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671Y1 - 인쇄용지 - Google Patents

인쇄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671Y1
KR200418671Y1 KR2020060007082U KR20060007082U KR200418671Y1 KR 200418671 Y1 KR200418671 Y1 KR 200418671Y1 KR 2020060007082 U KR2020060007082 U KR 2020060007082U KR 20060007082 U KR20060007082 U KR 20060007082U KR 200418671 Y1 KR200418671 Y1 KR 200418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per
printed
film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광
Original Assignee
(주)하은페이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은페이퍼텍 filed Critical (주)하은페이퍼텍
Priority to KR2020060007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6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54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film forming compositions cured by thermal means, e.g. infrared radiation, he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용지에 필름이 부착되어 인쇄되는 인쇄용지에 관한 것으로, 인쇄물이 인쇄되는 인쇄부를 저면에 구비하여 외측으로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투명형태로 형성된 필름부를 형성하고, 인쇄부의 하측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을 형성하며, 인쇄부가 형성된 필름부의 접착측으로 형성된 접착층에 용지부가 접착되도록 형성하여 일체로 합지시켜 열풍건조하여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습 방오용으로 외측에 형성된 필름부에 인쇄부를 직접 형성하고 접착제로 용지부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습기와 인장력이 강한 필름부에 인쇄부를 형성하여 인쇄부의 파손과 오손을 최소화하고 필름부에 인쇄되어 외부에서 인쇄부가 선명하게 표시되어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필름부, 인쇄부, 접착층, 용지부

