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198Y1 - 장롱용 문짝 - Google Patents

장롱용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198Y1
KR200417198Y1 KR2020060005521U KR20060005521U KR200417198Y1 KR 200417198 Y1 KR200417198 Y1 KR 200417198Y1 KR 2020060005521 U KR2020060005521 U KR 2020060005521U KR 20060005521 U KR20060005521 U KR 20060005521U KR 200417198 Y1 KR200417198 Y1 KR 200417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ecorative member
cabinet
bamboo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희
Original Assignee
정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희 filed Critical 정명희
Priority to KR2020060005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1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롱용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 형상의 장식부재를 문짝의 전면에 설치하여 독특한 심미감을 창출함과 아울러 장롱의 고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롱용 문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장롱의 전방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납공간을 커버하는 장롱용 문짝에 있어서, 문짝의 베이스판 전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대나무 돗자리의 대나무편 배열 패턴을 갖는 장식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장식부재의 테두리에는 장식부재가 유동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두리프레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용 문짝이 개시된다.
장롱, 문짝, 대나무, 장식부재, 문양판

Description

장롱용 문짝{Door for wardrob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롱용 문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장롱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문짝 110: 장식부재
111: 대나무편 112: 굽힘홈
120: 문양판 130: 테두리프레임
131: 결합턱 140: 손잡이
150: 베이스판 151: 장착홈
본 고안은 장롱용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 형상의 장식부재를 문짝의 전면에 설치하여 독특한 심미감을 창출함과 아울러 장롱의 고급화 를 구현할 수 있는 장롱용 문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은 원목이나 중밀도섬유판(MDF) 등으로 다양한 의류나 침구류를 효과적으로 정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제조된다. 특히 장롱의 전방에 설치되는 문짝은 물품을 수납 및 커버하는 역할과 함께 장롱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장롱용 문짝은 원목의 나뭇결 무늬를 그대로 이용하여 자연미가 연출되도록 하거나, 전면에 다양한 문양과 색상의 부조를 표현함으로써 장식효과를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롱용 문짝은 단순히 원목이나 인조합판 등으로 일률적인 장식을 하므로 자연적인 섬세함이나 차별화된 장식을 기대할 수 없고, 참신하면서 창의적인 디자인의 장롱용 문짝을 개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나무 형상의 장식부재를 문짝의 전면에 설치하여 독특한 심미감을 창출함과 아울러 장롱의 고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롱용 문짝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장롱의 전방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납공간을 커버하는 장롱용 문짝에 있어서, 문짝의 베이스판 전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대나무 돗자리의 대나무편 배열 패턴을 갖는 장식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장식부재의 테두리에는 장식부재가 유동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두리프레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롱용 문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을 장롱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식부재(110)와 테두리프레임(130)과 문양판(120)과 베이스판(15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베이스판(150)은 통상의 것으로, 장롱의 수납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전면에는 장착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면 일측은 장롱의 본체와 개폐가능하도록 별도의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장식부재(110)는 대나무 돗자리의 대나무편 배열 패턴을 갖도록 형성하여 문짝(100)을 장식하는 것으로, 베이스판(150)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홈(151)에 설치한다.
이러한 장식부재(110)는 줄기가 꼿꼿하고 둥근 대나무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갈래로 쪼개 나눠서 형성한 다수의 대나무편(111)을 장롱 전체와 조화를 이루는 색상으로 장식하고, 장착홈(151)에 각각의 대나무편(111) 마디가 지그재그 또는 하나 건너 하나씩 위치되도록 배열하면서 접착제 등으로 상호 밀착되게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나무편(111)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굽힘홈(112)을 형성한다. 이는 양단이 내측을 향해 유연하면서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대나무 고유의 특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굽힘홈(112)을 형성한 대나무편(111)은 문짝(100)과 평행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베이스판(150)의 장착홈(150)에 접착제 등으로 손쉽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식부재(110)는 대나무의 섬세함과 자연친화적이면서 차별화된 심미감을 제공하므로 문짝(100)의 전체적인 입체감을 가일층 향상시킴과 함께 장롱이 설치되는 장소의 분위기를 단아하고 고급스럽게 바꿀 수 있도록 한다.
