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587Y1 - 자물쇠 도장 - Google Patents

자물쇠 도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587Y1
KR200416587Y1 KR2020060006170U KR20060006170U KR200416587Y1 KR 200416587 Y1 KR200416587 Y1 KR 200416587Y1 KR 2020060006170 U KR2020060006170 U KR 2020060006170U KR 20060006170 U KR20060006170 U KR 20060006170U KR 200416587 Y1 KR200416587 Y1 KR 200416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circumferential surface
jaw
guid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해성
Original Assignee
고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해성 filed Critical 고해성
Priority to KR2020060006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 B41K1/06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with means for locating the image to be obta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03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이얼식 자물쇠를 구비하여, 다이얼의 번호나 기호가 일치한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한 도장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 도장은,
저면에 인각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괘정돌기가 융설되며, 상기 괘정돌기의 상위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고정턱이 형성된 도장몸체와, 상기 도장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턱을 기준으로 상위의 제 1 걸림턱과 하위의 제 2 걸림턱이 융설되고, 적어도 2개의 가이드홈이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도장케이스와, 상기 가이드 홈에 각각 안착하여 회동하되, 상기 가이드 홀에 의하여 노출된 외주면의 표시부 기호에 따라 내주면의 일측에 형성된 괘정홈에 상기 도장몸체의 괘정돌기가 통과되어 날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링 형상의 다이얼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장의 소유자의 의사에 반하여 도장이 사용되는 것이 방지된다.
자물쇠, 다이얼부재, 도장, 인각부, 걸림턱

