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855Y1 - 연필깍이 - Google Patents

연필깍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855Y1
KR200423855Y1 KR2020060012539U KR20060012539U KR200423855Y1 KR 200423855 Y1 KR200423855 Y1 KR 200423855Y1 KR 2020060012539 U KR2020060012539 U KR 2020060012539U KR 20060012539 U KR20060012539 U KR 20060012539U KR 200423855 Y1 KR200423855 Y1 KR 200423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sharpener
tip
present
pencil sharp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2020060012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8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0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in which the pencils or leads are sharpened mainly by rotational movement against cutting blad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필깍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11)내의 연필삽입공(12)에 연필(20)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연필삽입공(12)측에 구비되어 있는 커터날(14)이 상기 연필(20)의 선단부를 깍게 되는 연필깍이(10)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상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필(2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긴밀히 결합되게 되는 연필결합공(1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연필을 깍는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연필의 선단부측과 결합을 이루어 연필심이 보호되도록 함께 보관될 수 있는 기능도 갖게 되므로, 그 실용가치가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필깍이, 연필심, 보호

Description

연필깍이{PENCIL SHARPENER}
도 1은 종래의 연필깍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필깍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이를 연필심 보호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이를 연필측에 결합하여 해당 연필을 필기하는데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필깍이 11 : 몸체
11a : 몸체확장부 12 : 연필삽입공
13 : 슬롯 14 : 커터날
15 : 연필결합공 15a : 입구연장부
20 : 연필
본 고안은 연필깍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필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연필결합공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연필이 필기하는데 사용되는 때에는 연필의 상단부측에 결합되어 있고, 연필이 보관되는 때에는 연필심이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되도록 하게 되는 연필깍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의 일종인 연필은 수정 용이성 등으로 인해 실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필은 사용에 따라 그 선단부에 외부 노출되어 있는 연필심이 점차 마모되게 된다.
따라서, 가끔씩 선단부의 나무 부분을 깍아 주어 추가적으로 연필심이 노출되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 예전에는 통상적인 칼을 이용하여 깍게 됨으로써 위험하고 번거로우며 미려하게 깍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보다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깍을 수 있도록 하는 연필깎이가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필깍이에는 부피가 크면서 고가인 전동형 연필깎이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매우 작아서 휴대도 용이하면서 저가인 수동형 연필깍이가 있는데, 본 고안은 이 중 수동형 연필깍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동형 연필깍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연필깍이(10)는, 주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11)와, 몸체(11)의 일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함몰되거나 관통되도록 원추형 등으로 형성되게 되는 연필삽입공(12)과, 이 연필삽입공(12)에 대한 일측면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슬롯(13) 과, 이 슬롯(13)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커터날(14)로 일체화되게 구성되게 된다.
그 작용은, 연필의 선단부를 연필삽입공(12)에 삽입한 다음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게 되면, 연필삽입공(12)에 삽입되어 있는 연필의 선단부가 커터날(14)에 의해 깍여지게 되고, 깍임에 따라 생성되는 나무 부스러기들은 개방된 슬롯(13)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필기구인 연필은 그 보관시 등에 있어 선단부에 노출되어 있는 연필심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매우 쉽게 부러지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연필심을 보호하고자 다른 종류의 필기구(싸인펜)의 뚜껑을 구하여 연필심측에 씌여서 보관하기도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필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연필결합공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연필의 연필심 부분이 상기한 연필결합공에 삽입되어 안전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연필깍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필깍이는, 몸체내의 연필삽입공에 연필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연필삽입공측에 구비되어 있는 커터날이 상기 연필의 선단부를 깍게 되는 연필깍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상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필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긴밀히 결합되게 되는 연필결합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일부 생략함을 밝힌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연필깍이(10)의 몸체(11)를 조금 확장하여 몸체확장부(11a)를 형성하고, 이 몸체확장부(11a)상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관통되도록 연필결합공(15)을 형성하게 된다.
이 연필결합공(15)은 그 입구측이 통상적인 연필(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는 연필(20)이 긴밀히 끼워져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연필결합공(15)의 입구측에는 외부 전방으로 조금 돌출되도록 입구연장부(15a)가 형성되어, 이 부분을 통해 연필(20)의 선단부가 보다 부드럽게 안내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물론, 연필결합공(15)의 형상은 연필심이 있는 연필(20)의 선단부 형상에 대 응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나 구지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연필깍이(10)를 연필(20)을 깍는 기본 기능으로 사용하면서, 또한 해당 연필깍이(10)를 연필(20)측과 결합시켜 사용하기도 하게 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필심이 보호되도록 연필(20)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필(20)의 연필심측을 연필깍이(10)의 연필결합공(15)내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상태로 함께 보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필심이 외부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필(20)을 필기하는데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필심측이 아닌 연필(20)의 반대편 선단부측을 연필깍이(10)의 연필결합공(15)내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상태에서 해당 연필(20)을 필기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이(10)는 매우 간단한 구성의 부가를 통해 그 실용가치가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필을 깍는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연필의 선단부측과 결합을 이루어 연필심이 보호되도록 함께 보관될 수 있는 기능도 갖게 되므로, 그 실용가치가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3)

