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660Y1 - 호안식생틀 - Google Patents

호안식생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660Y1
KR200418660Y1 KR2020060006612U KR20060006612U KR200418660Y1 KR 200418660 Y1 KR200418660 Y1 KR 200418660Y1 KR 2020060006612 U KR2020060006612 U KR 2020060006612U KR 20060006612 U KR20060006612 U KR 20060006612U KR 200418660 Y1 KR200418660 Y1 KR 200418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embers
framework
support memb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휘
김옥수
오세은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6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6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적은 하천의 경사면에 수생식물이 안정된 상태로 식생할 수 있는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식생호안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수평 배열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이 받침부재의 양 선단 상부에 직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양 선단에 직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측면부재, 이 측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 위에 놓여지는 한쌍의 전면부재, 상기 각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식생틀, 상기 식생틀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수단을 포함하는 식생호안을 제공한다.
식생틀, 사석, 부재, 볼트

Description

호안식생틀{revetmen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식생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식생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식생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식생틀이 하천 비탈면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식생틀 11 : 받침부재
12a,12b : 지지부재 13 : 단차면
14 : 중간지지부재 15 : 측면부재
16 : 전면부재 17 : 볼트체결홀
18 : 볼트 19 : 너트
20 : 보강부재 30 : 사석
50 : 비탈면
본 고안은 하천의 비탈면에 조성되어 쇄굴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고 식생활착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호안식생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변에는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공작물로 호안(護岸)과 같은 제방공사를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호안 및 제방공사를 위한 공법으로는 윗가지덮기공, 섶단공, 나무말뚝공, 돌망태공, 돌바구니공, 사석공, 야자섬유 두루마리공, 돌붙임-돌쌓기공, 갈대매트공, 환경블록공, 사각방틀공 등을 이용한 공법이 사용된다. 상기의 종래 공법을 이용한 호안 조성 공사를 하는 경우, 구조 및 안정성에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제방을 전면 축조하거나, 파쇄석이나 강자갈 등의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식생의 활착이 불가능하여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고, 경관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호안은 하천수가 토양층에 스며드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시켜 자연하천의 천변 습생식생(濕生植生)을 건생화(乾生化)시킬 뿐만 아니라 천변식생이 제공하는 그늘이 사라지게 되면 수온의 변화가 극심하여 수중 저서생물, 어류의 서식처, 산란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연이어 천변식생지 주변에서 먹이를 취하고 식생덤블에서 은신하는 조류의 서식 기반까지 손상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 콘크리트 사면에 흙을 채운 자루를 쌓아 시공하는 사 면공법이 있었다. 이는 수해 지역 등을 신속히 복구 하는 등의 경우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자루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사면공법은 강에 있는 모래를 이용하여 자루를 채워 이용하기 때문에, 파쇄석이나 강자갈 등의 고가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수해 지역 복구 차원의 기술에 그치고 있어서, 호안에 식물 등을 생육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시공이 필요하였으며, 자루의 재질이 합성수지이기 때문에, 식생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들어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생태적으로 훼손된 하천환경을 재생,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경제적 기술적으로 실행가능케 하는 공법과 재료의 연구개발이 미진하여 훼손된 하천환경의 재생과 복구노력은 구호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천의 경사면에 수생식물이 안정된 상태로 식생할 수 있는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식생호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용이한 식생호안을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평 배치되는 식생틀과, 이 식생틀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틀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수평 배열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이 받침부재의 양 선단 상부에 직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양 선단에 직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측면부재, 이 측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 위에 놓여지는 한쌍의 전면부재, 상기 각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부재는 목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각 부재의 접면에 형성되는 볼트체결홀과, 이 볼트체결홀을 통해 끼워져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수단은 상기 각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식생틀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사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석 이외에 식생을 위한 롤이나 매트 등 바람직한 