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100Y1 -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100Y1
KR200416100Y1 KR2020060005120U KR20060005120U KR200416100Y1 KR 200416100 Y1 KR200416100 Y1 KR 200416100Y1 KR 2020060005120 U KR2020060005120 U KR 2020060005120U KR 20060005120 U KR20060005120 U KR 20060005120U KR 200416100 Y1 KR200416100 Y1 KR 200416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endless
belt
filtrate
filt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남
Original Assignee
정영남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남,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정영남
Priority to KR2020060005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1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값비싼 응집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배제하고 기계적으로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는 제1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2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에 걸려 회전하는 무단 여과벨트와, 오폐수 여액을 상기 무단 여과 벨트 위로 도입시키는 오폐수 여액 도입관과,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롤러 사이에서 무단 여과벨트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액 배출관과, 제1 컨베이어 롤러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무단 여과 벨트 위에 쌓인 미세 협잡물을 분리하여 상기 무단벨트 아래쪽으로 떨어뜨리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무단 여과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진 협잡물을 여액을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 프레스를 포함한다.
오폐수, 스크레이퍼, 스크류

Description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SEWAGE DISPOSAL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내부배치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내부배치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상부 커버 및 전면 커버의 도시를 생략한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좌, 우측 커버 및 무단 여과벨트의 도시를 더 생략한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을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전면 프레임 및 오폐수 가이드 덕트의 도시를 더 생략한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무단 여과벨트의 도시를 더 생략한 본 고안에 의한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계적으로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폐수에는 분뇨, 모래 등 각종 협잡물들이 섞여 있다. 이러한 협잡물들은 무게, 크기 등 그 특성이 다양하므로, 각각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처리방법을 사용하여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처리는 유입된 오폐수에서 비교적 부피가 큰 물질을 스크린을 포함하는 기계설비로 걸러내고, 미생물로 오폐수 속의 미세한 유기물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최종 침전지에서 상등수를 얻어 하천으로 방류하고 미생물의 일부는 다시 재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오폐수에 포함된 미세한 협잡물은 응집제를 사용하여 응집시켜 부피가 큰 협잡물로 만든 다음, 이를 스크린을 포함하는 기계설비로 걸러내고 있다.
협잡물 처리장치는 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데, 유입되는 오폐수는 먼저 이 스크린 장치를 통과하면서 각종 협잡물과 여액으로 분리되어 협잡물은 탈수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여액은 배관을 통해 다음 처리장치로 들어간다.
그러나 이러한 오폐수처리 방식은 협잡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응집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처리하게 되기 때문에 응집제에 의한 제2차 오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응집제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고 시간 또한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오폐수 여액에 포함된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오폐수 여액에 포함된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하여 응집제가 포함되지 않은 여액을 배출할 수 있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것으로서, 미세 협잡물이 포함된 오폐수 여액을 스크린으로 걸러내고 걸러진 물과 협잡물을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하여 배출시킴으로써 기계적으로 오폐수에서 미세 불순물을 분리할 수 있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은, 제1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2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에 걸려 회전하는 무단 여과벨트와, 오폐수 여액을 상기 무단 여과 벨트 위로 도입시키는 오폐수 여액 도입관과,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롤러 사이에서 무단 여과벨트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액 배출관과, 제1 컨베이어 롤러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무단 여과 벨트 위에 쌓인 미세 협잡물을 분리하여 상기 무단벨트 아래쪽으로 떨어뜨리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무단 여과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진 협잡물을 여액을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 프레스를 포함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에서는 오폐수 여액은 오폐수 여액 도입관을 통해 무단 여과벨트 위로 도입되어 오폐수 여액에 포함된 미세 협잡물은 무단 여과벨트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여액은 무단 여과벨트 아래쪽에 위치한 여액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무단 여과벨트에 의해 걸려진 미세 협잡물은 무단 여과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컨베이어 롤러 쪽으로 이송되고, 미세 협잡물은 무단 여과벨트가 더 회전함에 따라 스크래퍼 쪽으로 더욱 이송되어 스크래퍼에 의해 무단 여과벨트로부터 분리되어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무단 여과벨트로부터 분리되어 아래쪽으로 떨어진 미세 협잡물은 스크류 프레스로 들어가고 스크류 프레스에 의해 여액이 제거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는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오폐수 여액에 포함된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고, 응집제가 포함되지 않은 여액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오폐수 정화장치는 제1 컨베이어 롤러와 제2 컨베이어 롤러 사이에 무단 여과벨트에 의해 걸러진 미세 협잡물을 케이크로 만들기 위한 압착 기구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압착기구는 제1 컨베이어 롤러와 제2 컨베이어 롤러 사이에서 제1 압착 롤러와 제1 압착 롤러와 대응되어 동작하는 제2 압찰 롤러로 구성되어, 무단 여과벨트가 제1 압착 롤러와 제2 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무단 여과벨트에 의해 걸러진 미세 협잡물은 제1 압착 롤러와 제2 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1 및 제2 압착 롤러에 의해 눌러져 케이크로 된다.
