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820B1 -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820B1
KR101010820B1 KR1020100071669A KR20100071669A KR101010820B1 KR 101010820 B1 KR101010820 B1 KR 101010820B1 KR 1020100071669 A KR1020100071669 A KR 1020100071669A KR 20100071669 A KR20100071669 A KR 20100071669A KR 101010820 B1 KR101010820 B1 KR 10101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fabric
cover
opening
fabric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우
Original Assignee
장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우 filed Critical 장종우
Priority to KR102010007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실장이나 서랍장 등으로 된 정형화된 형태의 가구에 대하여 그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전체를 직물을 소재로 재봉하여 된 커버로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가구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의 단순함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고 직물이 갖춘 색상과 문양 및 질감에 의해 다양한 외관미를 연출할 수 있는 동시에 가구의 리폼(reform)을 손쉽고도 새롭게 할 수 있게 한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즉, 가구의 외관을 마감하기 위하여 어느 한 종류의 가구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구의 노출부위를 감쌀 수 있는 직물을 준비한 후 가구의 형태에 맞추어 재단 및 재봉을 하되 가구를 씌울 수 있도록 개방부를 구비한 직물커버를 제작하며, 상기 직물커버의 개방부 입구부위를 눈에 띄지 않는 가구의 저면 또는 문이나 서랍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에 부착되도록 개방부의 입구부위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가구의 소정 부위에 암, 수의 메직테이프를 각각 부설하며, 상기 선택된 가구에 개방부를 통해 직물커버를 밀착되게 씌운 후 입구부위의 내측면과 가구에 각각 부설된 메직테이프를 상호 부착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직물이 갖춘 색상과 문양 및 질감이 가구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Wrapping process method of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장이나 서랍장 등으로 된 정형화된 형태의 가구에 대하여 그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전체를 직물을 소재로 재봉하여 된 커버로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가구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의 단순함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고 직물이 갖춘 색상과 문양 및 질감에 의해 다양한 외관미를 연출할 수 있는 동시에 가구의 리폼(reform)을 손쉽고도 새롭게 할 수 있게 한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이나 장식장 또는 거실장 등으로 된 가구는 대부분이 목재를 주재료로 하여 제작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구는 목재의 무늬와 조각을 활용하여 외관을 치장하거나 인조로 가공된 무늬목 또는 패널을 제조한 후 가구의 소재로 사용하였다.
종래의 가구에 사용되는 패널의 일 예로서, 합판 또는 압축판 등으로 된 모재의 어느 한 면에 바탕면이 되는 기층을 형성하여 그 표면에 다양한 문양과 색상으로 얇게 직조된 직물을 밀착되게 접착하고, 상기 직물의 표면에는 투명 도는 반투명의 코팅층을 형성하여 기층과의 사이에 위치한 직물의 모양을 투영되게 한 가구용 패널의 표면 가공방법이 특허 제338509호로 제안된 바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419946호에 의하면, 싱크대와 수납장 및 장식장 등의 가구에 구비된 문짝의 전면에 해당하는 넓이로 형성된 소정두께의 후판에 다양한 색상의 도안이나 그림이 형성된 패브릭을 밀착되게 한 후 상기 패브릭의 미감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투명창으로 커버되도록 하여 된 액자형 문짝이 등장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직물을 이용한 가구용 패널은 합판이나 압축판 등의 인조 목재의 표면에 직물을 접착한 후 그 표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코팅층을 형성한 이른바, 화장판(化粧板)으로 가구의 외장패널로 사용하게 된 것으로, 패브릭을 투명창으로 커버되게 한 액자형 문짝의 경우와 동일하게 직물이 가진 직조문양과 색상은 표출이 가능하였으나 직물의 질감을 느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마감된 표면이 코팅층 또는 투명창으로 처리됨으로 인하여 직물 고유의 촉감을 상실하게 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패널로 가구를 제작하여 사용하던 중 리폼을 하게될 경우, 가구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제거하여 페인팅이 가능하도록 손질을 한 후 소기의 리폼 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가구에서 외관을 치장할 때 발생되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거실장이나 서랍장 등으로 된 정형화된 형태의 