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260Y1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260Y1
KR200418260Y1 KR2020060008372U KR20060008372U KR200418260Y1 KR 200418260 Y1 KR200418260 Y1 KR 200418260Y1 KR 2020060008372 U KR2020060008372 U KR 2020060008372U KR 20060008372 U KR20060008372 U KR 20060008372U KR 200418260 Y1 KR200418260 Y1 KR 200418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nshade
awning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이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환 filed Critical 이동환
Priority to KR2020060008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도록 설치하는 설치 장소의 하부에 롤러형태의 차양롤러를 양단으로 각도에 따라 회절되는 회절부를 구비한 고정축을 내부에 탄성스프링으로 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하면서 형성하고, 고정축의 단부에는 압착고정구를 체결수단으로 설치부분의 하부에 고정하도록 통공형태의 고정공을 구비한 고정구를 형성한 차양고정부와, 상기 차양고정부의 차양롤러에 권회되면서 투명으로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는 투명차양막의 상부에 차양프레임을 형성하고, 차양프레임의 중앙으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홈형태의 파지홈을 형성하며, 차양프레임의 양단으로 내부에 길이를 조절하도록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측부를 고정하는 고정고리를 형성한 차양부와, 상기 차양고정부의 양측으로 일정한 높이로 차양부의 고정고리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결합되도록 복수의 높이조절고리를 구비한 측부프레임을 형성하고, 측부프레임의 하부에 차양고정부의 고정구에 연결되어 압착고정부에 결합되도록 연결공을 구비한 연결구를 형성하며, 측부프레임의 상부를 설치부분에 결합되도록 압착고정부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도록 통공형태의 상부고정공을 구비한 상부고정구를 형성한 측부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차양프레임, 높이조절고리, 다이얼표시부, 투명차양막, 측부프레임

Description

차양장치 {Shading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의 자동차 전면 차광스크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자동차 전면 차광스크린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차량의 전면에 부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차량의 측면에 부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창문의 부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차량 21 : 전면유리
22 : 측면유리 30 : 창문
100 : 차양장치 110 : 차양고정부
111 : 차양롤러 112 : 고정축
113 : 회절부 114 : 탄성스프링
115 : 고정구 116 : 고정공
117 : 압착고정구 118 : 체결수단
120 : 차양부 121 : 투명차양막
122 : 차양프레임 123 : 파지홈
124 : 고정고리 125 : 탄성스프링
130 : 측부고정부 131 : 측부프레임
132 : 높이조절고리 133 : 연결구
134 : 연결공 135 : 상부고정부
135a : 상부고정구 135b : 상부고정홈
135c : 탄성수단 136 : 압착고정구
137 : 체결수단 138 : 다이얼표시구
본 고안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유리 및 창문 등에 투사되는 태양광선을 외부로 바라보는 시야에 방해없이 높이와 길이가 조절되는 투명차양막으로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직접적인 광선으로 사용자를 보호하면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차양위치에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함으로써, 범용성을 확대시키는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遮陽)은 햇볕을 가리거나 비를 막기 위해 출입구, 창문 등의 상부벽에 덧붙이는 작은 지붕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의 내부로 반사되는 태양광선은 블라인드와 커튼과 같이 차광막을 형성하여 내부의 노출을 회피하면서 피부에 해로운 자외선과 같은 직사광선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또한,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의 시야의 방해를 초래하는 직사광선을 회피하기 위해서 운전석의 전면유리의 상부에 선바이저(sun visor)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조작하면서 직사광선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태양광선의 차단 방법은 건물의 경우 창문을 통하여 투사되는 태양광선을 블라인드와 커튼 등의 차광막을 형성하여 차단시키는 것으로, 빛 자체를 완전히 차단하여 실내가 어두워 조명을 밝혀야 함에 따라 전기료가 낭비되고, 건물내부에 사람들이 직사광선에 노출되지는 않지만 일조량이 부족하여 건강에 오히려 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경우에는 선바이저 자체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햇빛의 투사방향에 따라 운전 중에도 계속 작동을 시켜야 함으로써, 운전 중에도 조작하여 운전에 방해를 초래하고 빛이 투사되는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을 하여야 함으로써,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여 운전 중에 갑자기 강한 빛이 운전자에게 조사되면 시계가 없어지면서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에 경우 내부 플라스틱과 시트로 형성되어 햇빛을 차단하지 않고 바로 직사광선을 투사할 때에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밀폐된 내부 공간이 과열되 어 승차하는 차량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여름과 같이 더운 계절에도 내부 온도가 상승되어 과다하게 냉방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햇빛의 투사량을 조절하면서 내부에 인체의 유익한 일조량을 햇빛을 통과시키도록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썬팅지와 같은 차양필름을 창문이나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유리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여왔다.
