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597A - 포스장치 - Google Patents

포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597A
KR20040043597A KR1020020071944A KR20020071944A KR20040043597A KR 20040043597 A KR20040043597 A KR 20040043597A KR 1020020071944 A KR1020020071944 A KR 1020020071944A KR 20020071944 A KR20020071944 A KR 20020071944A KR 20040043597 A KR20040043597 A KR 2004004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onitor
coupling hole
screw groo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노형석
Original Assignee
(주)엔앤피테크놀로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앤피테크놀로지즈 filed Critical (주)엔앤피테크놀로지즈
Priority to KR1020020071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3597A/ko
Publication of KR2004004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18Constructional details, e.g. of drawer, printing means, input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매자가 구매한 각 상품의 가격계산 및 판매관리를 수행하는 포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술연산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시스템 본체; 시스템 본체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면 이상을 감싸며,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나사홈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결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 본체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모니터; 길쭉한 바(bar) 형상을 가지며,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 구비되고, 하부에는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 브라켓; 모니터의 배면에 소정크기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나사홈이 형성된 암 결합부;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암 결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1암;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제 1암 제 2단부의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2암; 및 각 나사홈과 각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피봇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스장치{POS APPARATUS}
본 발명은 포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포스장치 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모니터의 무게를 지지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기능의 사용을 위하여 모니터를 터치할 때 모니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모니터의 기울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포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스(Point Of Sale)장치는 판매와 관련된 데이터를 물품이 판매되는 그 시간과 장소에서 즉시 취득하는 시스템으로서, 상품에 붙어있는 바코드를 읽어들이는 시점에 가격 계산은 물론 재고량이 조정되고, 신용조회 등 판매와 관련되어 필요한 일련의 조치가 한번에 모두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포스장치는 입력장치로 바코드 스캐너, 키보드 또는 카드리더 등을 구비하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산술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말기 본체부와 단말기 본체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상품의 바코드가 스캐닝될 때마다 상품의 가격과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며, 단말기 본체부에 의해 계산된 전체 상품가격과 구매자가 지불한 지불금액 및 거스름돈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각 상품의 가격, 전체 상품가격, 지불금액 및 거스름돈 등을 구매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와 각 상품의 가격, 목록, 전체 상품가격, 지불금액 및 거스름돈 등 정보를 판매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 본체부의 상면 또는 테이블 상부에 고정 구비되며 모니터는 단말기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된다.
포스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상품 판매자는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각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하거나 입력장치를 통해 상품의 가격 및 명칭 등을 입력하면, 단말기 본체부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각 상품의 가격을 합산하여 전체 상품의 가격을 산출한다.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되거나 구매자가 입력한 상품의 가격 등은 모니터와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판매자는 구매자가 상품 구매대금의 결제를 위해 제공하는 현금의 금액을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거나 구매자가 제시하는 카드를 카드리더에 의해 판독시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지불된 금액에서 상품의 구매대금을 감산하여 거스름돈을 산출하고, 이는 모니터와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판매자는 디스플레이된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구매자에게 거스름돈을 지급함으로써 상품의 구매과정이 종료된다. 또한, 본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각 상품의 판매내역, 즉 각 상품명 및 분류와 판매금액 등을 중앙의 서버 또는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므로 매장 내의 상품에 대한 판매현황 및 판매실적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종래에는 모니터로 씨알티(CRT) 모니터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근래들어 여러가지 장점을 고려하여 엘씨디(LCD) 모니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 기능이 부가된 모니터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의 엘씨디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경우 모니터 자체의 무게가 무거움에도 대부분 본체부에 고정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모니터 자체의 지지대가 빈약하여, 특히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경우 상품 판매자가 모니터를 터치시에 모니터가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매우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니터 지지대는 각도 조절부가 미약하여 상품 판매자의 편의에 따라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니터를 본체부에 고정하는 경우 운반시 부피가 커짐으로 인해 불편함이 있었고,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모니터를 단말기 본체부로부터 해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씨디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단말기 본체부의 상면에 고정 지지하여 모니터의 사용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판매자의 가시각도를 고려하여 모니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포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니터와 본체부의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모니터를 본체부의 상면에 고정하여 사용자의 모니터 터치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결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브라켓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암과 제 2암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암과 제 2암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체부 11 : 시스템 본체
