼내어 상부 커버(30)를 본체(20)와 분리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는 모니터를 본체에 고정한 상태로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본체의 각종 연결 포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 따른 포스 장치는,
첫째로, 모니터를 본체에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작업 중 모니터가 흔들리거나 움직여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로, 모니터와 본체를 힌지로 연결하고 모니터의 배면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를 구비하므로 판매자가 작업하기 편한 각도로 모니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셋째로,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본체의 연결 포트를 상부 커버와 배면 커버로 감싸주므로 케이블이나 연결 포트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구매자에게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계산 도중 구매자 또는 구매자가 휴대하는 상품 등으로 인해 케이블 및 연결 포트가 뽑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넷째로,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커버의 저면에 접이식으로 스토퍼를 구비하므로, 걸림 돌기와 스토퍼에 의해 상부 커버를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상부 커버의 흔들림으로 걸림홈의 주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부 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상부 커버와 배면 커버를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므로 조립 및 분해 공정이 간편하고 용이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의 가격계산 및 판매관리를 수행하는 포스 장치로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하고, 주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포트를 일측면에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와 케이블을 통해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데이터 및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적어도 상기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는 납작한 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본체의 평면에 착탈되어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본체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며 적어도 정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각 연결 포트가 포함되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착탈되어 상기 각 연결 포트를 커버하는 배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상기 모니터의 배면에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평면에 맞닿아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본체의 평면 중 상기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의 주변에, 횡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상하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가,
    상기 상부 커버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 걸림홈에 끼워지고, 일단부에 상기 각 걸림홈의 주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가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일정 영역이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상부 커버의 영역의 저면 중 상기 본체의 배면에 맞닿는 위치에 접이식으로 출몰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가,
    상기 상부 커버의 배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 커버가,
    상기 배면 커버의 정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상부 커버의 영역이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길쭉한 막대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 커버가,
    양측면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각 가이드 바가 각기 안착되는 하 나 이상의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 장치.
KR2020060009038U 2006-04-05 2006-04-05 포스 장치 KR200418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038U KR200418778Y1 (ko) 2006-04-05 2006-04-05 포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038U KR200418778Y1 (ko) 2006-04-05 2006-04-05 포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778Y1 true KR200418778Y1 (ko) 2006-06-13

Family

ID=4176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038U KR200418778Y1 (ko) 2006-04-05 2006-04-05 포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7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9499A1 (en) * 2021-10-20 2023-04-27 Apg Cash Drawer, Llc Cash drawer exoskelet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9499A1 (en) * 2021-10-20 2023-04-27 Apg Cash Drawer, Llc Cash drawer exoskelet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3250B1 (en) Checkout system convertible between assisted and non-assisted configurations
US6990463B2 (en) Self-checkout system
JP5811295B1 (ja) 精算処理ユニット集合体及び精算処理ユニット集合体用の架台
JP5328278B2 (ja) セルフposシステム
JP6826403B2 (ja) 販売データ処理装置
US8201726B2 (en) Point-of-sale printer system
CN102147946A (zh) 读取装置
US68575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an existing software application during operation of a convertible checkout terminal
KR200418778Y1 (ko) 포스 장치
US11069202B2 (en) Product registration device and POS apparatus
US10748388B2 (en)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JP6547538B2 (ja) 精算処理機集合体
JP2732499B2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
WO2023139899A1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7173625B2 (ja) 商品登録装置及びpos装置
KR102260040B1 (ko) 포스 장치
JP2009187274A (ja) Posレジスタ載置台
WO2022049985A1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7399728B2 (ja) 注文機
KR20170100742A (ko) 후면 커버의 교체가 용이한 포스 단말기
JP7108723B2 (ja) 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7387349B2 (ja) 袋収納装置及び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5301368A (ja) 商品販売登録装置
KR20040043597A (ko) 포스장치
JP2549502B2 (ja) 商品情報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