이와 같은, 차양필름은 내부에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내부로 적당한 량을 조사하도록 유리에 직접 부착되는 것으로, 한번의 설치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한번 접착되면 필름을 접착하는 접착제의 성분에 의해 제거하기가 어렵고, 장시간이 지나면 필름 상태의 차양필름이 계속되는 직사광선의 열에 의해 유리에 융착되면서 유기용제나 기타 물질을 이용하여 제거하여야 함으로써, 제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유리 부분에 차양필름을 사용할 시에는 태양광선의 조사량과 상관없이 한번 설치된 차양필름을 통하여 외부를 주시하면서 주행하여야 함으로써,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과 같이 햇빛의 조사량이 약할 때에는 오히려 시야가 어두워서 운행에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내부가 투시되지 않아 차량의 과속이나 범죄 등의 단속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따름에 따라 대한민국 도로교통법은 "자동차 유리 선팅은 10M 거리에서 운전자나 탑승자의 식별이 가능한 수준이 돼야 한다"(48조 제1항4조)이라고 규정하여 차양막의 투시도를 지정하고 있고,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범칙금을 부과하여 단속하고 있으며, 앞으로 차양필름에 대한 규정은 더욱 엄격하고 합리적으로 내부 투시율을 기준으로 규정이 강화되고 있어, 현행 불법으로 규정된 차양필름을 설치한 차량은 기준에 따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차양스크린을 용이하게 조작하여 햇빛의 조사량에 따라 용이하게 조작하는 종래기술의 자동차 전면유리 차광스크린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258892호에서 개시된 바, 이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방형 케이스(2)의 상측으로 복개되는 덮개판(3)의 일측에는 푸쉬버튼(4)이 설치되어 케이스 일측에 마련된 작동함실(5)내의 작동봉(6)에 접촉되게 하되, 상기 작동봉(6)은 하우징(7)내의 코일스프링(8)에 의해 탄력지지 되게 하고 작동봉(6)의 일측으로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된 누름버튼(9)이 접지되게 하며, 케이스(2)의 양측벽(10a)(10b) 내측의 정중앙보스(11a)(11b)에는 차광필름(12)이 권취된 축봉(13)이 축설되게 하되, 그 일단에는 태엽스프링(14)을 설치하고, 차광필름(12)의 단부에는 흡착구(15)를 형성하며, 덮개판(3)의 단부에는 만곡면 가압부(16)를 형성하여 차광스크린(1)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자동차 전면유리 차광스크린은 차량의 전면 유리부분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케이스에 차광필름을 권회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누름버튼을 눌러서 케이스의 내부에 매몰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 유리중에 일부분 만 차광이 가능하여 측면에서 발생되는 직사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므로 차광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자동차 전면유리 차광스크린은 차량의 전면유리가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와 직각형태로 인출되어 흡착구로 고정되는 것으로, 차광스크린과 간격이 형성된 상태에서 전면유리에 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차광스크린과 전면 유리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어 태양광선이 차광스크린에 의해 차단되면서 유리와 스크린 사이에서 왜곡 현상이 발생되어 시야의 오차범위에 따라 착시현상으로 인한 사고 위험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자동차 전면유리 차광스크린은 전면유리의 상부에 차광필름이 권취된 축봉이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를 고정하여 권취된 차광필름을 하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장방형으로 돌출된 케이스를 차량에 상면에 결합시켜야 함으로써, 기존의 차량의 선바이저와 서로 간섭이 발생하여 설치와 해체가 어렵고, 차량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으면 급정거나 사고 발생시에 케이스가 이탈되어 차광스크린으로 인한 부상 위험성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자동차 