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449Y1 -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449Y1
KR200417449Y1 KR2020060007077U KR20060007077U KR200417449Y1 KR 200417449 Y1 KR200417449 Y1 KR 200417449Y1 KR 2020060007077 U KR2020060007077 U KR 2020060007077U KR 20060007077 U KR20060007077 U KR 20060007077U KR 200417449 Y1 KR200417449 Y1 KR 200417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induction lamp
height
lamp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수
Original Assignee
안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수 filed Critical 안상수
Priority to KR2020060007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4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유도등본체의 외면에서 4면 모서리부분에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되, 각 높이조절장치는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볼트를 나사 결합하여서 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유도등본체의 외면에서 4면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각 높이조절장치는 유도등본체의 4면 모서리부분에 높이조절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높이조절볼트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유도등본체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높이조절볼트의 길이에 의해 유도등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유도등본체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4면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줌으로서 높이조절장치를 별도로 형성하고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와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유도등본체. 커버. 높이조절장치. 나사공. 높이조절볼트.

Description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A Emergency Guide Lamp}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 2: 유도등본체 3: 커버
4: 표시창 10: 높이조절장치 11: 높이조절지지대
12: 상측공 13: 나사부 14: 하측공
16: 높이조절볼트 17: 받침편
본 고안은 건물의 바닥에 설치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할 때에 대 피를 유도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의 내부에 매입 설치되는 유도등의 구조를 개선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종 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유도등본체의 외면에서 4면 모서리부분에는 높이조절장치를 각각 구비하되, 각 높이조절장치는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높이조절볼트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유도등본체를 수평으로 유지시키거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학교, 병원, 아파트, 백화점 등 같은 각종 건물과 지하도 및 지하철과 같이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공공건물 및 시설물에는 화재와 같은 재난 및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사람들을 비상구 또는 대피통로 측으로 안전하게 유도 및 대피시키기 위해서 유도등(비상유도표시등)과 같은 각종 안내장치를 매립하여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공공건물 및 시설물에서 화재와 같은 재난 및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사람들을 안전하게 유도 및 대피시키기 위한 종래의 유도등(비상유도표시등)으로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359722호(바닥에 설치하는 비상등) 및 실용신안등록 제20-367411호(바닥매립형 비상등)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상면이 개방되도록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의 상부에는 각종 안내표시모양 또는 문구가 그려지거나 새겨진 커버를 볼트스크루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구를 비롯하여 정류장치 및 스위치와 같은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매립형 비상등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케이스를 바닥 또는 벽체에 형성된 설치홈에 단순하게 매립(매입)시켜 설치하는 것에 불과하고, 설치홈에 매립되는 케이스를 표면에 근접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형성된 받침편(또는 받침돌)을 케이스의 배면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받침편(받침돌)으로 케이스의 배면을 받쳐 지지하더라도 케이스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케이스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높이가 낮은 배면 모서리부분을 받침편으로 받쳐 지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 역시 받침편(또는 받침돌)으로 케이스의 특정 모서리의 배면을 받쳐 지지하더라도 케이스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종래의 매립형 비상등은은 케이스의 배면을 받쳐 주기 위하여 별도의 받침편(받침돌)을 구비하고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들 받침편(받침돌)을 분실하게 되면 케이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각종 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유도등본체의 외면에서 4면 모서리부분에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되, 각 높이조절장치는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 볼트를 나사 결합하여서 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도등본체의 외면에서 4면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각 높이조절장치는 유도등본체의 4면 모서리부분에 높이조절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높이조절볼트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유도등본체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높이조절볼트의 길이에 의해 유도등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유도등본체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도등본체의 4면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줌으로서, 높이조절장치를 별도로 형성하고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와 번거로움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상면이 개방형으로 되고 내부가 공간부로 되며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유도등본체(2)의 상면에는 안내표시 및 안내문구가 표시창(4)에 표시된 커버(3)를 볼트스크루(6)에 의해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본체(2)의 4면 모서리부분에는 높이조절볼트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유도등본체(2)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된 높이조절장치(10)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1)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1)의 설치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1)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공간부로 된 유도등본체(2)를 형성하여 철재로 형성되는 것보다 무게를 가볍게 하였고, 유도등본체(2)의 외면에서 일면 이상에 개구부(5)를 형성하여 유도등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등과 스위치 및 각종 전자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커넥터 등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상기 유도등본체(2)의 상면에는 커버(3)를 볼트스크루(6)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커버(3)의 표시창(4)에는 안내표시 모양이나 안내문구 등을 인쇄와 같은 방법에 의해 표시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통상적인 매립유도등과 동일 유사한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유도등본체(2)에서 4면의 모서리부분에는 높이조절장치(10)를 각각 형성하였다.
상기 각 높이조절장치(10)는, 유도등본체(2)에서 4면의 모서리부분에는 높이조절지지대(11)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고, 각 높이조절지지대(11)의 중앙 수직선상에는 중앙의 나사공(13)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는 지름이 나사공(13)의 지름보다 큰 상측공(12)과 하측공(14)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하였으며, 하측공(14)의 하단에는 받침편장입공(15)을 넓게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높이조절지지대(11)의 나사공(13)에는 높이조절볼트(16)를 나사 결합하여, 높이조절볼트(16)의 머리부가 상측공(12)에 위치하고 나사봉이 하측공(14)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며, 높이조절볼트(16)의 하단에는 받침편(17)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받침편장입공(15)의 내부에 장전되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1)의 설치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1)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닥 또는 벽체에 형성된 설치홈(20)에 설치하게 되는데, 내부에 각종장치를 설치하고, 커버(3)를 장착시켜 이물질이 내부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태에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또는 벽체에 형성된 설치홈(20)에 유도등본체(2)을 인입시키고, 유도등본체(2)의 4면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높이조절장치(10)에서, 각 높이조절장치(10)의 높이조절볼트(16)를 드라이버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나사공(13)에 나사 결합된 높이조절볼트(16)는 상하(또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하측공(14) 의 외부(하측)로 인출 정도가 조정되며, 이때에 높이조절볼트(16)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받침편(17)도 함께 상하(또는 좌우)로 이동하여 설치홈(20)의 바닥면에 접촉(안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도등본체(2)의 4면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각 높이조절장치(10)의 높이조절볼트(16)를 조정하여 유도등본체(2)의 높낮이를 조정하거나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정하여 줌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1)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형 매립유도등(1)은 유도등본체(2)의 4면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각 높이조절장치(10)의 높이조절볼트(16)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설치홈(20)에 매립(매입)되는 유도등본체(2)의 높낮이와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은, 각종 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유도등본체의 외면에서 4면 모서리부분에는 높이조절장치를 구비 하되, 각 높이조절장치는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볼트를 나사 결합하여서 된 것으로서, 유도등본체의 외면에서 4면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각 높이조절장치는 유도등본체의 4면 모서리부분에 높이조절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높이조절볼트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유도등본체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높이조절볼트의 길이에 의해 유도등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유도등본체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4면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지지대에 높이조절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줌으로서 높이조절장치를 별도로 형성하고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와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면이 개방형으로 되고 내부가 공간부로 되며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유도등본체(2)의 상면에는 안내표시 및 안내문구가 표시창(4)에 표시된 커버(3)를 볼트스크루(6)에 의해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본체(2)의 4면 모서리부분에는 높이조절볼트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유도등본체(2)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된 높이조절장치(10)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도등본체(2)의 4면 모서리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10)는;
    유도등본체(2)에서 4면의 모서리부분에는 높이조절지지대(11)를 각각 일체로 형성한 것과;
    각 높이조절지지대(11)의 중앙 수직선상에는 중앙의 나사공(13)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는 지름이 나사공(13)의 지름보다 큰 상측공(12)과 하측공(14)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한 것과;
    상기된 높이조절지지대(11)의 나사공(13)에는 높이조절볼트(16)를 나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유도등본체(2)의 4면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높이조절지지 대(11)와, 높이조절지지대(11)의 나사공(13)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16)는;
    하측공(14)의 하단에는 받침편장입공(15)을 하측공(14)보다 넓게 형성한 것과;
    높이조절볼트(16)의 하단에는 받침편(17)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받침편장입공(15)의 내부에 장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KR2020060007077U 2006-03-16 2006-03-16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 KR200417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77U KR200417449Y1 (ko) 2006-03-16 2006-03-16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77U KR200417449Y1 (ko) 2006-03-16 2006-03-16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449Y1 true KR200417449Y1 (ko) 2006-05-29

