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509Y1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509Y1
KR200417509Y1 KR2020060006744U KR20060006744U KR200417509Y1 KR 200417509 Y1 KR200417509 Y1 KR 200417509Y1 KR 2020060006744 U KR2020060006744 U KR 2020060006744U KR 20060006744 U KR20060006744 U KR 20060006744U KR 200417509 Y1 KR200417509 Y1 KR 200417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icycle
user
pres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2020060006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본체에 고정되는 안장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가랑이에 끼우지 않고, 골반부와 좌우측 대퇴부를 폭넓게 지지하되, 페달링시 좌우측의 안장부재는 탑승자의 엉덩이 및 대퇴부의 신체곡선에 따라 원활하게 대응하며,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복원되도록 고안되었다.
본 고안은 공지된 자전거의 안장의 실시 효과외에, 사용자의 가랑이에 끼우지 않는 방법으로 회음부에 통증이나 압박을 주지 않으며; 신체하중의 지지면적이 넓고, 탑승하는 사용자의 신체 운동곡선에 따라 형성되는 안장라인으로 체중 및 외부 충격을 분산지지하는 쾌적한 안장을 제공하며;
기계적, 구조적으로 단순화하여 경제적인 실시와;
중량을 현저하게 경감한 자전거 안장이 개시된다.
자전거, 유연성원단, 안장, 회음부, 통증, 탄성, 분산지지, 회전

Description

자전거 안장{Bike Saddl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안장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실시예 2에 따른 안장지지대의 사시도 및 상세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2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3에 따른 평면도 및 상세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3에 따른 동작설명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3에 따른 탄성체의 안장부재 상면 전체연결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회절부가 있는 안장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3에 따른 탄성회절부가 있는 안장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자전거 안장은 가랑이에 끼우는 삼각형 형상의 안장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하중을 지지하는 면이 좁고, 돌출되다시피한 단면구조는 회음부에 집중적으로 압력이 가해져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자주 자전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통증이 발전하여 전립선등의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안장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제안된 안장이 가랑이 사이에 끼우는 삼각형 형태의 범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즉, 자전거 안장의 제작 기획시 안장은 가랑이 사이에 끼워야 착석의 불안감에서 해방된다고 생각하는 선입견으로 안장의 삼각형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즉, 회음부 접촉 부위에 구멍을 내거나, 긴 홈을 형성하거나, 좌우로 안장부재를 분리하여 안장부재가 유동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을 개시하고 있으나 가랑이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는 국부압박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 안장을 좌우로 분리하도록 고안되거나 공지된 경우에도, 페달링시 신체의 이탈가능성이 높고, 제조공수가 많으며, 안장부재가 각각 불필요한 방향으로 흔들 리거나, 좌우측의 운동각이 구속을 받는다거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경제적인 실시에 문제가 있거나, 무엇보다 주행자에게 현저히 편안한 안장의 제공과는 거리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가랑이 사이에 끼우지 않아,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국부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신체와 안장부재와의 접촉면이 현저히 넓고,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신체곡선에 대응하는 쾌적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사용자의 가랑이에 끼우지 않으며, 골반부와 좌우측 대퇴부를 넓게 지지하토록 하되, 골반부와 대퇴부의 신체곡선에 최대한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가 안장에 탑승하여 페달링시 대퇴부 뒤쪽의 운동각도에 따라 안장부재 일측의 전면이 부드럽게 내려가고, 반대쪽을 페달링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복원되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고, 동작하는 사용자의 신체곡선에 따라 대응하는 안장라인을 갖되 이탈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경량화, 기계적, 구조적으로 단순화하고 제조공수를 줄여 경제적인 실시와 자전거 전체의 중량을 최대한 경감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본체의 공지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안장기둥(400)에 결합부재(300)에 의해 결합되어지되,
중앙부(201)가 절곡되어, 양측으로는 결합부(203a, 203b)를 구성하며,
단부와의 사이인 중간부(205a, 205b)는 연직상향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며,
횡방향으로 연장된 양단부(207a, 207b)는 안장부재에 의해 감싸지도록 절곡된 구조를 가진,
철봉으로 구성된 안장지지대(200);
상기의 안장지지대의 연직상면을 덮고, 좌우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골반부와 좌우측 대퇴부를 지지하되, 사용자의 가랑이에 압박이 없으며, 신체곡면에 대응토록 설치된 안장부재(100);
를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관련된 도면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안장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 1의 평면도이고 유연성 원단을 사용할 때의 실시예로 재봉선(105)가 도시된다.