전면유리 차광스크린은 코일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된 차광필름의 하부에 형성된 흡착구를 형성하여 전면유리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부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상부로 당겨지는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운행 중에 흡착구의 흡착력의 변동이 생겨 이탈되면 케이스 측으로 차광필름이 급작스럽게 매몰되어 직사광선이 순간적으로 운전자에게 투사되어 강한 직사광선으로 일시적으로 시야가 사라져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위험성이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차량의 각면의 유리 부분이나 건물의 창문유리 측으로 하부에 차양막이 권선된 차양롤러를 탈부착이 용이한 압착고정부로 결합시켜 측부프레임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높이조절고리에 차양막의 상부를 고정한 차양프레임을 상부로 승강하면서 높이를 조절하면서 고정하여 직사광선을 차단시키고, 하부와 측부를 고정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며, 투명형태로 차양막을 형성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도록 설치하는 설치 장소의 하부에 롤러형태의 차양롤러를 양단으로 각도에 따라 회절되는 회절부를 구비한 고정축을 내부에 탄성스프링으로 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하면서 형성하고, 고정축의 단부에는 압착고정구를 체결수단으로 설치부분의 하부에 고정하도록 통공형태의 고정공을 구비한 고정구를 형성하여 압착고정구로 고정되면서 하부에 차양롤러를 설치하도록 형성한 차양고정부와,
상기 차양고정부의 차양롤러에 권회되면서 투명으로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는 투명차양막의 상부에 차양프레임을 형성하고, 차양프레임의 중앙으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홈형태의 파지홈을 형성하며, 차양프레임의 양단으로 내부에 길이를 조절하도록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측부를 고정하는 고정고리를 형성하여 상부로 승강하면서 권회된 투명차양막을 고정고리로 측부를 고정하면서 설치하도록 형성한 차양부와,
상기 차양고정부의 양측으로 일정한 높이로 차양부의 고정고리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결합되도록 복수의 높이조절고리를 구비한 측부프레임을 형성하고, 측부프레임의 하부에 차양고정부의 고정구에 연결되어 압착고정부에 결합되도록 연결공을 구비한 연결구를 형성하며, 측부프레임의 상부를 설치부분에 결합되도록 압착고정부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도록 상부고정부를 형성하되, 상부고정부는 통공형태로 압착고정부가 삽입되는 상부고정공을 구비한 상부고정구를 길이가 조절되는 탄성수단으로 고정 형성하여 설치부분의 상부에 탄성수단으로 길이를 조절하면서 압착고정구로 고정시켜 차양부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형성한 측부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부고정부의 측부프레임 일측으로 회전하는 다이얼 형태로 숫자와 문자를 회전 변위하면서 외부로 표시하도록 다어얼표시구를 형성하여 회전 변위하면서 외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차량의 전면에 부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차량의 측면에 부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장치가 창문의 부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양장치(100)는 차량(20) 및 창문(30)과 같이 직사광선이 투사되는 장소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형성한 차양고정부(110)와, 상기 차양고정부(110)에 하부를 고정하여 상부로 투명차양막(121)을 펼쳐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도록 형성한 차양부(120)와, 상기 차양부(120)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높이를 조절하도록 높이조절고리(132)를 측부프레임(131)에 형성하여 측부를 고정하는 측부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차양고정부(110)는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도록 