제1 압착 롤러와 제2 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무단 여과벨트를 압착하는 압착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압착 롤러 상부에는 압착력 조절 실린더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압착기구는 제2 컨베이어 롤러 대신 압착판으로 하며 무단 여과벨트가 제1 압착 롤러와 압착판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는 무단 여과벨트에 의해 미세 협잡물은 걸러지면서 무단 여과벨트를 빠져 나오는 여액이 제1 및 제2 컨베이어 롤러 사이에서 무단 여과벨트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액 배출관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제1 여액 배출 트레이가 제1 컨베이어 롤러와 제2 컨베이어 롤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는 미세 협잡물 처리 장치의 여액 배출관은 장치 내부에서 위쪽으로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부 위쪽으로는 제2 여액 수집판이 V자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되어 장치 내부의 물을 여액 배출관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는 미세 협잡물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롤러중 모터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컨베이어 롤러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앞뒤로 이동이 가능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는 무단 여과벨트가 틀어지면서 회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무단 여과벨트 사행 검출센서의 검출출력에 의해 동작을 하여, 앞뒤 이동이 가능한 베어링을 앞쪽으로 밀거나 뒤쪽으로 당겨 무단 여과벨트 의 장력을 조절하여 무단 여과벨트가 틀어지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크린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둘 중 하나의 롤러가 에어 실린더에 의해 직선 구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무단 여과벨트의 중앙에는 스크린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분출되는 세척 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조되는 도면들 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내부배치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내부배치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또, 도 4는 도 1에서 상부 커버 및 전면 커버의 도시를 생략한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좌, 우측 커버 및 무단 여과벨트의 도시를 더 생략한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을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전면 프레임 및 오폐수 가이드 덕트의 도시를 더 생략한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무단 여과벨트의 도시를 더 생략한 본 고안에 의한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의 각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10)는 프레임(11, 12)과 프레임(11, 12)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13, 14, 15)로 된 장치 내부로 미세 협잡물이 포함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 유입구(2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장치(10)의 한 측면에는 여액 배출구(41a)와 탈수된 미세 협잡물이 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미세 협잡물 배출구(55)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 장치의 뒤쪽으로는 미세 협잡물을 탈수할 때 발생하는 여액이 배출되는 탈수 여백 배출구(56)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 장치의 프레임(12)에는 제1 컨베이어 롤러(31), 제2 컨베이어 롤러(32) 및 압출 롤러(33)를 각각 지지하는 베어링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제1 컨베이어 롤러(31), 제2 컨베이어 롤러(32) 및 압출 롤러(33)를 각각 지지하는 베어링 장치는 각각 장치의 프레임(11)에 부착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에서 오폐수에 포함된 미세 협잡물을 거르는 무단 여과벨트(27)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 롤러(31, 32)에 걸려 있어, 제1 컨베이어 롤러(31)의 회전에 따라 무단 회전운동을 한다. 무단 여과벨트(27)는 제1 컨베이어 롤러(31)는 컨베이어 구동모터(83)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제2 컨베이어 롤러(32)의 양쪽 축은 각각 앞뒤로 이동이 가능한 베어링(77a, 77b)에 의해 지지되는데 , 이동 가능한 베어링(77a, 77b)은 각각 사행 방지기구를 구성하는 에어 실린더(75a, 75b)에 의해 앞뒤로 이동한다. 에어 실린더(75a, 75b)는 무단 여과벨트(27)가 틀어지면서 회전하는 것을 검출하는 무단 여과벨트 사행 검출센서(도시 생략)의 검출출력에 의해 동작을 하여, 베어링(77a, 77b)을 앞쪽으로 밀거나 뒤쪽으로 당겨 무단여과벨트(27)의 장력을 조절하여 무단 여과벨트(27)가 틀어지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무단 여과벨트에 의해 여과되는 오폐수는 장치(10)의 장치의 외부로 앞쪽에 설치된 오폐수 유입구(2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무단 여과벨트(27)로 들어오는데, 오폐수가 무단 여과벨트(27)의 전면에 걸려 퍼질 수 있도록 오폐수 유입구(27) 뒤쪽에는 무단 여과벨트(27)의 폭으로 된 동일한 유출구를 갖는 가이드 덕트(22)가 연결되어 있다. 