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627Y1 -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627Y1
KR200416627Y1 KR2020060004816U KR20060004816U KR200416627Y1 KR 200416627 Y1 KR200416627 Y1 KR 200416627Y1 KR 2020060004816 U KR2020060004816 U KR 2020060004816U KR 20060004816 U KR20060004816 U KR 20060004816U KR 200416627 Y1 KR200416627 Y1 KR 200416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wire rope
fixing device
groov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2020060004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면에서 낙석 등을 방지하기 위한 낙석방지망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고정장치(조립구)에 관한 것으로, 고정장치의 유동을 방지하고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을 높이며, 설치작업이 용이한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과 하면에 제 1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고정구와, 상기 제 1 고정구의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에 연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고정구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홈과 함께 상기 제 1 와이어의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제 2 홈이 상면에 형성되며, 하면에 제 2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 3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고정구와, 상기 제 2 고정구의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에 연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고정구에 체결되어 상기 제 3 홈과 함께 상기 제 2 와이어의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제 4 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고정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을 통해 상기 제 1 고정구, 제 2 고정구 및 제 3 고정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FIXING DEVICE FOR WIRE ROP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 와이어로프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와이어로프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사면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조립구)를 구성하는 2개의 판형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조립구)에 와이어로프가 삽입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장치 2: 제 1 고정구
3: 제 2 고정구 4: 제 3 고정구
5: U형 볼트 6a,6b,6c: 체결구멍
7: 제 1 홈 8: 제 2 홈
9: 제 3 홈 10: 제 4 홈
11: 너트 12: U형 볼트홈
13: 제 1 와이어로프 구멍 14: 제 2 와이어로프 구멍
15: 고정장치 (제 2 실시예) 16: 제 2 고정구 (삼각형상)
17: 앵커체결구멍 19: 앵커볼트
21 : 제 1 와이어로프 22: 제 2 와이어로프
본 고안은 사면에서 낙석 등을 방지하기 위한 낙석방지망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와이어로프의 이탈을 방지하고 교차지점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낙석방지망 고정장치(조립구)에 관한 것이다.
낙석방지망은 절토 사면이 암 절개지 이거나 자갈, 혼합토사 등으로 풍화작용이나, 강우나 나무뿌리 작용 등에 의해 불연속면의 이완이 심화되어 낙석 발생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P.V.C 코팅망으로 덮어 낙석을 예방하는 공법으로 방지망의 자중과 이완된 암석의 포획효과에 의해 암석의 운동 에너지를 억제하는 시설이다.
한편, 낙석방지망은 철망과 절개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완암편을 절개면과 망 사이에 붙잡아두는 역할을 하는 비포켓식 낙석방지망과 기둥로프, 지주, 철망과 와이어로프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하는 낙석을 철망에 충돌 시킴으로써 낙석의 에너지를 감소하도록 하여 낙석이 도로쪽으로 튀지 않고 낙석방지망 하부로 흘러 내리도록 유도하는 포켓식 낙석방지망으로 구분된다.
상기 2가지 낙석방지망 모두 철망 위에 가로와 세로에 적절한 간격으로 와이어로프를 설치하며 종로프와 횡로프의 각 교차점을 고정장치(조립구)로 엮어 와이어로프를 고정하여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조립구)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십자형상의 종로프용 홈(105)과 횡로프용 홈(104)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판형부재(102,103)를 이 판형부재(102,103)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10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조립된다. 이와 같이 체결하면 고정장치(100)의 내부에는 와이어로프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멍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100)에 종로프(108)와 횡로프(107)가 삽입되어 와이어로프의 교차점이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립구(100)에는 조립구(10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앵커볼트용 체결구멍(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고정장치(100)의 경우, 고정장치(100) 내에 종횡의 와이어로프(107,108)가 함께 고정되어 있어, 와이어로프(107,108) 간의 접촉면에서는 견고한 고정력이 발생하지 않고 미끄러지기 쉬워, 와이어로프에 하중이 걸리게 되면, 고정장치(100)가 와이어로프가 받는 응력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문제가 있어, 고정장치(100)가 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낙석방지망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100)의 경우 근본적으로 와이어로프 간의 접촉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로프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려워, 교차점에서 와이어로프의 안정된 지지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정장치(100)의 경우 크기가 크기 때문에 재료비에 대한 부담도 큰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낙석방지망 조립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와이어로프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와이어로프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장치(조립구)가 유동되지 않으며, 또한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시공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전체적인 사이즈가 작아 재료비도 절감되는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과 하면에 