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749Y1 - 지압벤치 - Google Patents

지압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749Y1
KR200416749Y1 KR2020060004111U KR20060004111U KR200416749Y1 KR 200416749 Y1 KR200416749 Y1 KR 200416749Y1 KR 2020060004111 U KR2020060004111 U KR 2020060004111U KR 20060004111 U KR20060004111 U KR 20060004111U KR 200416749 Y1 KR200416749 Y1 KR 200416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frame
rods
bench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춘
Original Assignee
이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춘 filed Critical 이희춘
Priority to KR2020060004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7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8Leg for the upper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 내외에 비치되는 벤치의 등받이부 및 좌석부에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지압봉을 구비하여 벤치에서 휴식을 취함과 동시에 혈액순환을 위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한 지압벤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측으로 형성되는 전, 후방 다리프레임과, 중앙측에 팔걸이 프레임이 형성되는 중앙프레임과, 상기 후방 다리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양측의 지지부와, 상기 양측 지지부의 등받이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상, 하측 등받이봉과 상기 상, 하측 등받이 봉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압봉으로 이루어지는 등받이부와, 상기 양측 지지부의 중앙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좌석봉으로 이루어지는 좌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벤치, 지압돌기, 지압봉, 혈액순환, 프레임

Description

지압벤치{MASSAGE BENCH}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벤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벤치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벤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압벤치
10 : 지지부
12 : 다리프레임
14 : 중앙프레임
16 : 등받이프레임
20 : 등받이부
22 : 상측 등받이봉
24 : 하측 등받이봉
26 : 지압봉
30 : 좌석부
32 : 좌석봉
34 : 지압좌석봉
본 고안은 지압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 내외에 비치되는 벤치의 등받이부 및 좌석부에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지압봉을 구비하여 벤치에서 휴식을 취함과 동시에 혈액순환을 위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한 지압벤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노화현상이나 직업에 따라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하게 되고,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함에 따라 신경계통의 질병이 발생하게 되고 직업능률이 저하되고 생활하는데있어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와 함께 근육 및 경혈부위의 긴장된 근육을 풀어줘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지압요법이다.
지압이란 글자 그대로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몸의 일정한 부위에 압력을 가하는 기법이다.
지압의 목적은 먼저 교정이다. 즉, 비정상적인 긴장이나 뻐근함, 관절의 일그러짐, 특히 척추골이 연접되는 등뼈의 일그러짐 등을 교정하여 몸안의 여러기관, 내장의 형태와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둘째는 반사이다. 피부를 통해 근육에 가해지는 압력은 일종의 자극이 되므로 이에 의해 신체에 반사작용을 일으키고 몸의 컨디션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지압에 의해 적절한 지극을 주면 자율신경을 통해 내분비계에도 영향을 미쳐 생체유지, 즉 건겅 유지의 역할을 완전하게 해 준다.
이렇게 지압을 하면 몸안의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노폐물이 충분히 배설되어 산성화를 방지한다. 따라서 피로가 쉽게 회복되고 나아가서는 노화를 방지한다. 이와 같이 지압은 피로회복, 정력 강화의 적극적인 건강증진 방법이다.
동시에 교정과 반사 작용을 일정한 질병상태에 응용함으로써 질병의 치료 또는 치료촉진을 도모하는 방법도 된다.
이러한 지압요법은 지압사에게 받거나,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지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지압장치가 마련된 지압의자나 기구 등에서 받게 되는데, 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게 되므로 일반인들이 유용하게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인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공공장소의 실, 내외에 비치되는 벤치의 등받이부 및 좌석부에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지압봉을 구비하여 벤치에서 휴식을 취함과 동시에 혈액순환을 위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한 지압벤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하측으로 형성되는 전, 후방 다리프레임과, 중앙측에 팔걸이 프레임이 형성되는 중앙프레임과, 상기 후방 다리프레임으로부터 상측 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양측의 지지부와, 상기 양측 지지부의 등받이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상, 하측 등받이봉과 상기 상, 하측 등받이 봉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압봉으로 이루어지는 등받이부와, 상기 양측 지지부의 중앙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좌석봉으로 이루어지는 좌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벤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지압봉 상에는 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봉 양단에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기 상, 하측 등받이봉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상측 등받이봉 상에는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다수의 좌석봉 중, 하나 이상은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지압좌석봉인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벤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벤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벤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은 지압효과를 발휘하는 지압벤치(1)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 형성되는 전, 후방 다리프레임(12a,12b)과, 중앙측에 팔걸이 프레임(14a)이 형성되는 중앙프레임(14)과, 상기 후방 다리프레임(12b)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는 양측의 지지부(10)와, 상기 양측 지지부(10)의 등받이프레임(16)에 각각 체결되는 상, 하측 등받이봉(22,24)과 상기 상, 하측 등받이봉(22,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압봉(26)으로 이루어지는 등받이부(20)와, 상기 양측 지지부(10)의 중앙프레임(14)에 각각 체결되는 좌석봉(32)으로 이루어지는 좌석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10)는 하측으로 형성되는 전, 후방 다리프레임(12a,12b)과, 중앙측에 팔걸이 프레임(14a)이 형성되는 중앙프레임(14)과, 상기 후방 다리프레임(12b)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압벤치(1)의 양측에 구비되어 그 내측에 추후에 설명될 등받이부(20) 및 좌석부(30)를 체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하에는, 지압벤치(1)의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0)에 있어서 양측의 구조, 형상 및 역할이 동일하므로 양측의 지지부(10) 중 일측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술한 지지부(10)의 다리프레임(12)은 각각 전, 후방 다리프레임(12a,12b)으로 형성되는데 전술한 각각의 전, 후방 다리프레임(12a,12b)의 단부에는 지압벤치(1)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앵커볼트(13b)를 포함하는 지지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13a)가 형성된 브라켓(13)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다리프레임(12)의 상측에는 