설치하는 설치 장소의 하부에 롤러형태의 차양롤러(111)를 양단으로 각도에 따라 회절되는 회절부(113)를 구비한 고정축(112)을 내부에 탄성스프링(114)으로 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하면서 형성하고, 고정축(112)의 단부에는 압착고정구(117)를 체결수단(118)으로 설치부분의 하부에 고정하도록 통공형태의 고정공(116)을 구비한 고정구(115)를 형성하여 압착고정구(117)로 고정되면서 하부에 차양롤러(111)를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차양부(120)는 차양고정부(110)의 차양롤러(111)에 권회되면서 투명으로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는 투명차양막(121)의 상부에 차양프레임(122)을 형성하고, 차양프레임(122)의 중앙으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홈형태의 파지홈(123)을 형성하며, 차양프레임(122)의 양단으로 내부에 길이를 조절하도록 탄성스프링(125)을 구비하여 측부를 고정하는 고정고리(124)를 형성하여 상부로 승강하면서 권회된 투 명차양막(121)을 고정고리(124)로 측부를 고정하면서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부고정부(130)는 차양고정부(110)의 양측으로 일정한 높이로 차양부(120)의 고정고리(124)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결합되도록 복수의 높이조절고리(132)를 구비한 측부프레임(131)을 형성하고, 측부프레임(131)의 하부에 차양고정부(110)의 고정구(115)에 연결되어 압착고정구(117)에 결합되도록 연결공(134)을 구비한 연결구(133)를 형성하며, 측부프레임(131)의 상부를 설치부분에 결합되도록 압착고정부(136)를 체결수단(137)으로 체결하도록 상부고정부(135)를 형성하되, 상부고정부(135)는 통공형태로 압착고정부(136)가 삽입되는 상부고정공(135b)을 구비한 상부고정구(135a)를 길이가 조절되는 탄성수단(135c)으로 고정 형성하여 설치부분의 상부에 탄성수단(135c)으로 길이를 조절하면서 압착고정구(136)로 고정시켜 차양부(120)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측부고정부(130)의 측부프레임(131) 일측으로 회전하는 다이얼 형태로 숫자와 문자를 회전 변위하면서 외부로 표시하도록 다이얼표시구(139)를 형성하여 회전 변위하면서 외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양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사광선을 투사되는 차량(20)의 전면유리(21), 측면유리(22)나 건물의 창문(30) 등과 같은 설치장소에 각도에 따라 차양롤러(111)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축(112)의 회절부(113)를 회절한 상태에서 고정축(112)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구(115)의 고정공(116)과 측부고정부(130)의 측부프레임(131) 하측으로 연결되도록 연결구(133)에 형성된 연결공(134)에 압착고정구(117)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수단(118)으로 체결하여 차양고정부(110)의 양측으로 측부고정부(130)를 연결 결합한다.
이렇게, 차양롤러(111)의 양단부에 압착고정구(117)로 측부고정부(130)를 연결 결합하여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탄성스프링(114)으로 결합된 고정축(112)으로 길이를 조절하면서 압착고정구(117)로 하부를 고정하고, 양측으로 형성된 측부고정부(130)의 측부프레임(131)에 상부에 상부고정부(135)를 형성하되, 상부고정부(135)는 통공형태로 압착고정부(136)가 삽입되는 상부고정공(135b)을 구비한 상부고정구(135a)를 길이가 조절되는 탄성수단(135c)으로 고정 형성하여 설치부분의 상부에 탄성수단(135c)으로 길이를 조절하면서 압착고정구(136)로 고정시켜 측부프레임(131)의 상부를 설치부분의 상부 측으로 길이를 조절하면서 고정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차양고정부(110)와 측부고정부(130)를 설치부분의 하부와 양측부로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양이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차양부(120)의 투명차양막(121)의 상부를 고정한 차양프레임(122)의 중앙으로 형성된 파지홈(123)을 파지한 상태로 상부로 이송하면서 투명차양막(121)을 펼치고 원하는 높이에 도달되면 양단부에 탄성스프링(127)으로 길이를 조절하면서 형성된 고정고리(124)를 측부프레임(131)의 일정한 높이로 복수로 형성된 높이조절고리(132)에 삽입 고정하여 투명차양막(121)을 설치한다.