12 : 케이스 13 : 어댑터
14 : 후면 케이스 20 : 모니터
21 : 모니터 플레이트 22, 23 : 모니터 브라켓
24 : 제 1암 25 : 제 2암
26 : 피봇 30 :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
31 : 프런트 커버 32 : 리어 커버
33 : 윈도우 디스플레이 40 : 카드리더
41 : 카드리더 브라켓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는, 구매자가 구매한 각 상품의 가격계산 및 판매관리를 수행하는 포스장치에 있어서, 산술연산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시스템 본체; 시스템 본체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면 이상을 감싸며,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나사홈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결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시스템 본체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모니터; 길쭉한 바(bar) 형상을 가지며,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 구비되고, 하부에는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 브라켓; 모니터의 배면에 소정크기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나사홈이 형성된 암 결합부;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암 결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1암;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제 1암 제 2단부의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2암; 및 결착부의 나사홈과 모니터 브라켓의 결합구멍, 암 결합부의 나사홈과 제 1암의 제 1단부의 결합구멍, 제 1암의 제 2단부의 결합구멍과 제 2암의 제 1단부의 결합구멍 및 결착부의 나사홈과 제 2암의 제 2단부의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피봇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본체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케이스의 상면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소정의 카드의 마그네틱 코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 및 카드리더의 배면에 정면이 고정되고, 일측면으로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카드리더 브라켓을 더 구비하도록 하고,
결착부와 모니터 브라켓 및 제 1 암과 제 2 암이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 사이에 삽입되는 와셔와,
암 결합부와 제 1암 및 결착부와 제 2암이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 와셔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제 1암 제 2단부의 정면으로, 전방을 향해 소정크기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 2암 제 1단부의 정면으로, 횡방향으로 소정크기 돌출되어 돌출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결합체는, 산술연산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시스템 본체에 시스템 본체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결착시키는 연결결합체에 있어서, 시스템 본체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면 이상을 감싸며,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나사홈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결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길쭉한 바(bar) 형상을 가지며,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 구비되고, 하부에는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 브라켓; 모니터의 배면에 소정크기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나사홈이 형성된 암 결합부;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암 결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1암;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제 1암 제 2단부의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2암; 및 결착부의 나사홈과 모니터 브라켓의 결합구멍, 암 결합부의 나사홈과 제 1암의 제 1단부의 결합구멍, 제 1암의 제 2단부의 결합구멍과 제 2암의 제 1단부의 결합구멍 및 결착부의 나사홈과 제 2암의 제 2단부의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피봇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의 외관 사시도로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도 1b는 배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는 각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미도시)에 의해 스캐닝하고,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데이터와 판매자가 입력장치(미도시)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상품의 가격계산 및 판매관리를 수행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본체부(10),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각 상품의 목록 및 가격과, 본체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및 판매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0),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스캐닝된 각 상품의 가격, 계산된 전체가격, 구매자의 지불금액 및 거스름돈의 액수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30) 및 구매자가 상품의 구매대금 결제를 위해 제시하는 카드의 마그네틱 코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20)는 일반의 엘씨디(LCD)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부가된 모니터(이하 '터치스크린 모니터'라 한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배면으로는 모니터를 본체부(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각 수단으로서 모니터 플레이트(21), 모니터 브라켓(22, 23), 제 1암 (24) 및 제 2암(25)을 구비한다.
모니터(20)의 배면으로는 패널 모양의 모니터 플레이트(21)가 고정 장착되며 모니터 플레이트의 배면 소정 위치에 모니터 브라켓(22, 23)과 제 1암(24)이 고정 또는 결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암은 모니터 플레이트의 가로축 중심선 상에 결착시키고 모니터 브라켓은 모니터 플레이트의 양측단으로부터 인접한 위치에 고정하도록 한다. 각 모니터 브라켓은 상호 대칭의 모양을 가지며 하부가 본체부 (10)에 결착되고, 제 1암은 제 2단부로, 본체부에 결착된 제 2암이 결착된다. 따라서, 모니터는 모니터 플레이트, 모니터 브라켓, 제 1암 및 제 2암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된다.