가구를 제작 또는 리폼할 때 그 표면을 다양한 색상과 문양 및 질감을 갖춘 직물재로 마감처리하여 다양한 외관미를 연출할 수 있는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가구의 외관을 마감하기 위하여 어느 한 종류의 가구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구의 노출부위를 감쌀 수 있는 직물을 준비한 후 가구의 형태에 맞추어 재단 및 재봉을 하되 가구를 씌울 수 있도록 개방부를 구비한 직물커버를 제작하며, 상기 직물커버의 개방부 입구부위를 눈에 띄지 않는 가구의 저면 또는 문이나 서랍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에 부착되도록 개방부의 입구부위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가구의 소정 부위에 암, 수의 메직테이프를 각각 부설하며, 상기 선택된 가구에 개방부를 통해 직물커버를 밀착되게 씌운 후 입구부위의 내측면과 가구에 각각 부설된 메직테이프를 상호 부착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직물이 갖춘 색상과 문양 및 질감이 가구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구 외장 처리방법은 가구를 최초로 제작하는 경우는 물론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가구에 대하여도 그에 맞는 직물커버를 제작하여 가구의 외장을 마감처리하게 됨으로써, 기존에 정형화된 형태의 가구 외관에 비해 새로운 외관미와 독창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안에 구비된 가구를 일일이 교체하지 않고도 해당 가구에 맞는 직물커버를 추후에 주문제작한 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가구를 감싸는 직물커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a 및 2b는 상기 가구에 직물커버가 씌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가구에 직물커버를 씌운 후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기 다른 실시예의 가구를 감싸는 직물커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가구를 감싸는 직물커버의 분리상태와 그 씌운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집안에서 사용하는 거실장이나 서랍장 및 상업적으로 물품을 전시하는 진열대 등으로 된 정형화된 형태로 제작된 각종 가구의 외관을 직물로 마감처리 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의 형태로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육면체로 된 거실장, 도 4에서와 같은 원통체의 소품, 도 5에서와 같은 테이블,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문이 달린 장식장 등으로부터 어느 한 종류의 가구(F)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가구(F)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감싸기 위한 직물을 준비한 후 상기 직물을 가구의 형태에 맞추어 재단 및 재봉을 하여 직물커버(10)를 제작하되, 이때 상기 직물커버(10)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는 가구를 씌울 수 있도록 개방부(20)를 구비되게 한다.
직물커버(10)는 가구(F)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람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사용 특성상 다양한 색상과 문양이 구비되면서 부드러운 질감을 갖는 소재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직물커버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인조보석이나 금속재의 장식을 부착한 문장(12) 또는 주문자의 로고 등을 형성하여 가구의 외관미에 독창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 직물커버(10)에 구비된 개방부(20)를 통해 가구(F)에 직물커버(10)를 씌울 때 개방부(20)를 형성하는 직물커버(10)의 입구부위(11)는 사람의 눈에 띄지 않는 가구의 저면 또는 문이나 서랍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 등 외부로 노출되는 면으로부터 꺾여진 상태에서 부착되도록 입구부위(11)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가구의 소정 부위에 암, 수의 메직테이프(30)를 각각 부설하며, 상기 가구(F)에 직물커버(10)를 밀착되게 씌운 후 그 입구부위(11)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부위의 가구(F)에 각각 부설된 메직테이프(30)를 상호 부착 고정되게 하여 직물이 갖춘 색상과 문양 및 질감이 가구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 것이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직물커버(10)의 하부에 구비된 개방부(20)를 통해 가구(F)의 네 측면을 감싸지게 직물커버(10)를 씌운 후 도 2a 및 2b에서와 같이, 개방부(20)를 형성하는 직물커버(10)의 입구부위(11)를 사람의 눈에 띄지 않는 가구의 저면으로 꺾여지도록 하여 입구부위(11)의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부위의 가구(F)에 각각 부설된 메직테이프(30)를 상호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도 3의 사용상태 사시도에서와 같이, 가구의 외관을 직물로 마감 처리하게 되어 기존의 가구와 색다른 미감과 독창성을 연출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기 다른 실시예로서, 가구(F)의 외관이 원통 형태로 된 소품인 경우와 테이블인 경우에는 그 형태에 맞추어 직물커버(10)를 제작한 후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게 된다.