제 1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고정구와, 상기 제 1 고정구의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에 연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고정구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홈과 함께 상기 제 1 와이어의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제 2 홈이 상면에 형성되며, 하면에 제 2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 3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고정구와, 상기 제 2 고정구의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에 연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고정구에 체결되어 상기 제 3 홈과 함께 상기 제 2 와이어의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제 4 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고정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을 통해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고정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는 3개의 고정구로 형성되며 제 2 고정구가 제 1 고정구 및 제 3 고정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간극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에서 와이어로프는 상기 고정구들에 의해서만 고정되며, 와이어로프와 와이어로프 간에 접촉하는 부분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조립구와 같이 2개의 와이어로프를 십자형상의 홈에 함께 배치함에 따른 조립구의 유동이나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의 저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의 삽입구멍과 제 2 와이어의 삽입구멍은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면, 와이어로프의 교차점에 설치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멍은 제 1 고정구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U자형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U자형 볼트를 상기 체결구멍을 통해 상기 제 3 고정구의 하측으로부터 제 2 고정구 및 제 1 고정구에 삽입하여 상기 너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체결구멍을 고정구의 양측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균일하게 와이어로프를 고정할 수 있으며, U자형 볼트를 이용하게 되면, 고정장치의 체결시간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구, 제 2 고정구 또는 제 3 고정구 중 하나 이상에 지반 또는 암반에 매설되는 앵커가 체결되는 앵커체결구멍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로프용 고정장치는 고정식(비포켓)식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의 고정장치(조립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결구멍은 제 2 고정구에 형성되며, 제 2 고정구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 2 고정구를 삼각형의 형상으로 하면 상기 체결구멍 및 앵커체결구멍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또는 제 4 홈의 표면에 미세돌기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를 형성시키면 상기 홈에 고정되는 와이어로프의 움직임을 견고하게 막을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 와이어로프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1)는, 제 1 고정구(2), 제 2 고정구(3), 제 3 고정구(4) 및 U형 볼트(5) 및 너트(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고정구(2)는 양 측부가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판 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양 측부에 U형 볼트(5)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멍(6a)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제 1 와이어로프(21)가 지나갈 수 있도록 제 1 홈(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고정구(3)도 양 측부가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판 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양 측부에 U형 볼트(5)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멍(6b)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제 1 홈(7)과 대응하는 제 2 홈(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고정구(2)와 제 2 고정구(3)가 결합되면, 상기 제 1 와이어로프(21)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제 1 와이어로프 구멍(1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구(3)의 하면에는 제 2 와이어로프(22)가 지나갈 수 있는 제 3 홈(9)이 제 2 홈(8)와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고정구(4)도 양 측부가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판 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양 측부에 U형 볼트(5)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멍(6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에는 제 2 와이어로프(22)가 지나갈 수 있는 제 4 홈(10)이 형성되어 있어, 제 3 고정구(4)가 제 2 고정구(3)에 체결되어 제 2 와이어로프(22)가 삽입 고정되는 제 2 와이어로프 구멍(14)을 형성한다. 또한 제 3 고정구(4)의 하면에는 U형 볼트(5)가 체결될 수 있도록 U형 볼트홈이 형성되어 있어, U형 볼트(5)가 체결되었을 때, U형 볼트(5)의 아랫부분이 제 3 고정구(4)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U형 볼트(5)는 상기 너트(11)와 함께 상기 제 1 고정구(2), 제 2 고정구(3), 및 제 3 고정구(4)를 고정하게 되며, 고정 볼트(5)가 U형으로 일체화 되어 있어 시공시간이 단축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고정장치(1)를 사용함에 있어서, 와이어로프를 상기 제 1 와이어로프 구멍(21) 및 제 2 와이어로프 구멍(22)에 각각 위치시킨 후, 상기 U형 볼트(5)를 제 3 고정구(4)의 하면으로부터 삽입시켜 제 2 고정구(3) 및 제 1 고정구(2)를 차례로 체결한 후 너트(11)로 고정시킴으로써, 와이어로프 교차점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한편, 상기 제 1, 제 2, 제 3, 또는 제 4 홈의 표면에는 와이어로프의 형상을 고려하여 나선 형상으로 미세돌기의 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와이어로프와 고정장치 간의 마찰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와이어로프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사면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특징부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고정장치(15)는 