Description

인쇄용지 {printed pap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쇄용지 110 : 필름부
120 : 인쇄부 130 : 접착층
140 : 용지부
본 고안은 인쇄용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습 방오용 필름에 인쇄부를 형성하고, 인쇄부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열풍으로 표면건조한 상태에서 용지를 합지하여 압착한 후에 일정한 시간과 온도로 경화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투명형 태의 필름부에 직접 인쇄하여 인쇄면이 선명하고 필름부를 강도가 뛰어나고 방습효과를 향상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또는 오리엔티드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 OPP) 재질로 형성하여 인쇄부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인쇄용지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포장지나 각종 전단물 등에 각종 이미지나 문자가 인쇄된 인쇄물에 외부 오염물이나 습기로부터 오염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에 코팅재를 이용한 코팅된 인쇄용지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인쇄용지는 인쇄물이 인쇄된 종이의 인쇄면을 보호하면서 인쇄용지의 강도를 향상시켜 잘 찢어지지 않고 구겨지지 않게 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종이에 가장 나쁜 영향을 주는 습기의 흡수를 차단하여 인쇄용지의 수명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인쇄물의 표면을 가공하는 라미네이팅(laminating)은 인쇄물이나 포장용지 등의 표면가공에서 같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종이, 필름, 금속박 등을 한데 붙이는 것 또는 표면에 플라스틱 필름을 붙이는 것 라미네이트 가공이라고도 하며 이처럼 가공한 종이를 라미네이트지라고 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에 코팅부를 형성하여 인쇄물의 수명을 증대시키도록 라이네팅 가공하는 종래기술의 인쇄용지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되는 형태에 따라 인쇄할 인쇄내용을 종이형태의 용지부(13)에 인쇄하는 인쇄부(12)를 형성하고, 인쇄부(12)의 상부에 라미네이트 가공으로 코팅부(11)를 형성하여 인쇄용지(10)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기술의 인쇄용지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용지부(13)에 사용자가 사용할 인쇄내용을 용지부에 인쇄하여 인쇄부(12)를 형성하고, 인쇄부(12)가 형성된 용지를 라미네이트 가공 기계에 삽입 시켜 일정한 온도의 열로 코팅재를 가열시켜 인쇄된 용지부(13)의 외부로 코팅부(11)를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기술의 인쇄용지는 종이재질로 형성된 용지부에 인쇄부를 형성한 상태로 가열된 코팅부를 외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라미네이트 가공기에서 고온으로 코팅부를 형성하여 용지부에 인쇄된 인쇄잉크에 직접적으로 열이 접촉하면서 코팅됨에 따라 고온으로 인쇄부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인쇄용지는 종이재질의 용지부에 바로 인쇄를 하여 인쇄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습기와 인장강도가 약한 재질을 종이에 인쇄부를 형성하여 가공 대기중이나 가공 중에 습기에 접촉되거나 외력에 의해 손상되면 인쇄된 종이부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인쇄용지는 코팅부분과 인쇄부가 분리되어 인쇄된 외측에 코팅부가 형성됨으로써, 용지부의 표면에 인쇄부에 코팅재로 코팅작업을 실시하는 코팅작업 도중에 오염물이 혼입되어 인쇄용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인쇄용지는 인쇄된 용지부의 외측으로 코팅재를 고온으로 코팅하여 코팅부를 형성함으로써, 표면에 코팅부를 통하여 내부에 인쇄부가 형성된 용지부가 코팅부를 통하여 외부에 표시되는 것으로, 코팅재의 투명도에 따라 용지부에 인쇄된 인쇄물의 식별이 가능함에 따라 코팅재의 투명도가 낮으면 용지의 인 쇄면의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인쇄용지는 용지부에 인쇄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고온으로 코팅부를 외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용지가 고온에 접촉되면서 말림현상이 발생하여 인쇄용지의 편평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말림현상으로 외형의 변형된 인쇄용지를 다시 펴는 이차가공을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생산비가 증대되고 공정이 확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방습 방오용으로 외측에 형성된 필름부에 인쇄부를 직접 형성하고 접착제로 용지부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습기와 인장력이 강한 필름부에 인쇄부를 형성하여 인쇄부의 파손과 오손을 최소화하고 필름부에 인쇄되어 외부에서 인쇄부가 선명하게 표시되어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인쇄용지는 인쇄물이 인쇄되는 인쇄부를 저면에 구비하여 외측으로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투명형태로 형성된 필름부를 형성하고, 인쇄부의 하측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을 형성하며, 인쇄부가 형성된 필름부의 접착측으로 형성된 접착층에 용지부가 접착되도록 형성하여 일체로 합지시켜 열풍건조하여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인쇄용지의 필름부는 내열성과 탄성율이 크고 피로강도가 강하며, 온도, 습도의 영향이 적고, 유기용제, 유류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흡수성이 적으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로 형성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인쇄용지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쇄용지(100)는 인쇄물이 인쇄되는 인쇄부(120)를 저면에 구비하여 외측으로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투명형태로 형성된 필름부(110)를 형성하고, 인쇄부(120)의 하측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130)을 형성하며, 인쇄부(120)가 형성된 필름부(110)의 접착측으로 형성된 접착층(130)에 용지부(140)가 접착되도록 형성하여 일체로 합지시켜 열풍건조하여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용지(110)의 필름부(110)는 내열성과 탄성율이 크고 피로강도가 강하며, 온도, 습도의 영향이 적고, 유기용제, 유류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흡수성이 적으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로 형성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인쇄용지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가소성수지 가운데 최고의 내열성을 가지고, 탄성율이 크고 피로강 도가 우수하며, 온도, 습도의 영향이 적고, 유기용제, 유류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흡수성이 적으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오리엔티드폴리프로필렌 재질의 필름부(110)의 부착부분에 인쇄부(120)가 형성되도록 인쇄한다.
이렇게, 인쇄부(120)가 형성된 필름부에 인쇄부(120) 측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30)을 형성시키고, 필름부(110)에 형성된 인쇄부(120)의 부착부분에 접착층(130)을 형성하고 접착층(130)에 표면 건조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일정한 온도의 열풍을 분사하여 필름부(110)에 형성된 접착층(130)을 열풍으로 표면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이, 필름부(110)의 인쇄부(120)에 열풍으로 표면건조된 접착층(130)에 필름부(11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용지부(140)를 일체로 합지시키고, 접착층(130)이 형성된 필름부(110)에 용지부(140)를 합지한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접착층(130)이 형성된 필름부(110)에 용지부(140)를 압착시킨다.
이렇게, 필름부(110)에 용지부(140)를 압착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일정한 온도로 접착층(130)이 경화되면서 필름부(110)에 용지부(140)를 고착화시켜 인쇄용지(100)를 완성한다.
따라서, 완성된 인쇄용지(100)는 외관이 미려하고 강도가 뛰어나며 투명도가 선명하고 습도에 강한 필름부(110)에 직접 인쇄부(120)를 형성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키고, 필름부에 형성된 접착층(130)에 접착되는 용지부(140)에 일정한 압력으로 압착한 상태로 편평도를 유지하는 온도로 열풍 건조시켜 말림현상을 최소화 하 고 접착성능을 향상시켜 수명을 증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인쇄용지는 방습 방오용으로 외측에 형성된 필름부에 인쇄부를 직접 형성하고 접착제로 용지부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습기와 인장력이 강한 필름부에 인쇄부를 형성하여 인쇄부의 파손과 오손을 최소화하고 필름부에 인쇄되어 외부에서 인쇄부가 선명하게 표시되어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인쇄용지는 인쇄부가 형성된 필름부를 열가소성수지 가운데 최고의 내열성을 가지고, 탄성율이 크고 피로강도가 우수하며, 온도, 습도의 영향이 적고, 유기용제, 유류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흡수성이 적으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재질 또는 오리엔티드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 OPP)로 필름부를 형성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인쇄용지는 필름부에 인쇄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인쇄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여 열풍으로 표면을 건조시키고, 용지부를 접착층의 위치에 합지 압착시킨 상태로 일정한 온도와 시간으로 경화하여 일정한 온도로 용지부의 습도와 용지부에 편평도를 유지하면서 경화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필름에 직접인쇄하여 인쇄물의 선명도를 유지하고, 일정한 온도와 시간으로 필름부에 형성된 접착층이 용지부에 고착화되면서 제조되는 것으로, 인쇄용지의 편평도와 습 도를 유지하여 인쇄용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인쇄용지는 인쇄된 필름부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용지부와 합지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습기에 강하고 오손의 발생이 적은 필름부에 인쇄부를 형성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인쇄 후에도 용지부가 습기나 오물에 일부분 훼손되어도 인쇄부에 영향이 없어 오랜 기간 인쇄품질을 유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인쇄물이 인쇄되는 인쇄부를 저면에 구비하여 외측으로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투명형태로 형성된 필름부를 형성하고, 인쇄부의 하측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을 형성하며, 인쇄부가 형성된 필름부의 접착측으로 형성된 접착층에 용지부가 접착되도록 형성하여 일체로 합지시켜 열풍건조하여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의 필름부는 내열성과 탄성율이 크고 피로강도가 강하며, 온도, 습도의 영향이 적고, 유기용제, 유류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흡수성이 적으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로 형성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KR2020060007082U 2006-03-16 2006-03-16 인쇄용지 KR200418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82U KR200418671Y1 (ko) 2006-03-16 2006-03-16 인쇄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82U KR200418671Y1 (ko) 2006-03-16 2006-03-16 인쇄용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671Y1 true KR200418671Y1 (ko) 2006-06-14