또한, 모니터(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각 수단이 상호 결착된 위치를 축으로 하여 일정부분 회전할 수 있어야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모니터 플레이트 (21)와 제 1암(24)의 결착위치, 각 모니터 브라켓(22, 23)과 본체부(10)의 결착위치, 제 1암과 제 2암(25)의 결착위치 및 제 2암과 본체부의 결착위치를 축으로 하여 각 수단이 회전가능하여야 한다. 즉, 각 결착위치가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각 결착위치에서 각 수단은 모니터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결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각 수단의 측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위치로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는 나사 또는 피봇 등의 결착수단이 모니터에 수직방향이 아닌 평행방향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즉, 상기 결착수단이 회전의 중심축을 형성하게 되며, 또한 모니터 브라켓(22, 23)과 본체부(10)의 결착위치, 제 1암(24)과 제 2암(25)의 결착위치에 각각 피봇과 와셔를 함께 결착시켜 모니터의 각도유지와 함께 모니터의 하중을 지지하여 터치스크린 기능 사용시 모니터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수단 중 제 1암 및 제 2암을 제외한 각 수단은 결착위치에 소정크기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돌출부의 측면과 다른 수단의 측면을 접촉 및 결착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니터 플레이트의 제 1암과 결착되는 위치, 모니터 브라켓의 본체부와 결착되는 위치와, 본체부 상면의 모니터 브라켓 및 제 2암과 결착되는 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의 측면에 제 1암의 측면을 접촉 및 결착시키고, 각 모니터 브라켓의 돌출부의 측면과 본체부 상면의 각 돌출부의 측면을 접촉 및 결착시키며, 본체부 상면 돌출부의 측면과 제 2암의 측면을 접촉 및 결착시킨다. 제 1암과 제 2암은 돌출부가 필요없으므로 각각의 측면을 접촉 및 결착시킨다. 또한, 각 수단의 결착수단으로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회전의 중심축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피봇(26)을 사용하도록 하며 각 수단의 접촉위치 사이에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와셔 또는 스프링 와셔를 삽입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수단의 결착부분은 피봇에 의해 관절형태의 힌지, 즉 경첩을 형성하여 모니터를 판매자가 원하는대로 용이하게 각도조절할 수 있으며 모니터로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판매자가 모니터를 터치할 때 모니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암과 제 2 암 사이 및 모니터 브라켓의 돌출부와 케이스의 돌출부 사이에는 피봇과 와셔를 삽입한 뒤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리벳을 형성함으로써 회전축을 형성함과 동시에 모니터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와 제 1 암 사이 및 제 2 암과 케이스의 돌출부 사이에는 피봇과 스프링 와셔를 삽입하여 중심축을 형성하고 스프링 와셔를 통해 피봇의 나사풀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와 제 1 암 사이 및 제 2 암과 케이스의 돌출부 사이에도 피봇과 와셔를 삽입한 뒤 리벳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제조 및 조립공정이 어려워지므로 공정의 편의를 위해 스프링 와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니터(20)의 측면으로는 구매자가 제시하는 카드의 마그네틱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리더(40)가 구비되는데, 카드리더는 카드리더 브라켓(41)에 의해 모니터 플레이트(21)에 고정된다. 즉, 카드리더의 배면에 카드리더 브라켓을 고정하고 카드리더 브라켓을 모니터 플레이트에 고정 장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의 모니터(20)를 약간의 각도를 주어 젖힌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의 모니터(20)를 완전히 젖혀서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는 본체부(10)에 고정된 모니터(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판매자가 용이하게 모니터를 볼 수 있도록 모니터를 일정각도 젖힐 수 있으며, 포스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나 운반시에는 모니터를 완전히 접어서 포스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모니터를 접을 때에는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30)를 본체부(1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매자가 모니터(20)의 각도를 조절할 때, 제 1암(24)의 제 1단부는 모니터 플레이트(21)의 암 결합부와의 결착위치에 삽입된 피봇(26)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제 1암의 제 2단부는 제 2암(25)의 상부와의 결착위치에 삽입된 피봇을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한, 제 2암의 제 2단부는 본체부(10) 상면 돌출부의 결착위치에 삽입된 피봇을 축으로 회전하며, 각 모니터 브라켓(22, 23)은 하부의 돌출부와 본체부 상면 각 돌출부의 결착위치에 삽입된 피봇을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모니터를 일정각도로 젖히거나 세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스장치의 각 구성부분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는, 내부 구성요소가 장착되는 시스템 본체(11), 시스템 본체의 외부로 덧씌워지고 상면으로 모니터(20)를 지지 고정하는 케이스(12),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본체부의 각 내부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 (13) 및 케이스(12)와 결합하여 본체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케이스(14)로 이루어진다. 