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049Y1 -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 - Google Patents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049Y1
KR200418049Y1 KR2020060007120U KR20060007120U KR200418049Y1 KR 200418049 Y1 KR200418049 Y1 KR 200418049Y1 KR 2020060007120 U KR2020060007120 U KR 2020060007120U KR 20060007120 U KR20060007120 U KR 20060007120U KR 200418049 Y1 KR200418049 Y1 KR 200418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ame
current
electromagne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민
Original Assignee
심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민 filed Critical 심상민
Priority to KR2020060007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0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0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 A63B21/005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induced by 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전방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고,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타입으로 이루어진 받침대로 이루어진 웨이트하우징;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롤러에 외주연이 안내되고, 일단에는 적정 무게의 무게추가 고정되어 프레임의 공간부에 위치되고, 타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고정된 이동와이어로 이루어진 업/다운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전류를 입력하고, 입력된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상기 무게추가 탈부착 되도록 이루어진 웨이트조절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자석을 이용하여 웨이트기구의 부피를 대폭적인 감소시켜 운반과 보관이 편리하게 되었으며, 또한 무게가 가벼워 사고의 위험성이 없게 되었고,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전자석, 웨이트, 무게추

Description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WEIGHTMACHINE USING ELECTROMAGNE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의 동작상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웨이트하우징 11 : 공간부
12 : 프레임 14 : 받침대
20 : 업/다운장치 22 : 안내롤러
24 : 이동와이어 30 : 무게추
40 : 손잡이 50 : 웨이트조절장치
52 : 전류조절기 54 : 전류입력기
56 : 전자석
본 고안은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트기구의 무게추를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이용하여 조절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에 적절한 무게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트트레이닝이란 무거운 무게를 근육에 가하여 구성요소인 근섬유의 크기를 증대시키고, 근력 및 근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 운동방법이다. 이러한 웨이트트레이닝에 이용되는 헬스기구중 하나 랫풀다운 타입은 무게추의 무게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운동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랫풀다운 타입의 헬스기구 무게추 들은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어 청소 및 운반이 용이하지 않게 되었고, 무게의 조절시 운동자의 부주의로 확실히 잠그지 않아 무게추가 떨어져 사용자의 발등 및 손가락 등이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 되었으며, 또한 적당한 무게의 무게추 선택시 사용자에 대한 힘이 많이 소모되고, 무게추가 정해져 있어 자신에 맞는 무게의 선택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등 불편한 문제점들이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전자석에 전류의 세기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에 적절한 무게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무게추의 조절이 안전하고 간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전방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고,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타입으로 이루어진 받침대로 이루어진 웨이트하우징;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롤러에 외주연이 안내되고, 일단에는 적정 무게의 무게추가 고정되어 프레임의 공간부에 위치되고, 타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고정된 이동와이어로 이루어진 업/다운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전류를 입력하고, 입력된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상기 무게추가 탈부착 되도록 이루어진 웨이트조절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조절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 하단에 설치된 전류조절기; 상기 전류조절기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전류조절기에 사용자가 적절한 전류를 입력하게 되는 전류입력기; 및 상기 전류조절기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류입력기에 입력된 전류의 세기만큼 자기장이 발생되어 상기 무게추를 당기게 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웨이트기구는 웨이트하우징(10), 업/다운장치(20) 및 웨이트조절장치(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이트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프레임(12)과; 프레임(12) 전방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고,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타입으로 이루어진 받침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업/다운장치(20)는 프레임(12)의 공간부(1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안내롤러(22)와; 안내롤러(22)에 외주연이 안내되고, 일단에는 적정 무게의 무게추(30)가 고정되어 프레임(12)의 공간부(11)에 위치되고, 타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40)가 고정된 이동와이어(24)로 이루어진다. 이때, 무게추(30)는 비교적 얇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형 또는 사각의 판상으로 무게가 적게 나가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웨이트조절장치(50)는 프레임(12)의 공간부(11) 하단에 설치된 전류조절기(52)와; 전류조절기(52)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류조절기(52)에 사용자가 적절한 전류를 입력하게 되는 전류입력기(54)와; 전류조절기(52) 상부에 연결되어 전류입력기(54)에 입력된 전류의 세기만큼 자기장이 발생되어 무게추(30)를 당기게 되`는 전자석(5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류조절기(52)의 전류입력 방법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전자석(56)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석의 성질을 잃어버리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웨이트하우징(10)을 구성하고 있는 프레임(12) 전방에 구비된 받침대(14) 상부에 사용자가 앉거 나 누운 다음, 프레임(12)의 전방에 위치된 전류입력기(54)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전류의 조절을 입력하게 된다. 예컨대, 전류입력기(54)에 사용자가 전류를 40A(암페어)를 선택하여 입력을 하게 될 경우에는 전류입력기(54)에 연결된 전류조절기(52)에서는 40A의 전류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전류입력기(52)에 연결된 전자석(56)으로 40A의 전류가 인가되어전자석(56)에서는 40A의 전류에 해당하는 자기장이 발생 됨으로써 얇은 금속재질의 원형 또는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무게추(30)가 전자석(56)에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다운장치(20)를 구성하고 있는 이동와이어(24) 타단의 손잡이(40)를 파지한 다음, 이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프레임(12)의 공간부(1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안내롤러(22)에 이동와이어(24)가 안내되면서 전방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40A의 전류가 흐르는 전자석(56)에 부착된 무게추(30)를 상방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당기는 힘에 의해 무게추(30)가 상방으로 당기지게 되면서 전자석(56)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전자석(56)에서는 40A의 세기에 해당되는 자기장이 발생되고, 이 자기장보다 사용자가 당기는 힘이 같거나 적게 되면, 무게추(30)는 상방으로 당겨지지 않고, 사용자가 손잡이(40)에 매달린 상태가 유지되면서 웨이트운동(상체 근력)은 되지 않게 된다.
이때, 무게추(30)의 이동으로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전기장이 발생되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12)으로 전기장의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용자가 전류에 의한 감전의 우려가 있으나, 전류조절기(52)는 자체에 서 이러한 전기장을 소멸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감전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한편, 자기장의 힘보다 사용자가 당기는 힘이 더 셀 경우에는 전자석(56)으로부터 무게추(30)가 이탈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는 데, 자기장의 미치는 영역(l)을 무게추(30)가 벗어나게 되면 무게추(3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운동의 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무게추(30)를 전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서 상하로 적절하게 이동시키면서 전자석(56)의 자기장 세기로 상체 근력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자석을 이용하여 웨이트기구의 부피를 대폭적인 감소시켜 운반과 보관이 편리하게 되었으며, 또한 무게가 가벼워 사고의 위험성이 없게 되었고,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무게를 설정하여 편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 전방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고,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타입으로 이루어진 받침대(14)로 이루어진 웨이트하우징(10);
    상기 프레임(12)의 공간부(1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안내롤러(22)와; 상기 안내롤러(22)에 외주연이 안내되고, 일단에는 적정 무게의 무게추(30)가 고정되어 프레임(12)의 공간부(11)에 위치되고, 타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40)가 고정된 이동와이어(24)로 이루어진 업/다운장치(20); 및
    상기 프레임(12)의 공간부(11)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전류를 입력하고, 입력된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상기 무게추(30)가 탈부착 되도록 이루어진 웨이트조절장치(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조절장치(50)는
    상기 프레임(12)의 공간부(11) 하단에 설치된 전류조절기(52);
    상기 전류조절기(52)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전류조절기(52)에 사용자가 적절한 전류를 입력하게 되는 전류입력기(54); 및
    상기 전류조절기(52)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류입력기(54)에 입력된 전류의 세기만큼 자기장이 발생되어 상기 무게추(30)가 당겨지도록 구성된 전자석(56);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
KR2020060007120U 2006-03-16 2006-03-16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 KR200418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20U KR200418049Y1 (ko) 2006-03-16 2006-03-16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20U KR200418049Y1 (ko) 2006-03-16 2006-03-16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049Y1 true KR200418049Y1 (ko) 2006-06-07