이때, 측부프레임(131)의 일측으로 형성된 다이얼표시구(139)의 문자 및 숫 자를 회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와 숫자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탈착이 용이한 압착고정부(117, 137)로 상하로 고정함에 따라 차량(20)의 전면유리(21), 측면유리(22)나 건물의 창문(30) 등과 같이 다양한 설치장소에 이동하면서 설치함에 따라 범용성을 확대하고, 하부에 투명차양막(121)이 권회된 차양롤러(111)를 고정하는 고정축(112)을 탄성스프링(114)으로 지지하여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축(112)에 회절부(113)를 형성하여 설치장소의 곡률에 맞도록 회절하면서 설치함으로써, 설치효율을 증대시키며, 양측에 복수의 높이조절고리(132)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투명차양막(121)을 설치하여 설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투명차양막(121)의 상부를 고정시킨 차양프레임(122)의 양단을 높이조절고리(132)에 고정하는 고정고리(124)에 탄성스프링(114)을 형성하여 길이가 조절되면서 탄성력으로 지지력을 향상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어 충격에 따른 투명차양막(121)에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유리나 창문의 유리를 차양시키도록 하부를 고정하면서 롤러형태의 차양롤러가 구비된 차양고정부를 형성하고, 차양롤러의 내부에 권선된 투명차양막의 상부에 고정되어 중앙에 손으로 파지하면서 설치부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파지홈을 형성하며 양단부에 고정고리를 구비하여 상부로 투명차양막을 펼치면서 설치되는 차양부를 형성하고, 차양고정부의 양측으로 하부를 연결구로 고정하면서 상부를 설치부분에 고정한 상 태로 일정한 높이로 복수 형성된 높이조절고리에 투명차양막이 구비된 차양프레임의 양단부를 고정하여 높이를 조절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하부와 측부에 형성된 프레임으로 투명형태의 차양막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차양롤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의 위험성을 최소화함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차양롤러의 하부를 고정하는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축과 측부를 고정하는 측부프레임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압착고정구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고 설치 장소에 따라 간편하게 이동하면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이동 설치가 용이하여 직사광선이 투사되는 곳에 이동하면서 설치하여 사용함에 따라 범용성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도록 하부에 고정되는 차양롤러의 고정축의 고정구와 측부고정부의 상부고정구에 폭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면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탄성스프링을 내부에 형성하여 길이에 따라 일정한 변형량을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지지하면서 설치하여 설치효율을 확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투명차양막을 하부에 차양롤러에 권회한 상태로 고정시키고, 높이에 따라 조절하면서 측부프레임에 복수로 형성된 높이조절고리에 높이를 조절하면서 고정함에 따라, 일시적인 충격이나 급정거 시에도 측부에 고정되어 급격하게 접히지 않으므로 급격한 작동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축소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투명 형태로 투명차양막을 형성하여 외부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직사광선을 차단함으로써,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건물의 창문의 경우에는 외부에 풍경을 직사광선의 방해 없이 감상하면서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적으로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하부를 고정하는 투명차양막이 권회된 차양롤러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축에 설치위치에 각도에 따라 회절되는 회절부를 형성하여 차량의 전면유리 처럼 곡률이 심한 부분에도 회전하면서 수평 상태에서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측부를 고정하는 측부프레임의 일측으로 번호나 이름 등의 문자나 숫자를 회전하는 다이얼을 이용하여 변위하면서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다이얼표시부를 형성하여 차양 기능 뿐만 아니라, 외부에 문자나 숫자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첨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범위를 확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도록 설치하는 설치 장소의 하부에 롤러형태의 차양롤러를 양단으로 각도에 따라 회절되는 회절부를 구비한 고정축을 내부에 탄성스프링으로 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하면서 형성하고, 고정축의 단부에는 압착고정구를 체결수단으로 설치부분의 하부에 고정하도록 통공형태의 고정공을 구비한 고정구를 형성하여 압착고정구로 고정되면서 하부에 차양롤러를 설치하도록 형성한 차양고정부와,