테두리프레임(130)은 장식부재(110)가 외력에 의해 유동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베이스판(150)의 장착홈(151)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장식부재(110)의 테두리가 접촉되는 면에는 결합턱(1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턱(131)은 장식부재(110)의 가장자리가 각각 걸림 결합되도록 하므로 장식부재(110)는 외력의 발생시에도 이탈됨 없이 견고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두리프레임(130)은 장식부재(110)의 테두리를 보강하면서 깔끔하게 마감처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문짝(100)의 심미감과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문양판(120)은 장식부재(110)의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표면에 전통적이고 추상적인 문양을 양각 및 음각하여 베이스판(150)의 장착홈(151)에 접착제 등으로 밀착되도록 부착한 후, 그 테두리에는 테두리프레임(130)을 설치한다.
이러한 문양판(120)은 장식부재(110)와 동일하게 테두리프레임(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턱(131)을 통해 더욱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무늬 등을 갖는 문양판(120)은 문짝 표면의 단조로움을 탈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식부재(110)의 일측에는 다른 구성요소와 전체적인 조화를 잘 이루면서 문짝(100)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4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문짝(100)은 장롱의 수납공간 개방부에 상호 대응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므로 균형적인 입체감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문짝의 전면에 대나무 형상으로 도드라진 장식부재와 단아하면서 추상적인 문양판을 설치하므로 자연적인 섬세함과 독특한 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소재에 의한 단조로움을 탈피하는 자연스러운 입체감과 대나무가 함축하고 있는 꼿꼿하고 절제된 곡선미 및 동양적이면서 고풍적인 이미지의 깔끔한 조화를 통해 장롱의 고급화를 구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장롱의 전방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납공간을 커버하는 장롱용 문짝에 있어서,
    문짝의 베이스판 전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대나무 돗자리의 대나무편 배열 패턴을 갖는 장식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장식부재의 테두리에는 장식부재가 유동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두리프레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용 문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대나무편을 다수 부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용 문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는 위치에 문양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용 문짝.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프레임은 그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장식부재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용 문짝.
KR2020060005521U 2006-02-28 2006-02-28 장롱용 문짝 KR200417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521U KR200417198Y1 (ko) 2006-02-28 2006-02-28 장롱용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521U KR200417198Y1 (ko) 2006-02-28 2006-02-28 장롱용 문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198Y1 true KR200417198Y1 (ko) 2006-05-24

Family

ID=4176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521U KR200417198Y1 (ko) 2006-02-28 2006-02-28 장롱용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1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927S (en) Washing machine
CA123940S (en) Cabinet handle
CA110065S (en) Cabinet
CA114923S (en) Cabinet
KR200417198Y1 (ko) 장롱용 문짝
CA112478S (en) Product display tray
USD560404S1 (en) Pattern for cabinet door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KR200457371Y1 (ko) 가구용 외장패널
KR200422701Y1 (ko) 허니콤을 이용한 석재 장식판재
KR20130002748U (ko) 장식장
KR20050093754A (ko) 가구용 장식도어
KR200417326Y1 (ko) 가구용 곡면 장식 판넬
KR101010820B1 (ko)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KR20080004610U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용 장식테
KR200206796Y1 (ko) 장롱 문짝
KR200406555Y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100579818B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314961Y1 (ko) 장식천을 포함하는 가구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KR200252513Y1 (ko) 장롱
KR100624096B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441247Y1 (ko) 액자
KR200377769Y1 (ko) 장식기능을 갖는 가구용 손잡이
KR200369060Y1 (ko) 가구의 장식판 부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