시스템 본체(11)에 장착되는 내부 구성요소로는,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되어 입력되는 상품의 바코드에 기록된 상품명 및 가격 데이터와 판매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품의 가격계산 및 판매내역 처리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입력된 각 데이터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바코드 스캐너 및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데이터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처리결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그래픽카드 및 본체부의 기본적인 운영을 위한 회로가 형성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및 그래픽 카드 등이 탑재되는 메인보드 등이 해당되며, 이는 개인용 컴퓨터 등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20)는 본체부(10)의 그래픽카드로부터 출력되는 바코드 스캐너 및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데이터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의 처리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모니터(20)의 배면으로는 모니터 플레이트(21)가 고정 장착되는데, 이는 모니터 배면에 모니터 플레이트를 배치한 뒤 모니터 배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홈 (20a)과 모니터 플레이트의 복수의 제 1나사홈(21a)이 각각 형성하는 구멍으로 별도의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모니터 플레이트의 제 1나사홈은 모니터 배면에 형성되는 각 나사홈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모니터 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모니터 플레이트(21)의 배면으로는 모니터(20)의 각도 조절을 지원하기 위한 모니터 브라켓(22, 23)과 제 1암(24)이 고정 또는 결착되는데, 모니터 브라켓(22, 23)은 케이스(12)에 결착되고 제 1암(24)은 케이스(12)에 결착된 제 2암(25)에 결착된다. 제 1암은 모니터 플레이트의 가로방향의 중심선상에 결착시키도록 하며, 모니터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모니터의 하중 및 판매자가 모니터의 스크린 터치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중심선상의 상부에 결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니터 브라켓은 제 1암의 결착위치로부터 양측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고정하도록 하며, 모니터 플레이트의 양측단과 인접한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니터 브라켓은 상호 대칭된 모양을 가진다. 또한, 도 3에는 모니터 브라켓이 2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모니터 브라켓을 하나 또는 3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모니터 플레이트(21)의 양 측단으로는 모니터 브라켓(22, 23)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 2나사홈(21b)이 형성되며, 모니터 브라켓에도 모니터 플레이트의 각 제 2나사홈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 1나사홈(22a, 23a)이 모니터 브라켓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모니터 플레이트의 제 2나사홈 (21b)과 모니터 브라켓의 제 1나사홈(22a, 23a)기 일치하도록 모니터 브라켓을 배치한 뒤 양 나사홈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별도의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모니터 플레이트에 모니터 브라켓을 고정한다.
또한, 모니터 브라켓(22, 23)은 케이스(12)의 상면 소정위치에 각각 결착되는데, 모니터의 각도조절을 지원하고 모니터의 하중과 터치스크린 기능 사용시 판매자의 터치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모니터 브라켓은 케이스에 결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모니터 브라켓의 하부와 케이스 상면의 소정위치에 각각 소정크기로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착수단인 피봇(26)과 와셔가 모니터와 평행한 좌우방향으로 삽입되어 화전축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는, 모니터 브라켓의 하부로는 모니터 브라켓의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2b, 23b)가 구비되고, 케이스의 상면으로는 케이스의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a, 12b)가 모니터 브라켓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각 모니터 브라켓의 돌출부(22b, 23b)의 측면으로는 각 돌출부(22b, 23b)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나사홈이 각각 형성되며, 케이스의 각 돌출부(12a, 12b)의 측면으로도 각 돌출부(12a, 12b)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 모니터 브라켓(22, 23)의 돌출부(22b, 23b)의 측면과 케이스(12)의 각 돌출부(12a, 12b)의 측면을 상호 접촉시키고 각 모니터 브라켓의 돌출부 측면에 형성된 제 2나사홈과 케이스의 각 돌출부 측면에 형성된 나사홈이 상호 관통되도록 조절한 뒤 각 나사홈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으로 피봇(26)을 삽입하여 결착시켜 힌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모니터 브라켓의 돌출부와 케이스의 각 돌출부가 접촉하는 접촉부위에 마찰을 줄이도록 와셔를 삽입한다.
모니터 플레이트(21)에 제 1암(24)을 결착함에 있어서, 제 1암은 모니터의각도유지를 위한 지지대 역할 뿐만 아니라 모니터의 각도조절을 위하여 모니터 플레이트에 결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야 하므로, 모니터 플레이트에 소정크기로 돌출된 암 결합부(21c)를 구비하도록 한다.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21c)의 측면으로는 상기 암 결합부(21c)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3나사홈이 형성되며, 제 1암의 측면 중 상면 또는 상단에 인접한 위치(이하 '측면 제 1단부'라 한다.)에도 모니터 플레이트에 결착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 제 1단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나사홈(24b)이 형성된다. 따라서,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21c) 측면과 제 1암의 측면 제 1단부를 접촉시키고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21c)에 형성된 제 3나사홈과 제 1암의 측면 제 1단부에 형성된 제 2나사홈(24b)이 상호 관통되도록 조절한 뒤 양 나사홈에 의해 형성된 구멍으로 피봇(26)을 삽입하여 결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21c)의 측면과 제 1암 측면 제 1단부의 접촉부위에 마찰과 반복작동에 의한 나사풀림을 방지하도록 스프링 와셔를 삽입한다.