중앙프레임(14)이 형성되는데, 전술한 중앙프레임(14)은 내측에 체결공(14c)이 형성된 플렌지(14b)가 연장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좌석부(30)가 용이하게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중앙프레임(14)의 최외측 상에는 추후에 설명될 지압좌석봉(34)의 양단과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14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술한 중앙프레임(14)의 최외측 상에 체결되는 지압좌석봉(34)은 고정 체결될 수도 있고,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중앙프레임(14)에는 팔걸이프레임(14a)이 형성되어 지압벤치(1)의 이용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후방 다리프레임(12b)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16)은 전술한 중앙프레임(14)과 같이 체결공(16b)이 형성된 플렌지(16a)가 연장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하측 등받이봉(24)이 용이하게 고정 체결되도록 하고, 전술한 등받이프레임(16)의 최상측에는 상측 등받이봉(22)의 양단과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16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지지부(10)의 등받이프레임(16)에 상, 하측 등받이봉(22,24)이 각각 체결되고, 전술한 상, 하측 등받이봉(22,24)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압봉(26)이 체결된다.
전술한 상, 하측 등받이봉(22,24) 중, 상측 등받이봉(22)은 전술한 등받이프레임(16)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체결공(16b)과 체결볼트(15)에 의해 고정 체결되고, 하측 등받이봉(24)은 전술한 등받이프레임(16)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플렌지(16a)의 체결공(16b)과 체결볼트(15)에 의해 고정 체결된다.
전술한 상측 등받이봉(22) 상에는 지압돌기(22b)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지압돌기(22b)는 지압벤치(1) 사용자의 목 부위 또는 등 위쪽을 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지압돌기(22b)는 상측 등받이봉(22) 전체에 결쳐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전술한 상측 등받이봉(22)은 원통형, 및 다양한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벤치(1)에서는 상측 등받이봉(22)의 양단이 전술한 등받이프레임(16) 상에 체결볼트(15)에 의해 고정 체결되지만,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단이 고정 체결된 상측 등받이봉(22)의 내부가 지압부를 구비하여 고정 체결된 양단과 별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상, 하측 등받이봉(22,24) 상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끼움홈(22a,24a)이 각각 형성되는데, 전술한 끼움홈(22a,24a)에는 전술한 지압봉(26)의 양단에 형성되는 회전축(26b)이 끼워져 전술한 지압봉(26)을 축회전가능토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지압봉(26) 상에는 지압돌기(26a)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지압돌기(26a)는 지압벤치(1) 사용자의 등 부분을 전체적으로 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지압돌기(26a)가 형성되는 지압봉(26)은 전술한 상, 하측 등받이봉 (22,24) 내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회전축(26b)과 끼움홈(22a,24a)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지만,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부만 회전, 일부는 고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모두 고정되도록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지압봉(26)이 형상 또한 원통형 및 다양한 각진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회전축이 지압봉(26)을 관통하며 양측의 상, 하측 등받이봉(22,24)에 고정되어, 지압봉(26)이 회전축 상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중앙프레임(14)의 내측에는 체결공(14c)이 형성된 플렌지(14b)가 연장 형성되어 좌석봉(32)이 체결볼트(15)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 체결되고, 전술한 중앙프레임(14)의 최외측 상에 형성되는 체결공(14c)에는 전술한 지압좌석봉(34)이 체결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지압좌석봉(34)는 전술한 중앙프레임(14)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고, 고정 체결될 수도 있으며, 양단은 고정, 내부는 양단과 별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지압좌석봉(34) 상에는 지압돌기(34a)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지압돌기(34a)는 지압벤치(1) 사용자의 허벅다리 뒷부분을 전체적으로 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지압좌석봉(34) 역시, 전술한 상측 등받이봉(22) 및 지압봉(26)과 같이 원통형 및 다양한 각진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외측에 체결되는 좌석봉(32) 뿐만 아니라 다수의 좌석봉(32)이 지압돌기(34a)가 형성되는 지압좌석봉(34)으로 구비되어 허벅다리 뒷부분뿐만 아니라 엉덩이 부위까지 지압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압벤치(1)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인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공공장소의 실, 내외에 지압벤치(1)를 비치한다.
이때, 지압벤치(1)는 브라켓(13)에 의해 지면에 지지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앵커볼트(13b)를 통해 지면에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지압벤치(1)에 앉아서 좌, 우로 움직이거나, 등 부분을 가압하여 등받이부(20)의 지압봉(26)을 회전시킴으로써 등 부분을 전체적으로 지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등받이부(20)를 향해 목 부위나 등의 위쪽을 를 가압하여 상측 등받이봉(22)을 통해 목 부위나 등의 위쪽을 지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허벅다리 뒷부분을 가압하여 고정 체결된 지압좌석봉(34)를 통해 허벅다리 뒷부분을 지압할 수 있는데,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경우, 허벅다리를 상, 하로 움직여 지압좌석봉(34)을 회전시키면서 지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압벤치에 의하면, 일반인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공공장소의 실, 내외에 비치되는 벤치의 등받이부 및 좌석부에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지압봉을 구비하여 벤치에서 휴식을 취함과 동시에 혈액순환을 위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측으로 형성되는 전, 후방 다리프레임과, 중앙측에 팔걸이 프레임이 형성되는 중앙프레임과, 상기 후방 다리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양측의 지지부;
    상기 양측 지지부의 등받이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상, 하측 등받이봉과 상기 상, 하측 등받이 봉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압봉으로 이루어지는 등받이부; 및
    상기 양측 지지부의 중앙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는 좌석봉으로 이루어지는 좌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벤치.
  2. 재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봉 상에는 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봉 양단에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기 상, 하측 등받이봉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벤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등받이봉 상에는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벤 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좌석봉 중, 하나 이상은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지압좌석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벤치.
KR2020060004111U 2006-02-14 2006-02-14 지압벤치 KR200416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11U KR200416749Y1 (ko) 2006-02-14 2006-02-14 지압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11U KR200416749Y1 (ko) 2006-02-14 2006-02-14 지압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749Y1 true KR200416749Y1 (ko) 2006-05-22