도 3은 실시예 1의 배면도이며,
도 4는 후면도이고,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측면도이며, 유연성 원단을 사용할 때의 실시예로 안장부재의 측면은 호를 이루고 있으나 사출 성형물로 제작 하는 경우는 인체의 둔부구조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안장은 안장부재(100), 안장지지대(200)로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클램프(300)등에 의해 자전거 본체의 안장기둥(400)에 고정된다.
상기 안장부재의 소재는 메쉬구조가 내재된 유연성 비닐합성원단, 천, 가죽, 스틸메쉬,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제품 등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나 경제성, 경량성, 신체곡면 변화의 유연한 대응 등의 본래의 목적을 고려하면 천형태의 유연성 원단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즉, 가랑이를 끼우지 않고, 사용자의 엉덩이와 좌우측 대퇴부의 신체곡선에 최대한 유연하게 대응하는 안장부재는 앉거나, 주행시 원천적으로 회음부의 압박이나 마찰이 없으며, 페달링시 신체곡선의 변화에 따른 신체면 이탈을 최소화한다.
즉, 유연성 원단의 신체곡선에 따른 대응이나, 인체곡면에 대응하는 성형구 조, 그리고, 가랑이 사이에 끼우지 않는 구조이므로 일반인의 엉덩이 폭에 해당할 정도의 넓은 신체접촉면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안장부재는,
중앙부(201)는 절곡되어, 양측으로 나란히 평행한 클립결합부(203a, 203b)를 구성하며;
다시 연직상향으로 절곡 후 후방단부와의 사이인 중간부(205a, 205b)는 적당히 절곡되어, 연직방향으로 상하방향의 탄성을 가져 주행자에게 쿠션감을 주게 되며;
좌우측이 후방단부에서 바깥쪽으로 절곡(206a, 206b)된 후;
다시 안장전방부쪽으로 절곡되어 안장부재와의 결합부(207a, 207b)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
철봉으로 구성된 안장지지대(200)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이때, 안장부재가 유연성 원단이나 천인 경우는 봉재과정등을 거쳐 재봉선(105)등이 남게된다.
또, 이때 안장부재와의 결합부(207a, 207b)는 완만한 호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이 분리된 두개의 폐곡선, 혹은 개곡선을 이루는 고리형 구조로 안장지지대를 구성하여 연직상단부는 안장부재의 좌 우측에 결합되고, 연직하단부는 클램프(300)등에 의해 자전거 본체의 안장기둥(400)에 고정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안장지지대는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나 경제성, 경량성, 제조공수의 절감 등 본래의 목적을 고려하면 단일구조의 일체형 소구경 철봉 사용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6과 도 7은 상기의 고안에서 발전된 기술적 사상으로,
자전거 페달링시 탄성과 복원력을 갖는 안장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상세도이다.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는,
안장부재를 지지하는 좌우단 전방부측에 각각 탄성을 갖도록 추가로 회절탄성부(210a, 210b, 210c, 210d)를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탄성저항없이 설치된 채로 평형상태를 유지하다가 주행자의 페달링시 다리를 펴면 대퇴부의 신체곡선에 따라 안장부재의 전면부가 대향부의 단부와 사선을 이루며 삼각형 측면을 이루며 하향으로 꺽여졌다가 반대쪽 페달을 밟을 때 반복적으로 복원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즉,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탑승자가 승차하여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오른쪽 페달을 밟으면 우측 대퇴부가 펴지며, 우측 단부와 x-x' 연장선이 이루는 반대편의 단부를 꼭지점으로 삼각형 형상을 갖는 안장부재의 전면부가 기울어지고,
왼쪽페달을 밟으면 y-y'면이 기울어지며, 오른쪽 페달운동에 의해 기울어졌던 우측면은 안장지지대의 우측단부의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며, 반복적인 페달링시 상기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탑승시 안장과 신체면의 접촉을 보다 넓게 하고,
페달링시 인체 동작곡선에 따른 착석라인을 형성하여 주행자는 쾌적한 안장에 탑승하는 효과를 보게 된다.