제 1암(24)의 측면 중 저면 또는 하단에 인접한 위치(이하 '측면 제 2단부'라 한다.)로는, 케이스(12)의 상면에 결착되는 제 2암(25)이 결착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 1암의 측면 제 2단부로 상기 측면 제 2단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나사홈을 형성하며 제 2암의 측면 제 1단부에도 상기 측면 제 1단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나사홈(25a)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1암의 측면 제 2단부와 제 2암의 측면 제 1단부를 접촉시키고 제 1암 측면 제 2단부의 제 1나사홈과 제 2암의 측면 제 1단부의 제 1나사홈(25a)이 상호 관통되도록 위치를 조절한 뒤 양 나사홈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피봇을 삽입하여 힌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암의 측면 제 2단부와 제 2암의 측면 제 1단부가 접촉하는 부위에 마찰을 줄이도록 와셔를 삽입하고 리벳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제 2암(25)의 측면 제 2단부는 케이스(12) 상면 소정위치에 결착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 2암의 측면 제 2단부에 상기 측면 제 2단부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나사홈(25b)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소정위치에 상방으로 소정크기로 돌출된 돌출부(12c)를 구비하고 돌출부(12c)의 측면으로 상기 돌출부(12c)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2암의 측면 제 2단부와 케이스 상면의 돌출부(12c)의 측면을 접촉시키고 제 2암 측면 제 2단부의 제 2나사홈(25b)과 케이스 상면 돌출부(12c)의 나사홈이 상호 관통되도록 위치를 조절한 뒤 양 나사홈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피봇(26)을 삽입하여 결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암의 측면 제 2단부와 케이스의 돌출부(12c)의 측면이 접촉하는 부위에는 반복작동으로 인한 나사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와셔를 삽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되는 상품의 바코드에 기록된 상품가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산출된 상품의 전체가격, 구매자가 지불한 금액 및 거스름돈의 액수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는 본체부(10)의 그래픽카드로부터 전송되거나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본체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장치로부터 전송된다.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 상면의 소정위치에 고정 구비되며, 그래픽카드 또는 상기 별도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 디스플레이(33),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프런트 커버(31) 및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후면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리어커버(3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리더(40)는 선택적인 구성요소로서, 구매자가 물품 구매대금의 결제를 위하여 카드를 제시한 경우에 카드의 마그네틱 코드를 판독한다. 이 경우, 카드리더를 통해 판독된 데이터는 본체부(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달 처리되며, 본체부의 시스템 본체(11) 내에 별도로 장착되는 통신수단을 통해 금융기관으로 전송되어 대금의 결제를 수행하게 된다. 카드리더는 포스장치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판매자의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모니터(20)의 측면에 고정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리더(40)를 모니터(20)의 측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카드리더 브라켓(41)을 구비하는데, 카드리더 브라켓은 정면이 카드리더(40)에 고정되고 측면부가 모니터 플레이트(21)에 고정된다.