Family

ID=4176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11U KR200416749Y1 (ko) 2006-02-14 2006-02-14 지압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7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8101B1 (ja) 下肢健康器具
JP2011167501A (ja) 脊椎矯正用ホイールバック装置
US20170027800A1 (en) Spinal Therapy Apparatus
US20130079823A1 (en) Chiropractic machine
CN108577296A (zh) 一种适用于计算机软件开发人员用可调节的办公椅
US9144317B2 (en) Functional chair
CN103610559A (zh) 伸弯腰腹养生椅
KR20090081976A (ko) 의자 착탈용 마사지 등받이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200416749Y1 (ko) 지압벤치
KR101712522B1 (ko) 척추 교정용 파동 및 진동기
KR20110130796A (ko) 자세교정용 의자
RU175799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кресло
KR20220078844A (ko) 발마사지 기능을 포함하는 마사지 의자
CN2580921Y (zh) 多功能保健治疗椅
KR20110071943A (ko) 신체균형을 위한 쿠션부재
TWI784846B (zh) 具膝窩按摩之按摩椅結構
RU1006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кресло-качалка
JP3119624U (ja) ベンチ
JP2002085516A (ja) 健康具
KR100718647B1 (ko) 치료보조용 척추 운동기
KR102668860B1 (ko) 의자용 요추 지지 등받이장치
KR200366073Y1 (ko) 다인용 지압 의자
KR200401276Y1 (ko) 치료보조용 척추 운동기
JP2509877B2 (ja) 人体ひずみ整復い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