  1. 몸체(11)내의 연필삽입공(12)에 연필(20)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연필삽입공(12)측에 구비되어 있는 커터날(14)이 상기 연필(20)의 선단부를 깍게 되는 연필깍이(10)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상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필(2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긴밀히 결합되게 되는 연필결합공(1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깍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결합공(15)의 입구측에는 외부 전방으로 조금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필(20)의 선단부가 보다 부드럽게 안내되면서 삽입되도록 하게 되는 입구연장부(1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깍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결합공(15)의 입구측은 통상적인 상기 연필(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연필(20)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깍이.
KR2020060012539U 2006-05-11 2006-05-11 연필깍이 KR200423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539U KR200423855Y1 (ko) 2006-05-11 2006-05-11 연필깍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539U KR200423855Y1 (ko) 2006-05-11 2006-05-11 연필깍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855Y1 true KR200423855Y1 (ko) 2006-08-11

Family

ID=4177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539U KR200423855Y1 (ko) 2006-05-11 2006-05-11 연필깍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8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431Y1 (ko) * 2014-04-28 2015-10-07 이문수 연필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431Y1 (ko) * 2014-04-28 2015-10-07 이문수 연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345B2 (en) Combination utility knife
US7832108B2 (en) Pencil sharpener cap
KR200423855Y1 (ko) 연필깍이
US20150224816A1 (en) Sharpener for marking instruments
KR200441250Y1 (ko) 다목적 필기구
KR20220089767A (ko) 칼날 보관함이 구비된 커터칼
KR20180060423A (ko) 연필깎이를 구비한 박스 필통
KR200277130Y1 (ko) 연필깎기
TWI293049B (en) Eraser
KR100895212B1 (ko) 샤프심 깎기를 갖는 샤프펜슬
KR200155137Y1 (ko) 연필깎이 겸용 연필 뚜껑
US2513704A (en) Pencil sharpener
CN202573547U (zh) 一种转笔刀
CN201362085Y (zh) 可做削笔器的铅笔帽
KR20010109253A (ko) 휴대용 연필깍기
JP2007045090A (ja) 鉛筆用キャップ
KR200204566Y1 (ko) 연필깍기
CN107234908A (zh) 一种小学生用的双面电动削笔机
KR200191635Y1 (ko) 연필깎이를 구비한 필통
KR200322517Y1 (ko) 연필용 기능성 뚜껑
US503794A (en) Combined pencil-sharpening and erasing implement
KR20080107709A (ko) 연필깍기
JP3089113U (ja) 削り付きキャップ
KR200413923Y1 (ko) 연필용 기능성 뚜껑
KR20070053674A (ko) 기능성 연필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