탄성부의 구성은 지지대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단면을 톱니형상으로 가공(210a)하거나, 용수철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방법(210b), 또는 자유탄성체인 고무블럭의 사용(210c), 장방형의 직육면체 판재형 단면을 갖는 철판의 결합(210d), 바이메탈과 같이 탄성계수가 다른 이질재의 결합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전면부 안장부재(110)와 후면부 안장부재(120)는 동일 소재부재, 혹은 이질 소재부재로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전면부 안장부재(110)와 후면부 안장부재(120)는 분리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 2 역시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나 경제성, 경량성,제조공수 절감등을 고려하면 안장지지대 철봉의 톱니형 단면가공과 일체형의 유연성 원단 소재의 안장부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도 8, 도 9, 도10, 도 11, 도12는 자전거 페달링시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기술적 방법으로 탄성과 복원력을 갖지만, 안장의 평면구조가 상이한 또 다른 예이다.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유연성 원단이 아니고, 성형방식으로 제작되어 일정형태로 고형화된 안장 후방부재(160)의 앞쪽 좌우측에;
연결부에 탄성체를 포함한 전방측 안장부재(150a, 150b)를 좌우측으로 덧대는 구조로써;
각각의 좌우측 전방부(150a, 150b)가 페달링에 따라 회절되고 복원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탄성회절부의 구성은 지지대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단면을 톱니형상으로 가공(210a)하거나, 용수철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방법(210b), 또는 자유탄성체인 고무블럭의 사용(210c), 장방형의 직육면체 판재형 단면을 갖는 철판의 결합(210d), 바이메탈과 같이 탄성계수가 다른 이질재의 결합등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서 예시된 c-c'단면을 포함한 측면도이다.
또한, 이때 전면부 안장부재(150a, 150b)와 후면부 안장부재(160)는 동일 소재부재, 혹은 이질 소재부재로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전면부 안장부재(150a, 150b)와 후면부 안장부재(160)는 분리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때 전면부 안장부재(150a, 150b)와 후면부 안장부재(160)의 연결 탄성체는 상부면의 일부(211, 212, 213, 214)가 되거나, 혹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전체면(211, 213, 214)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평상시 안장부재는 탄성저항없이 설치된 평형상태를 유지하다가 주행시 오른쪽 페달을 밟으면 우측 대퇴부의 신체운동곡선에 따라 안장의 우측 안장부재 전방부(150b)가 탄성회절부(211, 212, 213, 214)를 기준으로 밑으로 기울어지고 왼쪽페달을 밟으면 좌측의 안장부재 전방부(150a)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며 오른쪽 다리의 페달운동에 의해 기울어졌던 우측 안장부재 전방부(150b) 는 연결부의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원위치된다.
안장부재의 평면형상은 여러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바람직한 형태는 도 10, 도 11,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은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지된 자전거 안장의 실시 효과외에,
사용자의 가랑이에 끼우지 않는 안장부재의 개선으로 회음부에 통증이나 압박을 주지 않으며;
공지의 안장보다 현저히 넓은 신체접촉면을 제공하고, 동작하는 사용자의 신체곡선에 따라 형성되는 착석라인으로 체중 및 외부 충격을 분산지지하여 쾌적한 안장을 제공하고, 신체이탈을 최대한으로 방지하며;
경량화, 기계적, 구조적으로 단순화하고 제조공수를 줄여 경제적인 실시와 자전거 전체의 중량을 최대한 경감할 수 있다.