    상기 차양고정부의 차양롤러에 권회되면서 투명으로 직사광선을 차단시키는 투명차양막의 상부에 차양프레임을 형성하고, 차양프레임의 중앙으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홈형태의 파지홈을 형성하며, 차양프레임의 양단으로 내부에 길이를 조절하도록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측부를 고정하는 고정고리를 형성하여 상부로 승강하면서 권회된 투명차양막을 고정고리로 측부를 고정하면서 설치하도록 형성한 차양부와,
    상기 차양고정부의 양측으로 일정한 높이로 차양부의 고정고리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결합되도록 복수의 높이조절고리를 구비한 측부프레임을 형성하고, 측부프레임의 하부에 차양고정부의 고정구에 연결되어 압착고정부에 결합되도록 연결공을 구비한 연결구를 형성하며, 측부프레임의 상부를 설치부분에 결합되도록 압착고정부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도록 상부고정부를 형성하되, 상부고정부는 통공형태로 압착고정부가 삽입되는 상부고정공을 구비한 상부고정구를 길이가 조절되는 탄성수 단으로 고정 형성하여 설치부분의 상부에 탄성수단으로 길이를 조절하면서 압착고정구로 고정시켜 차양부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형성한 측부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고정부의 측부프레임 일측으로 회전하는 다이얼 형태로 숫자와 문자를 회전 변위하면서 외부로 표시하도록 다어얼표시구를 형성하여 회전 변위하면서 외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KR2020060008372U 2006-03-29 2006-03-29 차양장치 KR200418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72U KR200418260Y1 (ko) 2006-03-29 2006-03-29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72U KR200418260Y1 (ko) 2006-03-29 2006-03-29 차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260Y1 true KR200418260Y1 (ko) 2006-06-12

Family

ID=4176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372U KR200418260Y1 (ko) 2006-03-29 2006-03-29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2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6519B1 (en) Visor combination device of car window
KR101120294B1 (ko) 차량 차양 장치
US5133585A (en) Visor for automobiles
US8382200B2 (en) Vehicle with transparent roof area
KR200418260Y1 (ko) 차양장치
WO2008111950A1 (en) Vehicle visor with auxiliary sunshade and adjustable slat
US20120061036A1 (en) Retractable window mat
KR20190057929A (ko) 차량용 기능을 갖춘 블라인드
KR20140012907A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US20090242151A1 (en) Whole-covered sunshade assembly
US7121610B2 (en) Combination shade and handle device
JP2008230586A (ja) 日除け器具
RU77896U1 (ru) Свет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190512B2 (ja) 扇子式遮光方法
KR200246884Y1 (ko) 자동차 전면유리 차광 스크린 장치
GB2334933A (en) A blind for a vehicle mounted on or within the vehicle's sun visors
KR102023725B1 (ko) 절첩식 허니콤 구조의 차량용 블라인드
KR200386119Y1 (ko) 차량용 햇빛가리개
KR200467168Y1 (ko) 자동차 안 텐트
KR200280288Y1 (ko) 자동차용 차양막
KR100927832B1 (ko) 햇빛가리개에 탈부착이 가능한 접철식 햇빛가림구
KR20210000254U (ko) 차량용 차광장치
JP2005335686A5 (ko)
KR20180129268A (ko) 자동차 앞 유리 눈부심 방지 블라인드
RU15164U1 (ru) Ширма для окон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