Family

ID=4176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120U KR200418049Y1 (ko) 2006-03-16 2006-03-16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0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432B1 (ko) 2011-06-14 2013-01-10 구경순 정형용 운동기구
CN108421210A (zh) * 2018-03-27 2018-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力量健身设备
WO2022114304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유피와이 솔레노이드 기반의 하중조절장치
KR20230036241A (ko) * 2021-09-07 2023-03-14 장성숙 웨이트 운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432B1 (ko) 2011-06-14 2013-01-10 구경순 정형용 운동기구
CN108421210A (zh) * 2018-03-27 2018-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力量健身设备
CN108421210B (zh) * 2018-03-27 2019-12-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力量健身设备
WO2022114304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유피와이 솔레노이드 기반의 하중조절장치
KR20230036241A (ko) * 2021-09-07 2023-03-14 장성숙 웨이트 운동장치
KR102568013B1 (ko) 2021-09-07 2023-08-17 장성숙 웨이트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197B1 (ko) 웨이트 운동기구
KR200418049Y1 (ko) 전자석을 이용한 웨이트기구
US20040102292A1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US10456619B2 (en) Exercise device and related methods thereof
EP3530326A2 (en) Exercise bicycle
US9072977B1 (en) Playground swing
JP2012521264A (ja) アイソレートカールマシンおよびそのトレーニング方法
US20150065321A1 (en) Exercise Device for Performing Dips
US20190314677A1 (en) Exercise apparatus
US20090318274A1 (en) Balance trainer
JP2018000910A (ja) 運動器具
CN110279987A (zh) 一种电磁力负重扩胸拉背机
KR101479172B1 (ko)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0704448B1 (ko) 운동기구
US20110015047A1 (en) Exercise apparatus
CN106237600A (zh) 一种游泳训练器
KR102399909B1 (ko) 운동기구가 부설되는 의자
CN105664423A (zh) 腿挂杠铃负重器
WO2019080603A1 (zh) 一种手臂耐力与阻力训练器材及制造方法
JP2014132914A (ja) 運動用器具
KR102057849B1 (ko) 와전류를 이용한 부하조절기능이 구비된 근력운동기구
CN111686402B (zh) 锻炼方法和器械
KR20110011177U (ko) 복근 운동기
JP2004201943A (ja) 身体訓練装置
US20030224909A1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