Claims (3)

  1. 자전거 본체의 안장기둥(400)에 공지된 결합부재(300)에 의해 결합되어지되;
    양측으로 평행한 결합부(203a, 203b)를 구성하며,
    자전거 진행방향의 단부 사이인 중간부(205a, 205b)는 연직상향방향으로 적절히 절곡되어 탄성을 갖고,
    자전거 진행방향의 좌우측으로 연장된 양단부(207a, 207b)를 구성하는, 철봉으로 구성된 안장지지대(200);
    상기 안장지지대의 연직상면을 덮고, 자전거의 진행방향보다 좌우횡축으로 현저히 폭이 넓어 장방형을 이루게 설치된 안장부재(10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우측 단부의 전방위치(211, 212, 213, 214)에 각각 탄성구조(210a, 210b, 210c, 210d)를 갖는 안장지지대와;
    상기 안장지지대의 윗면을 덮는 형상의 유연성 원단의 안장부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3. 공지된 안장기둥(400), 결합부재(300), 안장지지대에 의해 자전거 본체에 결합되어지되;
    자전거 진행방향의 좌우측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단일구조를 갖는 일체형의 안장 후방부재(160)와;
    상기 후방안장 부재의 좌우측 앞쪽에 각각 탄성과 복원력을 갖도록 연설되는 탄성체(210a, 210b 210c, 210d)를 포함한 전방측 안장부재(15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KR2020060006744U 2006-03-13 2006-03-13 자전거 안장 KR200417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44U KR200417509Y1 (ko) 2006-03-13 2006-03-13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44U KR200417509Y1 (ko) 2006-03-13 2006-03-13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509Y1 true KR200417509Y1 (ko) 2006-05-30

Family

ID=4176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744U KR200417509Y1 (ko) 2006-03-13 2006-03-13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5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16A2 (ko) * 2009-09-13 2011-03-17 Park Sung Oun 자전거 안장
KR102332986B1 (ko) * 2020-12-11 2021-12-01 송산 골반 지지대가 있는 이동수단 안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16A2 (ko) * 2009-09-13 2011-03-17 Park Sung Oun 자전거 안장
WO2011031016A3 (ko) * 2009-09-13 2011-08-25 Park Sung Oun 자전거 안장
KR101080740B1 (ko) * 2009-09-13 2011-11-07 박성운 자전거 안장
KR102332986B1 (ko) * 2020-12-11 2021-12-01 송산 골반 지지대가 있는 이동수단 안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755B1 (ko) 자전거 안장
US20040004375A1 (en) Bicycle saddle
US4063775A (en) Unitary cycle seat support unit
US4541668A (en) Cycle seat
US9016779B2 (en) Bicycle or ride on vehicle seats and saddles
US20050212337A1 (en) Bicycle saddle with a molded cushioning pad assembly
JPH06171566A (ja) 自転車またはエクササイザにおいて使用されるシートおよびサドル
KR20010041078A (ko) 자전거용 안장
CA2289246C (en) Bicycle saddle
US11932339B2 (en) Adjustable disarticulated saddle having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417509Y1 (ko) 자전거 안장
US20190202513A1 (en) Bicycle Saddle, Saddle Pad, and Method for Producing a Bicycle Saddle or Saddle Pad
KR200417492Y1 (ko) 자전거 안장
EP1156957B1 (en) Saddles for pedal-operated machines
US6302488B1 (en) Straddle type vehicle seat
KR100935441B1 (ko) 자전거 안장
AU2012262657B2 (en) Improvements to bicycle or ride on vehicle seats and saddles
JP3009845U (ja) 自転車用サドル
KR102283421B1 (ko) 골반교정 및 예방을 겸비한 기능성 자전거 안장
US572432A (en) maloney
KR102595587B1 (ko) 자전거용 보호대
US569977A (en) Lucien perisse
CN2642634Y (zh) 前凹式自行车鞍座
KR950007017Y1 (ko) 자전거용 안장
JP2024074716A (ja) 自転車用サドル及び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