식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생을 위한 롤 또는 매트는 야자섬유나 황마섬유 등으로 짜여지고 내부에 식생을 위한 토사 등이 포함된 롤 형태 또는 매트 형태의 구조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그 길이가 긴 경우 두 개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분리된 선단은 각각 서로 어긋나도록 단차가공되어 단차면이 서로 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가 두 개로 분리된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중간지지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전면부재는 상기 중간지지부재와 일측 받침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호안식생틀은 하천의 비탈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식생틀이 계단형태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식생호안은 다수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식생틀을 포함하며, 각 층은 하부층을 이루는 식생틀의 측면부재의 상부에 상부층을 이루는 식생틀의 받침부재가 하천의 비탈면에 대응하여 후퇴된 상태로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호안은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받침부재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식생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식생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식생틀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호안식생틀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수평 배열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11)와, 이 받침부재(11)의 양 선단 상부에 직각으로 놓여지고 중앙부가 분리되며 분리된 선단은 각각 서로 어긋나도록 단차가공되어 단차면(13)이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12a,12b), 상기 지지부재(12a,12b)의 중앙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놓여져 한쌍의 지지부재(12a,12b) 사이에 걸쳐지는 중간지지부재(14), 상기 지지부재(12a,12b)의 양 선단에 직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측면부재(15), 상기 중간지지부재(14)와 상기 측면부재(15)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12a,12b) 위에 놓여지는 한쌍의 전면부재(16), 상기 각 부재의 접면에 형성되는 볼트체결홀(17), 상기 볼트체결홀(17)을 통해 끼워져 각 부재를 결합시키는 볼트(18)와 너트(19), 상기 각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사석(30)을 포함하는 식생틀(10)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틀(10)이 하천의 비탈면(도 4의 50 참조)을 따라 다수개 적층되어 계단형태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식생틀(10)이 적층된 3층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적층되는 식생틀(10)의 개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천의 비탈면 크기 및 식생틀(10)을 이루는 각 부재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틀(10)을 이루는 각 부재는 사각단면형태의 목재로 이루어지며, 받침부재(11)와 측면부재(15)에 대해 지지부재(12a,12b)와 전면부재(16)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 상기 식생틀(10)은 직사각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기 각 부재 중 지지부재(12a,12b)는 언급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절단되고 절단면은 서로 지지부재(12a,12b)의 절반 두께의 높이로 단차가공되어 단차면(13)을 이루어 상기 두 부재가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단차면(13)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 식생틀(10)은 하천의 비탈면(5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층을 이루는 식생틀(10)의 측면부재(15)의 상부에 상부층을 이루는 식생틀(10)의 받침부재(11)가 뒤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부층과 하부층이 놓여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안식생틀의 가장 저부층을 이루는 식생틀(10)의 받침부재(11)는 식생틀(10)의 최 측면뿐아니라 그 사이에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전체 식생호안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부층 위에 적층되는 식생틀(10)은 받침부재(11)의 하부에 받침부재(11)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받침부재(11)를 연결하는 보강부재(20)가 더욱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재(20)는 일측 식생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식생틀(10) 바깥쪽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생틀(10)을 이루는 각 부재와 각 층을 이루는 식생틀(10)간의 구조적 결합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18)와 너트(19)가 사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8)가 관통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접면에는 볼트체결홀(17)이 관통형성된다.
예컨대, 상호 적층되는 받침부재(11)와 지지부재(12a,12b) 및 측면부재(15)의 밀착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체결홀(17)이 관통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호 적층되는 지지부재(12a,12b)의 중앙 단차부와 이 단차부 위에 놓여지는 중간지지부재(14) 사이에 상호 대응되는 볼트체결홀(17)이 관통형성되며, 각 층을 이루는 식생틀(10)간의 결합을 위하여 하부층의 측면부재(15)와 상부층의 받침부재(11) 사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체결홀(17)이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각 식생틀(10)은 받침부재(11)와 측면부재(15) 및 지지부재(12a,12b)와 전면부재(16)에 의해 직사각형태의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이 내부 공간에는 사석(30)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사석(30)은 식생틀을 안정화하고 틀에서 이탈하지 않으며, 식생활착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은 Φ15 - Φ35㎝크기의 쇄석이다.