Description

자물쇠 도장 { A stamp having a locking apparatus }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부분절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부분 변형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부분 투시도이다.
* 고안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9 : 일반도장 10 : 도장몸체
11 : 괘정돌기 12 : 고정턱
13,13′ : 인각부 20 : 도장케이스
21 : 제 1 걸림턱 22 : 제 2 걸림턱
23 : 삽입공 25 : 가이드홈
27 : 가이드홀 29 : 접합부
201 : 상부홀 203 : 하부홀
30 : 다이얼부재 31 : 표시부
33 : 괘정홈 40 : 탄성스프링
본 고안은 다이얼식 잠금장치가 구비된 도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각부를 구비하며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괘정돌기가 형성된 도장몸체와, 상기 도장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에 착설되어 회동하는 다이얼부재의 내측면에 요설되어 있는 괘정홈에 상기 괘정돌기가 통과되는 경우에만 상기 도장몸체의 인각부가 날인되도록 형성된 자물쇠 도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은 각종 문서상에서 자신을 증명하는 도구로서, 특히 인감은 법적으로는 관할동사무소(개인), 관할등기소 (법인)등에서 어떠한 특정한 도장인을 그 사람만의 특별한 도장임을 증명해주는 도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장은 자신의 의사가 진정임이 간주되어, 법적으로 경제적으로 개인이나 법인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도, 개인의 서명에 의하여 본인임이 증명되는 외국과 달리, 타인에 의하여 얼마든지 도장이 남용 또는 오용될 수 있는 위험성이 다분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소유자의 의사에 부합할 경우만 사용이 가능한 자물쇠 도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장을 날인하는 경우 도장케이스로부터 도장몸체가 인출되며, 날인이 종료하면 다시 도장케이스로 자동 수납되는 자물쇠 도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 도장은, 저면에 인각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괘정돌기가 융설되며, 상기 괘정돌기의 상위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고정턱이 형성된 도장몸체와, 상기 도장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이 일정구간에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턱을 기준으로 상위의 제 1 걸림턱과 하위의 제 2 걸림턱이 융설되고, 가이드홈이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도장케이스와, 상기 가이드 홈에 안착하여 회동하되, 상기 가이드 홀에 의하여 노출된 외주면의 표시부 기호에 따라 내주면의 일측에 형성된 괘정홈에 상기 도장몸체의 괘정돌기가 통과되어 날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링 형상의 다이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턱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장몸체의 저면에는 일반 도장이 수용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 도장은 도장몸체(10)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되, 도장의 날인을 위한 인각부(13)를 포함하는 부분은 다이얼부재(30)가 구비된 도장케이스(20)에 수용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분 절개도로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장몸체(10)의 저면에는 날인을 위한 인각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장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는 괘정돌기(11)가 융설되어 도장몸체(10)의 인각부(13)가 도장케이스(20)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괘정돌기(11)는 하나만 융설되어 있더라도 도장몸체(10)의 인출을 저지할 수 있으나, 적어도 2개 이상이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융설되어 있는 것이 충분한 지지력이 부여되어 바람직하다.
괘정돌기(11)의 상위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고정턱(12)이 융설되는데, 고정턱(12)은 도장몸체(10)가 도장케이스(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도장몸체(10)의 외주면의 둘레(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를 따라 융설되는 것이 좋으며, 도장몸체(10)와 도장케이스(20) 사이의 틈으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적당한 폭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도장몸체는 일반적인 도장의 재질인 상아나 나무재질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인각부를 제외한 나머지 몸체부분은 도장케이스 및 다이얼부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어야 하므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도 6은 도장몸체에 일반도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장몸체(10)의 저면, 즉 인각부(13)에는 일반도장(9)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23)이 형성되도록 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도장을 상기 삽입공에 밀착하여 내삽하면 일반도장(9)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의 잠금효과를 가져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삽입공(23)에는 종래 사용하던 도장 전체가 수용되어 도장몸체(10)가 일반도장(9)의 외피처럼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기존 사용하던 도장의 인각부(13′)를 포함하는 일부만이 삽입공(23)에 내삽되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공(23)에 일반도장(9)이 수용되는 경우에 삽입공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도장에 접착제 등을 도포할 수 있다.
도장케이스(20)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장몸체(1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도장몸체(10)의 고정턱(12)이 일정한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도장케이스(20)의 내주면(내부벽)에 도장몸체의 고정턱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턱(12)의 상위에 제 1 걸림턱(21)이 융설되며, 고정턱(12)의 하위에 제 2 걸림턱(22)이 융설된다.
제 1 걸림턱(21)과 제 2 걸림턱(22)은 도장케이스의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융설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장케이스의 내부에 융설되는 제 1 걸림턱(21)과 제 2 걸림턱(22)의 이격 거리는 도장몸체(10) 저면의 인각부(13)와 도장케이스(20)의 하부홀(203)과의 거리 이상으로서, 상기 제 1 걸림턱(21)과 제 2 걸림턱(22)의 이격 거리 내에서 도장몸체(10)가 고정턱(12)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의하면, 도장케이스(20)의 내주면에는 다이얼부재(30)가 회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25)이 도장케이스(2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되며, 또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그 형성위치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장몸체(10)의 괘정돌기(11)의 높이에 비하여 하위에 있게 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 홈(25)은 다이얼부재(30)가 안착하도록 다이얼부재(30)의 측단면에 대응되는 모양의 홈으로서, 다이얼부재의 측면의 상하부분이 안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의 중앙부가 외부로 보이도록 가이드 홀(27)이 형성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장케이스(20)에는 외부에서 다이얼부재(30)의 표시부가 보이도록 가이드 홀(27)이 형성되는데, 가이드 홀(27)은 상기 가이드 홈(25)에 의하여 다이얼부재(30)가 안착하는 위치의 바깥쪽을 향하여 형성되는바, 도장케이스(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되, 도장케이스(20)를 도 3과 같이 중앙에서 접합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접합부(29)가 부설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장케이스의 상부홀(201)과 하부홀(203)은 상기 도장몸체(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도장케이스(20)와 도장몸체(10)의 간격이 긴밀해져서 보다 견고하게 잠금 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도장케이스는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제작단가와 견고성을 고려하여 금속재질을 사용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이얼부재(30)는 원형의 고리 형상(링 형상)으로서, 도장케이스(20)의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요설된 각각의 가이드홈(25)에 안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장몸체(10)에 융설된 괘정돌기(11)의 수와 도장케이스(20)에 요설될 가이드홈(25)의 수 및 다이얼부재(30)의 수는 각각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얼부재(30)에 있어, 숫자나 기호 등의 표시부(31)는 도장케이스(20)의 가이드홈(25)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융설되어 있으며, 다이얼부재의 표시부의 반대편, 즉 고리모양의 안쪽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도장몸체(10)의 괘정돌기(11)에 대응되는 괘정홈(3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25)에 각각 안착되어 있는 다이얼 부재(30)의 회동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이르면 각각의 다이얼 부재의 괘정홈(33)이 도장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도장몸체(10)에 융설되어 있는 괘정돌기(11)가 상기 괘정홈(33)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도장몸체(10)의 인각부(13)의 날인이 가능하 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 상태도로서, 도장몸체(10)에 융설된 괘정돌기(11)가 도장케이스(20)에 안착되어 회동하는 다이얼부재(30)의 내주면에 형성된 괘정홈(33)을 통과하는 경우에만 도장몸체의 인각부(13)가 하부홀(203)로 인 고안이얼식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소유자의 의사에 부합할 경우만 사용이 가능한 자물쇠 도장이 제공되며, 둘째, 도장을 날인한 후 원위치로 회복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킨 자물쇠 도장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다이얼식 잠금장치를구비하여 소유자의 의사에 부합할 경우만 사용이 가능한 자물쇠 도장이 제공되며, 둘째, 도장을 날인한 후 원위치로 회복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킨 자물쇠 도장이 제공된다.