카드리더 브라켓(41)을 카드리더(40)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카드리더의 배면 소정위치에는 복수의 나사홈이 형성되며, 카드리더 브라켓(41)에는 카드리더 배면의 각 나사홈의 위치와 일치되는 위치에 카드리더 브라켓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 1나사홈(4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카드리더 배면에 형성된 각 나사홈과 카드리더 브라켓의 제 1나사홈(41a)이 상호 관통되도록 위치를 조절한 뒤 양 나사홈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으로 별도의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또한, 카드리더 브라켓을 모니터 플레이트(21)에 고정하기 위하여, 카드리더 브라켓의 측면으로 소정크기 돌출된 돌출부(41b)를 구비한다. 돌출부(41b)에는 상기 돌출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나사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를 2개 이상 구비한다. 또한, 모니터 플레이트(21)는 일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카드리더 브라켓의 돌출부(41b)가 삽입되도록 삽입공(21d)을 형성하고, 삽입공과 인접한 위치에 제 4나사홈(21e)을 구비한다. 따라서, 카드리더 브라켓의 돌출부(41b)를 모니터 플레이트의 삽입공에 삽입하고 돌출부(41b)의 제 2나사홈과 모니터 플레이트의 제 4나사홈(21e)이 상호 관통되도록 위치를 조절한 뒤 양 나사홈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별도의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모니터 브라켓(22, 23)은 모니터 플레이트(21)의 배면으로 두개가 구비되는데, 양자는 상호 대칭의 모양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브라켓을 배면에서 바라봤을 때 모니터 플레이트(21)의 우측에 고정되는 모니터 브라켓(23)으로서, 좌측에 고정되는 모니터 브라켓(22)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브라켓(23)은 배면과 정면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 1나사홈(23a)을 구비하고, 하부에 후방을 향해 소정크기로 돌출된 돌출부(23b)를 구비한다. 돌출부(23b)에는 양측면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나사홈이 형성된다. 제 1나사홈(23a)으로는 모니터 브라켓(23)을 모니터 플레이트(21)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고, 돌출부(23b)의 제 2나사홈으로는 모니터 브라켓을 케이스(12)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돌출부(12b)에 결착하기 위한 피봇(26)이 삽입된다. 모니터 브라켓을 케이스에 결착한 상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5a는 모니터 브라켓(22, 23)이 케이스(12)에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b는 배면도, 도 5c는 좌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모니터 브라켓(22, 23)은 케이스(12)의 상면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각 돌출부 (12a, 12b)에 결착된다. 케이스의 각 돌출부는 케이스 상면 중 정면에 인접하고 양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각 돌출부(12a, 12b)에 결착되는 모니터 브라켓의 정면으로 모니터 플레이트(21)와 모니터(20)가 구비되므로, 각 돌출부(12a, 12b)를 케이스의 정면으로부터 너무 멀리 배치하면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는데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돌출부(12a, 12b)는 케이스의 정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한다.
각 모니터 브라켓(22, 23)을 케이스(12)에 결착함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모니터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각 돌출부(22b, 23b)와 케이스의 각 돌출부 (12a, 12b)를 상호 접촉시킨 뒤 각각 접촉된 돌출부에 형성된 제 1나사홈과 나사홈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피봇(26)을 삽입하여 결착한다. 따라서, 각 모니터 브라켓을 케이스에 결착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케이스 우측의 돌출부(12a)에는 우측의 모니터 브라켓(22)의 돌출부(22b)가 결착되고, 케이스 좌측의 돌출부(12b)에는 좌측의 모니터 브라켓(23)의 돌출부(23b)가 결착된다.
또한, 케이스(12)의 각 돌출부(12a, 12b)와 각 모니터 브라켓(22, 23)의 돌출부(22b, 23b)가 접촉하는 접촉면 사이에는 와셔(26a)를 삽입하고 리벳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돌출부 사이의 마찰 등을 줄여 모니터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모니터와 모니터 브라켓의 무게를 지지하여 상품 판매자가 원하는 모니터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암과 제 2암의 사시도로서, 도 6a는 제 1암을 도시하고 도 6b는 제 2암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암 (24)의 측면 제 2단부와 제 2암(25)의 측면 제 1단부에는 제 1암과 제 2암의 결착을 위한 피봇(26)이 삽입되는 제 1나사홈(24a)이 형성되고, 제 1암의 측면 제 1단부에는 모니터 플레이트(21)의 암 결합부(21c)와 결착하기 위한 피봇이 삽입되는 제 2나사홈(24b)이, 제 2암의 측면 제 2단부에는 케이스(12)의 돌출부(12c)와 결착하기 위한 피봇이 삽입되는 제 2나사홈(25b)이 형성된다. 각 나사홈은 각 암의 양 측면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 1암의 제 2단부에는 정면을 향해 소정크기로 돌출형성된 돌출부 (24c)가 구비되고, 제 2암의 상부로는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소정크기로 돌출형성된 걸림부(25c)가 구비되는데, 이는 제 1암과 제 2암이 결착되었을 때 제 1암의 돌출부(24c)가 제 2암의 걸림부(25c)에 걸림으로써 일정각도 이상 꺾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 1암과 제 2암이 형성하는 각도가 최대 170°이상 되지 않도록 하여 모니터(20)와 본체부(10)의 각도가 75°를 넘지 않도록 한다. 제 1암과 제 2암의 결착상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암과 제 2암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7a는 제 1암(24)과 제 2암(25)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b는 배면도, 도 7c는 좌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암과 제 2암을 결착하기 위하여, 제 1암의 측면 제 2단부와 제 2암의 측면 제 1단부를 접촉시키고 제 1암의 제 1나사홈(24a)와 제 2암의 제 1나사홈(25a)이 상호 관통되도록 위치를 조절한 뒤 양 나사홈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피봇(26)을 삽입하여 힌지를 구성한다. 