미세 협잡물을 걸러내는 무단 여과벨트(27)의 망목의 크기는 걸러내고자 하는 미세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오폐수 유입구(21)를 통하여 장치(10) 내로 유입된 미세 협잡물은 무단 여과벨트(27)에 걸리게 되고 여액은 무단 여과벨트를 통과하여 여액 배출관(41)으로 흘러들어가 장치(10) 밖으로 빠져 나온다. 무단 여과벨트(27) 사이에는 가이드 덕트(22) 바로 아래쪽에 제1 여액 수집판(42)이 위치한다. 제1 여액 수집판(42)은 가이드 덕트(22)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폐수에 포함된 미세 협잡물은 무단 여과벨트(27)에 의해 걸러질 때 무단 여과벨트(27)를 통과한 여액이 바로 여액 배출관(41)으로 흘러 들어가게 한다. 여액 배출관(41)은 무단 여과벨트(27) 아래쪽에 위치한다. 여액 배출관(41)은 장치(10) 내부에서 위쪽으로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개방부: 41a), 개방부(41a) 위쪽으로는 제2 여액 수집판(45, 46)이 V자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되어 무단 여과벨트(27)를 통과하여 나온 여액 및 무단 여과벨트 세척수를 여액 배출관(41)으로 흘러 들어가게 한다. 제1 여액 수집판(42)에는 연결관(43)이 부착되어 있어 제1 여액 수집판(42)로 모여진 여액이 구멍(42a)을 통해 연결관(43)으로 흘러 들어가 여액 배출관(41)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1 컨베이어 롤러(31) 근처에는 무단 여과벨트(27) 위에 쌓인 미세 협잡물을 스크류 프레스(55)로 떨어뜨리는 스크래퍼(57)가 무단 여과벨트(27)를 가로지른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스크류 프레스(50)는 무단 여과벨트(27)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미세 협잡물을 탈수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시킨다. 스크류 프레스(50)는 내부에 모터(81)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51)와 스크류(51)를 감싸는 프레스 케이스(52)를 포함하는데, 프레스 케이스(52)는 장치 내부에서 무단 여과벨트(27)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미세 협잡물이 들어올 수 있도록 위쪽은 개방되어 있다(개방부: 52a). 개방부(52a) 위쪽으로는 미세 협잡물이 원활히 스크류 프레스(55) 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협잡물 수집판(45, 46)이 V자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되어 있다. 또 스크류 프레스(55)에는 미세 협잡물이 탈수될 발생하는 여액을 배출하는 배출관(56)이 연결되어 있다. 스크류 프레스(55)에 연결된 배출관(56)은 독자적으로 장치(10)를 빠져 나오도록 설치되거나 여액 배출관(41)에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롤러(31)와 가이드 덕트(22) 사이에는 무단 여과벨트(27)에 쌓인 미세 협잡물을 케이크 형태로 만드는 압착 롤러기구가 설치된다. 압착 롤러기구는 제1 및 제2 압착롤러(33, 34)가 무단 여과벨트(27)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무단 여과벨트(27)는 제1 압착롤러(33)와 제2 압착 롤러(34) 사이를 통과하면서 회전하므로, 무단 여과벨트(27) 위에 쌓인 미세 협잡물은 제1 압착롤러(33)와 제2 압착 롤러(34)에 압착되어 케이크 형태로 된다. 케이크 형태로 된 미세 협잡물은 제1 컨베이어 롤러(31) 근처에 위치하는 스크래퍼(57)에 의해 더욱 원활히 무단 여과벨트(27)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압착롤러(33)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은 에어 실린더(73)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압착 롤러(33)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은 에어 실린더(73)에 의해 눌러지므로 에어 실린더의 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제1 압착롤러(33)와 제2 압착롤러(34)의 간격이 조절된다. 무단 여과벨트에 쌓인 미세 협잡물의 성상에 따라 제1 압착롤러(33)와 제2 압착롤러(34)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미세 협잡물을 원활히 케이크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무단 여과벨트(27)의 중앙에는 무단 여과벨트(27)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분출되는 세척 파이프(67)가 설치된다. 또 무단 여과벨트(27) 아래쪽에는 브러쉬(63)가 무단 여과벨트(27)를 가로 지르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무단 여과 벨트에 묻어 잇는 협잡물은 세척 파이프(61)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세척수 및 브러쉬(63)에 의해 제거된다. 컴프레셔(85)는 공기를 압축하여 실린더(73, 75a, 75b)를 구동하는 동력을 만드는 기구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는 미세 협잡물을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컨베이어 롤러 사이를 선회하는 무단 여과벨트를 사용하여 기계적 방식으로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응집제에 의한 오폐수의 오염을 축소할 수 있고, 더욱 응집제의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5)