Claims (3)

  1. 저면에 인각부(13)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괘정돌기(11)가 융설되며, 상기 괘정돌기의 상위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고정턱(12)이 형성된 도장몸체(10);
    상기 도장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턱을 기준으로 상위의 제 1 걸림턱(21)과 하위의 제 2 걸림턱(22)이 융설되고, 적어도 2개의 가이드홈(25)이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가이드 홀(27)이 형성된 도장케이스(20); 및
    상기 가이드 홈에 각각 안착하여 회동하되, 상기 가이드 홀에 의하여 노출된 외주면의 표시부(31) 기호에 따라 내주면의 일측에 형성된 괘정홈(33)에 상기 도장몸체의 괘정돌기(11)가 통과되어 날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링 형상의 다이얼 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도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12)과 상기 제 2 걸림턱(22) 사이에 탄성스프링(40)이 더 구비되어 상기 도장 몸체(10)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도장.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몸체(10)의 저면에는 일반 도장(9)이 수용될 수 있는 삽입공(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도장.
KR2020060006170U 2006-03-08 2006-03-08 자물쇠 도장 KR200416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70U KR200416587Y1 (ko) 2006-03-08 2006-03-08 자물쇠 도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70U KR200416587Y1 (ko) 2006-03-08 2006-03-08 자물쇠 도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587Y1 true KR200416587Y1 (ko) 2006-05-22

Family

ID=4176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170U KR200416587Y1 (ko) 2006-03-08 2006-03-08 자물쇠 도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5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2781B1 (en) Socket holding frame
US9821451B1 (en) Tool holding frame
EP1741638B1 (en) Display brackets for a wrench
CA120666S (en) Eyeglasses
US8430368B2 (en) Wall mounting bath accessory assembly
AU311033S (en) A Display Screen
US3257696A (en) Key holders
KR200416587Y1 (ko) 자물쇠 도장
US20130064050A1 (en) Watch with easily replaceable components
CN104977994A (zh) 卡扣模组及其所适用的机箱
USD930596S1 (en) Power cord cover
JP3193158U (ja) ボタンカバー
ITVE20130039A1 (it) Morsetto perfezionato per macchina duplicatrice di chiavi.
KR102000027B1 (ko) 식별 표시가 가능한 칫솔
JP6272397B2 (ja) 長手方向に移動可能且つ回転可能なソケットホルダ
CA107709S (en) Stamp
USD976322S1 (en) Cartridge label
KR200458956Y1 (ko) 지지대를 이용한 장식판
JP3185775U (ja) ダイヤル錠及びワイヤー付きダイヤル錠
CA107710S (en) Stamp
CN210047781U (zh) 一种珠宝定位盒
KR20230105025A (ko) 도장
KR200335934Y1 (ko) 조립식 도장
JP6270928B2 (ja) 摺動回転式位置決めソケットホルダ
KR200306159Y1 (ko) 각도기가 부설된 직선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