이때, 제 1암의 돌출부(24c)는 제 2암의 걸림부(25c)의 위에 오도록 한다. 또한, 제 1암의 측면 제 2단부와 제 2암의 측면 제 1단부가 접촉하는 양 접촉면 사이에 와셔(26a)를 삽입하도록 한다. 따라서, 양 접촉면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제 1암(24)은 모니터 플레이트(21)의 암 결합부(21c)에 결착되고, 제 2암은 케이스(12)의 돌출부(12c)에 결착된다. 제 1암을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 (21c)에 결착시키기 위하여, 제 1암의 측면 제 1단부와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의 측면을 상호 접촉시키고 제 1암의 제 2나사홈(24b)의 모니터 플레이트의 암 결합부(21c)에 형성되는 제 3나사홈을 맞춘 뒤 양 나사홈으로 피봇(26)을 삽입하여 결착한다. 이때, 제 1암의 측면 제 1단부와 암 결합부(21c)의 측면이 상호 접촉하는 양 접촉면 사이에 스프링 와셔를 삽입하여 반복작동에 따른 피봇의 나사풀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 2암(25)을 케이스(12)의 돌출부(12c)에 결착하기 위하여, 제 2암의 측면 제 2단부와 돌출부(12c)의 측면을 상호 접촉시키고 제 2암의 제 2나사홈(25b)과 돌출부(12c)에 형성되는 나사홈을 맞춘 뒤 양 나사홈으로 피봇(26)을 삽입하여 결착한다. 이때, 제 2암의 측면 제 2단부와 돌출부(12c)의 측면이 상호 접촉하는 양 접촉면 사이에 스프링 와셔를 삽입하여 반복작동에 따른 피봇의 나사풀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은 모니터를 본체부에 고정하여 지지하고 판매자가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보기 편한 각도로 모니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조작시 판매자의 터치로 인해 모니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니터를 완전히 젖혀서 본체부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포스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운반시에 부피를 줄여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구매자가 구매한 각 상품의 가격계산 및 판매관리를 수행하는 포스장치에 있어서,
    산술연산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시스템 본체;
    상기 시스템 본체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면 이상을 감싸며,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나사홈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결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모니터;
    길쭉한 바(bar)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 브라켓;
    상기 모니터의 배면에 소정크기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나사홈이 형성된 암 결합부;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상기 암 결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1암;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상기 제 1암 제 2단부의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상기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2암; 및
    상기 결착부의 나사홈과 상기 모니터 브라켓의 결합구멍, 상기 암 결합부의 나사홈과 상기 제 1암의 제 1단부의 결합구멍, 상기 제 1암의 제 2단부의 결합구멍과 상기 제 2암의 제 1단부의 결합구멍 및 상기 결착부의 나사홈과 상기 제 2암의 제 2단부의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피봇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장치가,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구매자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장치가,
    소정의 카드의 마그네틱 코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 및
    상기 카드리더의 배면에 정면이 고정되고, 일측면으로 상기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카드리더 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장치가,
    상기 결착부와 상기 모니터 브라켓 및 상기 제 1 암과 상기 제 2 암이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 사이에 삽입되는 와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장치가,
    상기 암 결합부와 상기 제 1암 및 상기 결착부와 상기 제 2암이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 와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암 제 2단부의 정면으로,
    전방을 향해 소정크기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암 제 1단부의 정면으로,
    횡방향으로 소정크기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장치.
  7. 산술연산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시스템 본체에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결착시키는 연결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면 이상을 감싸며,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나사홈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결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길쭉한 바(bar)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 브라켓;
    상기 모니터의 배면에 소정크기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나사홈이 형성된 암 결합부;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상기 암 결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1암;
    길쭉한 바 형상을 가지며, 제 1단부에는 상기 제 1암 제 2단부의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제 2단부에는 상기 결착부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는 제 2암; 및
    상기 결착부의 나사홈과 상기 모니터 브라켓의 결합구멍, 상기 암 결합부의 나사홈과 상기 제 1암의 제 1단부의 결합구멍, 상기 제 1암의 제 2단부의 결합구멍과 상기 제 2암의 제 1단부의 결합구멍 및 상기 결착부의 나사홈과 상기 제 2암의 제 2단부의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피봇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결합체.