  1. 제1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2 컨베이어 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에 걸려 회전하는 무단 여과벨트와, 오폐수 여액을 상기 무단 여과 벨트 위로 도입시키는 오폐수 여액 도입관과,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롤러 사이에서 무단 여과벨트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액 배출관과, 제1 컨베이어 롤러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무단 여과 벨트 위에 쌓인 미세 협잡물을 분리하여 상기 무단벨트 아래쪽으로 떨어뜨리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무단 여과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진 협잡물을 여액을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 프레스를 포함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협잡물 처리 장치는 무단 여과 벨트위에 싸인 미세 협잡물을 케이크 형태로 만들기 위한 압착 롤러기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러 기구는 제1 및 제2 압착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무단 여과벨트는 상기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는 상기 무단 여과벨트가 틀어지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행 방지기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여과벨트의 중앙에는 상기 무단 여과벨트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분출되는 세척 파이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KR2020060005120U 2006-02-24 2006-02-24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KR200416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120U KR200416100Y1 (ko) 2006-02-24 2006-02-24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120U KR200416100Y1 (ko) 2006-02-24 2006-02-24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032A Division KR101066444B1 (ko) 2006-02-24 2006-02-24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100Y1 true KR200416100Y1 (ko) 2006-05-12

Family

ID=4176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120U KR200416100Y1 (ko) 2006-02-24 2006-02-24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1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957B1 (ko) 2010-08-20 2012-04-17 거림환경 주식회사 협잡물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957B1 (ko) 2010-08-20 2012-04-17 거림환경 주식회사 협잡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780B1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AU2013222420B2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KR102147259B1 (ko)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KR101244211B1 (ko)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KR101066444B1 (ko)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KR20170032649A (ko) 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순환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16032017A1 (ko)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200416100Y1 (ko)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KR20160026817A (ko) 에너지 사용 감소를 위해 구획식으로 확장가능한 회전 벨트 필터
KR900000908B1 (ko) 1차 탈수된 슬러지편의 탈수장치
JP6694705B2 (ja) 脱墨廃液処理装置および脱墨処理装置
CN214972383U (zh) 一种用于废水处理的除渣机
KR100754247B1 (ko)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0344615Y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0431612Y1 (ko) 하,폐수 처리의 미세 협잡물 처리 장치
KR200414355Y1 (ko) 조목, 미세목 일체형 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침사 협잡물종합처리기
KR101192856B1 (ko) 하폐수의 협잡물 처리기
KR200220293Y1 (ko) 축산농가의 배출물 여과장치
KR100828162B1 (ko)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KR200317510Y1 (ko)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KR101113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오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CN219376276U (zh)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
KR200168721Y1 (ko) 폐수 및 폐유의 슬러지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