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104Y1 - 조각칼 - Google Patents

조각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104Y1
KR200416104Y1 KR2020060005274U KR20060005274U KR200416104Y1 KR 200416104 Y1 KR200416104 Y1 KR 200416104Y1 KR 2020060005274 U KR2020060005274 U KR 2020060005274U KR 20060005274 U KR20060005274 U KR 20060005274U KR 200416104 Y1 KR200416104 Y1 KR 200416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ver
knife
carving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박찬수
Original Assignee
박찬수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수, 김정훈 filed Critical 박찬수
Priority to KR2020060005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1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1/00Artists' hand tools for sculpturing, kneading, carving, engraving, guilloching or embossing; Accessories therefor
    • B44B11/02Artists' hand tools for sculpturing, kneading, carving, engraving, guilloching or embossing; Accessories therefor for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2700/00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for artistic work
    • B44B2700/04Machines or tools for carving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각칼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각칼은 상단 중앙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구멍의 외측으로는 가이드바가 마련되어 있는 몸체와, 이 몸체의 나사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칼날과, 상기 몸체의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칼날이 수용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각칼의 칼날이 커버에 완전하게 수용되도록 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조각칼의 칼날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칼날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각, 칼날, 조각칼, 안전사고

Description

조각칼{GRAVE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칼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각칼 20 : 칼날
21 : 나사부 30 : 몸체
31 : 나사구멍 33 : 가이드바
33a : 스톱퍼 40 : 커버
41 : 가이드홈 41a : 단턱
43 : 관통공
본 고안은 보관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가 구비된 조각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각칼을 보관할 때 칼날이 손상되거나 칼날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조각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각칼은 나무나 비누 등과 같은 조각물을 깎는데 사용하는 것으 로 그 쓰임새에 따라서 칼날의 모양이 다양하게 제작되어 있다. 조각칼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몸체와, 이 몸체에 고정되어 있는 칼날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각물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대략 4-5종의 조각칼이 세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조각칼은 학생들의 교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학생들은 조각칼을 한번 사용 후에는 보통 책상 서랍 등에 오랜 기간 동안 쓰지 않고 보관을 하게 된다. 이렇게 조각칼을 오랜 시간 보관 할 때 조각칼의 칼날이 손상되거나 칼날에 의하여 안전사고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각칼에는 칼날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책상 서랍을 열고 닫을 때 그 충격에 의하여 조각칼에서 커버가 분리되어 칼날이 외부로 노출되면 조각칼의 칼날이 다른 물체에 부딪치게 되어 칼날이 파손되어 조각칼을 쓸 수 없게 되므로, 조각칼을 다시 구입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부러진 칼날이나, 외부로 노출된 조각칼의 칼날에 의하여 손가락을 베거나 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각칼을 보관할 때 조각칼의 칼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칼날이 조각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조각칼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각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각칼을 사용할 때 필요에 따라 조각칼의 칼날을 용 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각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각칼은 상단 중앙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구멍의 외측으로는 가이드바가 마련되어 있는 몸체와, 이 몸체의 나사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칼날과, 상기 몸체의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칼날이 수용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도록 스톱퍼가 내측으로 벤딩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에는 상기 스톱퍼가 걸리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각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칼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각칼(10)은 선단에 칼날(20)이 부착되어 있는 몸체(30)와, 칼날(2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몸체(3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커버(40)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30)의 상단 중앙부에는 칼날(2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구 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구멍(31)의 외측으로는 커버(40)가 결합되도록 가이드바(33)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바(33)의 끝단에는 커버(40)가 몸체(3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도록 스톱퍼(33a)가 내측으로 벤딩(Bending)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3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그립(Grip)감이 향상되도록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30)를 목재 또는 합성수를 사용하여 제작할 때 에는 칼날(20)을 나사구멍(31)에 체결하거나 푸를 때 나사산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별도의 강관에 나사를 형성한 후, 몸체(30)에 인서트 시킬 수도 있다.
칼날(20)의 하단부에는 칼날(20)을 몸체(30)의 나사구멍(31)에 착탈할 수 있도록 나사구멍(31)에 맞물리는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칼날(20)은 조각물이나 조각판을 조각할 때 더욱 세밀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그 쓰임새에 따라 세모칼, 둥근칼, 납작칼 및 창칼 등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칼날(20)은 필요에 따라 몸체(3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세모칼날은 가늘고 섬세한 곡선이나 직선을 팔 때 사용되고, 둥근칼날은 굵은 선이나 필요 없는 부위를 파낼 때 사용되고, 납작칼날은 거친 면을 팔 때 또는 필요 없는 부분을 파낼 때 사용되며, 창칼날은 날카롭고 섬세한 윤곽이나 세밀한 부분을 정리할 때 사용된다.
커버(40)는 몸체(30)의 가이드바(33)를 따라서 승강되도록 상기 가이드바(33)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1)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상기 칼날(20)이 수용되도록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40)의 가이드홈(41)에는 커버(40)가 가 이드바(33)를 따라 승강될 때 커버(40)가 가이드바(3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톱퍼(33a)가 걸리는 단턱(41a)이 형성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각칼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조각칼(1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커버(40)의 하단부이 몸체(30)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커버(40)를 이동시킨 후, 칼날(20)의 나사부(21)를 몸체(30)의 나사구멍(31)에 체결하여 부착시킨다. 몸체(30)에서 커버(40)를 하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칼날(20)의 끝단부위는 커버(40)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조각물을 깎을 때 사용자는 그 쓰임새에 따라 세모칼, 둥근칼, 납작칼 및 창칼 등을 몸체(30)에 용이하게 바꾸어 끼우면서 조각칼(10)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각칼(10)의 사용이 끝난 후 조각칼(10)을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칼날(20)이 커버(40)의 관통공(43)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커버(40)를 몸체(30)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칼날(20)이 조각칼(1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서 조각칼(10)의 보관시에 칼날(20)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커버(40)를 몸체(30)에서 상하로 이동시킬 때 커버(40)가 가이드바(33)에 고정되어 있어서 커버(40)를 몸체(30)에서 흔들림 없이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바(33)의 스톱퍼(33a)에 의하여 커버(40)가 몸체(3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각칼에 의하면, 조각칼의 칼날이 커버에 완전하게 수용되도록 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조각칼의 칼날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칼날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칼날이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므로, 칼날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선단에 칼날이 부착되어 있으며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몸체와, 상기 칼날이 보호되도록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는 조각칼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단부 중앙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부에는 상기 커버가 승강되도록 가이드바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은 상기 몸체의 나사구멍에 착탈되도록 하단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가이드바를 따라서 승강되도록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상기 칼날이 수용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끝단에는 스톱퍼가 내측으로 벤딩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가이드홈의 내면에는 상기 스톱퍼가 걸리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칼.
KR2020060005274U 2006-02-27 2006-02-27 조각칼 KR200416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74U KR200416104Y1 (ko) 2006-02-27 2006-02-27 조각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74U KR200416104Y1 (ko) 2006-02-27 2006-02-27 조각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104Y1 true KR200416104Y1 (ko) 2006-05-12