Family

ID=4176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077U KR200417449Y1 (ko) 2006-03-16 2006-03-16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4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31A (ko) * 2017-06-27 2019-01-04 권순성 엘이디 광고벽체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31A (ko) * 2017-06-27 2019-01-04 권순성 엘이디 광고벽체 지지장치
KR101956243B1 (ko) * 2017-06-27 2019-03-08 권순성 엘이디 광고벽체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22479A (en) Air conditioner
CN203891273U (zh) 一种单元幕墙连接装置以及单元幕墙连接系统
US4354330A (en) Flat-cornered triangular medical column
BR9903730A (pt) Caixa de controle para um condicionador de ar
KR200417449Y1 (ko)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바닥매립형 유도등
KR101666928B1 (ko) 욕실용 천장재 고정브라켓
ATE303091T1 (de) Einhängevorrichtung
KR100725222B1 (ko) 높이조절이 되는 바닥용 비상등기구
KR20120003966U (ko) 엘이디 조명 일체형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수평 손잡이
JP2004003790A (ja) クリーンルーム用天井構造
CN207033088U (zh) 一种具有防止雨雪侵蚀的锁具
JP2005282147A (ja) 玄関備品の取付装置
CN215106832U (zh) Led发光防撞护墙板
JPH0139182Y2 (ko)
CN208077501U (zh) 一种方便开合的标识牌
CN212613295U (zh) 一种双曲面面板的安装结构
ES2347476T3 (es) Caja de suelo, especialmente para instalaciones electricas.
KR970003373Y1 (ko)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KR101967329B1 (ko) 건축외장재용 엘이디마감장식지지구
ITRN20030006V0 (it) Dispositivo di supporto sospeso,con organo di registrazione verticale, di un 'anta scorrevole
JP2003304979A (ja) 洗面化粧台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44911Y1 (ko) 디스플레이 티브의 천정 고정장치
CN2509985Y (zh) 一种底盆包容式蒸气淋浴房
CN2507378Y (zh) 一种顶盖包容式蒸气淋浴房
JPH0723453Y2 (ja) 衛生設備室用天井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