이와 같이 간단히 다수개의 목재를 교차시키고 볼트(18)와 너트(19)를 이용하여 식생틀(10)을 조립하여 이를 하천의 비탈면(50)에 설치하고 상기 식생틀(10)의 내부 공간에 사석(30)을 채움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비탈면(50)에 계단식의 식생호안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사석(30)을 매개로 식생틀(10) 내에 다양한 식생을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게 되며, 식생틀(10)은 식생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식생호안은 상기 식생틀(10) 내에 사석(30)을 채우는 구조 이외에 식생을 위한 다양한 구조물 예컨대 야자섬유나 황마섬유 등으로 짜여지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진 매트나 롤형태의 구조물이 채워질 수 있으며, 식생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는 구조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상기한 구조의 식생호안이 하천의 비탈면에 시공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호안을 이루는 식생틀(10)은 계단형태로 적층 배치되어 하천의 비탈면(50)을 따라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틀(10) 내에는 사석(30)이 채워지고 이 사석(30)을 매개로 식생틀(10) 내에 다양한 식생이 식재된다.
이에 따라 하천의 비탈면(50)은 적층된 식생틀(10)에 의해 보호되어 쇄굴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계단형태로 조성되는 식생틀(10) 내의 사석(30)을 통해 다양한 식생을 식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목재를 이용하여 간단히 제작할 수 있고 그 구조가 단순하여 하천의 비탈면에 대한 시공이 간편한 잇점이 있다.
또한, 최적의 식생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하천변에 환경친화적인 자연형 하천 호안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간격을 두고 나란히 수평 배열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이 받침부재의 양 선단 상부에 직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양 선단에 직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측면부재, 이 측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 위에 놓여지는 한쌍의 전면부재, 상기 각 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식생틀;
    상기 식생틀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수단
    을 포함하는 호안식생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틀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다층을 이루고, 각 층은 하부층을 이루는 식생틀의 측면부재의 상부에 상부층을 이루는 식생틀의 받침부재가 하천의 비탈면에 대응하여 후퇴하여 계단형태로 적층된 구조의 호안식생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받침부재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보강부재가 설치된 호안식생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는 목재로 이루어진 호안식생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두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선단은 각각 서로 어긋나도록 단차가공되어 단차면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된 호안식생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중간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재는 상기 중간지지부재와 일측 받침부재 사이에 놓여지는 호안식생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각 부재의 접면에 형성되는 볼트체결홀과, 이 볼트체결홀을 통해 끼워져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호안식생틀.
  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수단은 사석을 포함하는 호안식생틀.
  9.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수단은 식생을 위한 롤 또는 매트를 포함하는 호안식생틀.
KR2020060006612U 2006-03-13 2006-03-13 호안식생틀 KR200418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612U KR200418660Y1 (ko) 2006-03-13 2006-03-13 호안식생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612U KR200418660Y1 (ko) 2006-03-13 2006-03-13 호안식생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984 Division 2005-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660Y1 true KR200418660Y1 (ko) 2006-06-14

Family

ID=4176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612U KR200418660Y1 (ko) 2006-03-13 2006-03-13 호안식생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6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3500B1 (en) Erosion protection device
KR100657183B1 (ko) 하천호안의 생태 보호용 식생 블록 설치 구조
KR200418660Y1 (ko) 호안식생틀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664705B1 (ko) 하상 보호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50105137A (ko)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
KR200300440Y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KR20070118531A (ko) 호안 블럭
KR200268853Y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100883049B1 (ko) 생태활성형 호안 방틀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100514086B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44558A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371808B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보호환경 조성용 식생구
KR100788950B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100919614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200262760Y1 (ko) 물고기 보호를 위한 호안기초 사각박스 구조
JP2810374B2 (ja) 非コンクリート柔構造部材とこの柔構造部材による臨海施設の構築方法
KR100796317B1 (ko) 조경 블럭
KR200424753Y1 (ko) 호안 블럭 및 조경 블럭
KR200364472Y1 (ko) 하천의 일체형 자연석 구조를 형성하는 고정판 구조물
KR200371892Y1 (ko) 생태하상보호블럭
KR200344675Y1 (ko) 호안용 앵커우드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