Family

ID=4176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274U KR200416104Y1 (ko) 2006-02-27 2006-02-27 조각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1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8590A (zh) * 2016-12-13 2018-10-02 王国涛 一种打孔及扩孔用分离式钻头
CN109435558A (zh) * 2018-12-05 2019-03-08 北京沃尔德金刚石工具股份有限公司 刻划笔
KR102005693B1 (ko) 2019-01-22 2019-07-30 김찬식 칼날의 길이조절로 사용의 편의성과 장 수명을 보장하는 개인 맞춤형 서각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8590A (zh) * 2016-12-13 2018-10-02 王国涛 一种打孔及扩孔用分离式钻头
CN108909325A (zh) * 2016-12-13 2018-11-30 王国涛 一种分离式钻头
CN108909325B (zh) * 2016-12-13 2019-11-26 应剑军 一种分离式钻头
CN109435558A (zh) * 2018-12-05 2019-03-08 北京沃尔德金刚石工具股份有限公司 刻划笔
KR102005693B1 (ko) 2019-01-22 2019-07-30 김찬식 칼날의 길이조절로 사용의 편의성과 장 수명을 보장하는 개인 맞춤형 서각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104Y1 (ko) 조각칼
US9656508B2 (en) Pencil holder for storing a pencil
US6434838B1 (en) Protective sheath for saw teeth of a handsaw
US20040064953A1 (en) Single blade foldable knife
US2389648A (en) Container-opening tool
US3877144A (en) Fishing accessory
KR20070025302A (ko) 안전 커터칼
US2109686A (en) Cutting tool
KR20080113244A (ko) 보강된 매체 절단 장치
US2693028A (en) Tree girdling spud
KR20220089767A (ko) 칼날 보관함이 구비된 커터칼
KR20110024683A (ko) 보조파지편이 구비된 주방용 칼
KR20090115785A (ko) 커터칼
KR200396057Y1 (ko) 커버링테이프 절단기구
KR100913478B1 (ko) 마늘껍질 제거기
CN217256799U (zh) 单孔深进纸打孔机
CN111202346A (zh) 一种u形刀具清洁刷
CN210550554U (zh) 钳子
US20180043568A1 (en) Tool handle push stick
KR20090007528U (ko) 칼날 및 그를 구비한 문구용 칼 조립체
KR20230114140A (ko) 커터칼 심 절단기
CN204594333U (zh) 警用刀具
CN217097724U (zh) 一种工具存储盒
CN214924615U (zh) 具有钝刀结构的美工刀
US1617953A (en) Bark cutter and pee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