Family

ID=4176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082U KR200418671Y1 (ko) 2006-03-16 2006-03-16 인쇄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6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81518A (ja) 転写フィルム
MX2012010419A (es) Laminados multicapa reconfigurables, y metodos.
WO2006093091A1 (ja) 転写フィルム及び転写フィルムで加飾された合成樹脂製成形品
US20070252382A1 (en) Laminated multi-ply in-mold label
JP2006215245A (ja) 熱収縮性筒状ラベル
KR200418671Y1 (ko) 인쇄용지
CN104441878B (zh) 一种有手感的双面镭射复合局部转移防伪膜及其制作方法
JP2018537312A (ja) 紙基材上に印刷された埋め込まれた電子回路を備える射出成形されたプラスチック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34938B1 (ko) 인쇄용지 제조방법
CN201294062Y (zh) 热转移高分子标签膜结构
KR200408674Y1 (ko) 쌀 포장용 지대
KR200436814Y1 (ko) 코팅된 자동종이쇼핑백
KR101634601B1 (ko) 특수지
KR102203464B1 (ko)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재활용이 용이한 저장 용기 및 그 저장 용기의 재활용 방법
KR200364153Y1 (ko) 페트필름에 종이 장식지가 합지된 건조가열 접착시트지
US6076332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having high quality, weather resistant graphics on exterior surfaces
KR102555629B1 (ko) 친환경 페이퍼 보호 포장재의 제조방법
JP5181760B2 (ja) パルプモールド容器
JP6683040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およ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
CN212767649U (zh) 一种高挺度盖膜
US20230115825A1 (en) Recyclable ball can
KR200341977Y1 (ko) 자외선 접착 스티커
KR0125096Y1 (ko) 스티카 인쇄용 원단
CN207347473U (zh) 一种电子设备及其辅料片
KR100808118B1 (ko) Opp필름을 사용한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