한편, 도 6a 및 6b에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구(F)의 형태가 문(d)이 달린 장식장인 경우에는 가구(F)에서 문(d) 부위와 개방부(20)를 제외한 몸체를 감싸는 직물커버(10)를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제작하되 문에 해당되는 부위의 직물커버(10)에는 별도의 개방부를 형성하여 그 입구부위를 문을 닫았을 때 가려지는 부위로 꺾여진 상태에서 암, 수 메직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며, 위에서 제외되었던 문(d)에 대해서도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커버를 제작하여 사람의 눈에 띄지 않는 문의 후면 가장자리에 부착 고정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구의 형태와 구조가 각기 다른 경우에도 상기 일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가구의 외관을 마감하는 직물커버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상기 각 실시예의 범주에서 변화 가능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방법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은 가구를 최초로 제작 판매할 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가구에 대하여도 주문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집안에 구비된 가구를 일일이 교체하지 않고도 해당 가구에 맞는 직물커버를 추후에 주문제작한 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종류의 가구를 일치된 색상과 문양 및 질감으로 된 직물을 사용하여 마감처리 함으로써 가구의 독창성과 외관미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10 : 직물커버 11 : 입구부위
12 : 문장 20 : 개방부
30 : 메직테이프
F : 가구
d : 문

Claims (1)

  1. 거실장이나 서랍장 및 진열대로 된 각종 가구의 외관을 마감하기 위하여 어느 한 종류의 가구(F)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가구(F)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감쌀 수 있는 직물을 준비한 후 가구의 형태에 맞추어 재단 및 재봉을 하되 가구를 씌울 수 있도록 개방부(20)를 구비한 직물커버(10)를 제작하며, 상기 직물커버(10)의 개방부(20)를 형성하는 입구부위(11)를 눈에 띄지 않는 가구의 저면 또는 문이나 서랍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에 부착되도록 직물커버(10)의 입구부위(11) 내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가구(F)의 소정 부위에 암, 수의 메직테이프(30)를 각각 부설하며, 상기 선택된 가구에 개방부(20)를 통해 직물커버(10)를 밀착되게 씌운 후 입구부위(11)의 내측면과 가구(F)에 각각 부설된 메직테이프(30)를 상호 부착 고정되게 하여 직물이 갖춘 색상과 문양 및 질감이 가구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KR1020100071669A 2010-07-23 2010-07-23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KR101010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669A KR101010820B1 (ko) 2010-07-23 2010-07-23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669A KR101010820B1 (ko) 2010-07-23 2010-07-23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820B1 true KR101010820B1 (ko) 2011-01-27

Family

ID=4361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669A KR101010820B1 (ko) 2010-07-23 2010-07-23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353U (ko) 2017-01-25 2018-08-02 김미정 가구 리폼용 패널의 장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283A (ja) 1999-07-08 2001-01-23 Kokuyo Co Ltd 免震装置付家具
JP3142791U (ja) 2008-04-15 2008-06-26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化粧板及びサービスカウン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283A (ja) 1999-07-08 2001-01-23 Kokuyo Co Ltd 免震装置付家具
JP3142791U (ja) 2008-04-15 2008-06-26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化粧板及びサービスカウン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353U (ko) 2017-01-25 2018-08-02 김미정 가구 리폼용 패널의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820B1 (ko) 가구의 외장 처리방법
KR100768253B1 (ko) 요철형태의 장식무늬를 갖는 벽지형 장식판재
CN215914043U (zh) 一种可自由搭配的艺术画框
KR20210087746A (ko) 가구의 외장 처리법
KR200296927Y1 (ko) 레이저가공된 무늬를 구비한 문짝구조
JP3187473U (ja) 装飾パネル
KR200314961Y1 (ko) 장식천을 포함하는 가구
KR100576349B1 (ko) 자개가루 칼라판의 제작방법
KR20090046595A (ko) 가구무늬 형성방법
KR100886563B1 (ko) 인테리어용패널 및 그 제작방법
CN216405804U (zh) 一种绿化幕墙
KR20080001119U (ko) 기능성 도어
KR200441247Y1 (ko) 액자
CN219191540U (zh) 一种用于全品类活动家装的复合饰面人造板
CN217645829U (zh) 一种外饰面软包标准化制作的造型城堡
CN113520112A (zh) 一种可自由搭配的艺术画框
KR100624096B1 (ko) 가구용 손잡이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KR200279208Y1 (ko) 홈 도어
KR200417198Y1 (ko) 장롱용 문짝
KR100579818B1 (ko) 가구용 손잡이
JP3116008U (ja) 装飾用ミニチュア屏風
CN207453392U (zh) 一种单边收口条
JP3027316U (ja) 家 具
Priestman Art and economy in home dec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