제 2 고정구(16)를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며, 이로 인해 제 1 고정구(2) 및 제 3 고정구(4)로부터 돌출하는 삼각형의 일측 부분에 앵커볼트 체결구멍(17)을 형성한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21,22)의 고정장치(15)를 지반 또는 암반에 고정하는 고정식 조립구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9)가 상기 앵커볼트 체결구멍(17)을 통해 제 2 고정구(16)와 연결되어 지반 또는 암반에 매설됨으로써,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고정장치(15)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종래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100)의 경우, 앵커볼트 구멍(106)을 위해 고정장치의 크기가 매우 커지므로, 그에 따라 고정장치의 제작에 재료비가 많이 들었으나,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고정장치(15)는 간극재를 삼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17)의 체결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재료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고정장치의 제 1 와이어로프와 제 2 와이어로프가 고정장치에 별도로 형성된 각각의 와이어로프 구멍을 통해 체결되므로, 와이어로프 간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와이어로프 간의 미끄러짐이 줄어들며, 와이어로프 구멍 전체 면으로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때문에 와이어로프와 고정장치와의 마찰력이 극대화되어, 고정장치의 유동이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교차점에서 와이어로프의 지지력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로프 고정장치는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치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가 절감되며,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6a)과 하면에 제 1 와이어로프(23)가 삽입되는 제 1 홈(7)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고정구(2)와,
    상기 제 1 고정구(2)의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6a)에 연통되는 체결구멍(6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고정구(2)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홈(7)과 함께 상기 제 1 와이어로프(23)의 삽입구멍(13)을 형성하는 제 2 홈(8)이 상면에 형성되며, 하면에 제 2 와이어로프(24)가 삽입되는 제 3 홈(9)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고정구(3)와,
    상기 제 2 고정구(3)의 하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 2 고정구(2)에 형성된 체결구멍(6b)에 연통되는 체결구멍(6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고정구(3)에 체결되어 상기 제 3 홈(9)과 함께 상기 제 2 와이어로프(24)의 삽입구멍(14)을 형성하는 제 4 홈(10)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고정구(4), 및
    상기 체결구멍들(6a,6b,6c)을 통해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고정구 (2,3,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로프(23)의 삽입구멍(13)과 제 2 와이어로프(24)의 삽입구멍(14)은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멍들(6a,6b,6c)은 제 1 고정구, 제 2 고정구, 제 3 고정구(2,3,4)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U자형 볼트(5)와 너트(12)로 이루어져, 상기 U자형 볼트(5)를 상기 체결구멍들(6a,6b,6c)을 통해 상기 제 3 고정구(4)의 하측으로부터 제 2 고정구(3) 및 제 1 고정구(2)에 삽입하여 상기 너트(11)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구(2), 제 2 고정구(3) 또는 제 3 고정구(4) 중 하나 이상에 지반 또는 암반에 매설되는 앵커(19)가 체결되는 앵커체결구멍(17)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2020060004816U 2006-02-22 2006-02-22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200416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16U KR200416627Y1 (ko) 2006-02-22 2006-02-22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16U KR200416627Y1 (ko) 2006-02-22 2006-02-22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627Y1 true KR200416627Y1 (ko) 2006-05-23

Family

ID=4176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816U KR200416627Y1 (ko) 2006-02-22 2006-02-22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6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7669C2 (ru) Способ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конструкции, предотвращающей обвал горной породы
KR101682624B1 (ko) 충격흡수형 압착식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6269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JP6681681B2 (ja) 受圧板
KR100353772B1 (ko) 낙석 방지용 안전망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200387409Y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 고정구
KR102009686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1252693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방법
KR101037013B1 (ko) 와이어로프의 충격흡수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0416627Y1 (ko)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2143454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JP2002322615A (ja) 防護柵
KR100938709B1 (ko) 사면보강용 와이어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사면보강장치
KR101506327B1 (ko) 낙석방지망용 로프의 교차부 결속 및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200445244Y1 (ko) 토목용 낙석보호망 고정 캡
KR100533117B1 (ko) 낙석 방지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77425Y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클립
KR100249648B1 (ko) 낙석방지용 방지책의 설치방법
KR200191514Y1 (ko) 토목용 낙석보호망 고정구
KR200141791Y1 (ko) 토목용 낙석보호망 고정구
KR100629944B1 (ko) 암반붕괴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KR200482326Y1 (ko) 와이어 로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