KR1020020071944A 2002-11-19 2002-11-19 포스장치 KR20040043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44A KR20040043597A (ko) 2002-11-19 2002-11-19 포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44A KR20040043597A (ko) 2002-11-19 2002-11-19 포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597A true KR20040043597A (ko) 2004-05-24

Family

ID=3734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944A KR20040043597A (ko) 2002-11-19 2002-11-19 포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35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08Y1 (ko) * 2012-09-11 2014-10-15 하나시스 주식회사 포스 장치
KR20180013145A (ko) * 2016-07-28 2018-02-07 주식회사 포스뱅크 포스 장치의 카드 리더 양방향 장착구조
WO2018101641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포스뱅크 포스 장치
CN110174606A (zh) * 2018-05-30 2019-08-2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机箱背板连接器与功能模块测试工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8870A (ja) * 1990-12-19 1992-08-10 Hitachi Ltd 文書編集装置
JPH10214034A (ja) * 1997-01-29 1998-08-11 Canon Inc 卓上型表示装置
US5812368A (en) * 1997-06-04 1998-09-22 Kuo Feng Corporation Monitor viewing angle adjusting assembly having monitor mounted on two supporting arm assemblies via turning limit assemblies
KR20000009191U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전자 상거래를 위한 카드리더가 부착된 모니터
KR200290788Y1 (ko) * 2002-06-27 2002-10-04 태우정밀 주식회사 모니터용 스탠드
KR20040025314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설치장치용 지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8870A (ja) * 1990-12-19 1992-08-10 Hitachi Ltd 文書編集装置
JPH10214034A (ja) * 1997-01-29 1998-08-11 Canon Inc 卓上型表示装置
US5812368A (en) * 1997-06-04 1998-09-22 Kuo Feng Corporation Monitor viewing angle adjusting assembly having monitor mounted on two supporting arm assemblies via turning limit assemblies
KR20000009191U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전자 상거래를 위한 카드리더가 부착된 모니터
KR200290788Y1 (ko) * 2002-06-27 2002-10-04 태우정밀 주식회사 모니터용 스탠드
KR20040025314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설치장치용 지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08Y1 (ko) * 2012-09-11 2014-10-15 하나시스 주식회사 포스 장치
KR20180013145A (ko) * 2016-07-28 2018-02-07 주식회사 포스뱅크 포스 장치의 카드 리더 양방향 장착구조
WO2018101641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포스뱅크 포스 장치
US10521621B2 (en) 2016-11-30 2019-12-31 Posbank Co., Ltd POS device
CN110174606A (zh) * 2018-05-30 2019-08-2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机箱背板连接器与功能模块测试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8482B2 (en) Point of sale (PO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barcode scanner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device or stand alone mobile tablet device
JP4070170B2 (ja) 単一機能用基礎アッセンブリと複数機能用基礎アッセンブリを具備するリテール・ターミナルとその運用方法
US6644547B1 (en) Customer workstation intelligently connectable to a legacy retail system and providing supplemental functionality thereto
US8949144B2 (en) POS terminal and PO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US20050263590A1 (en) Point of sale terminal having integrated customer and operator interfaces
JP2000036075A (ja) 設置台に表示モニタを位置付けするための傾斜機構を具備するリテ―ル・タ―ミナル
GB2505867A (en) Modular point-of-sale terminal
CN102194094A (zh) 读取装置及商品销售数据处理装置
JP5681126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40043597A (ko) 포스장치
KR20150014594A (ko)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포스단말기 및 그 시스템
US20030067416A1 (en) Computer having plural monitors
JP7010533B2 (ja) 商品登録装置及びpos装置
JP2004318445A (ja) ショーケース、商品購入注文受付方法及び商品広告システム
JP2003527705A (ja) 複数モニタ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
CA3052000A1 (en) Point of sale (po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barcode scanner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device or stand alone mobile tablet device
US20040143936A1 (en) Hinge structure for sales systems
JP7399728B2 (ja) 注文機
GB2511328A (en) A Retail Transaction System
US20020040329A1 (en) Data presentation for electronic purchasing system
TW202027588A (zh) 鉸鏈
JP2021018687A (ja) Pos端末装置
US201801018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opping Online
KR20190002744U (ko) 포스장치
TW202004625A (zh) 輸入板部可傾斜與旋轉之銷售時點情報系統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