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068Y1 - 응원용 장갑 - Google Patents

응원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068Y1
KR200416068Y1 KR2020060004425U KR20060004425U KR200416068Y1 KR 200416068 Y1 KR200416068 Y1 KR 200416068Y1 KR 2020060004425 U KR2020060004425 U KR 2020060004425U KR 20060004425 U KR20060004425 U KR 20060004425U KR 200416068 Y1 KR200416068 Y1 KR 200416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ering
tool body
finger
hand
whis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이 filed Critical (주)디에이
Priority to KR2020060004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0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41D19/0031Whistles or other war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1Deco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다양한 응원도구로서의 기능과 응원 효과가 발휘되도록 한 응원용 장갑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응원용 장갑은, 손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응원도구에 있어서, 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응원도구몸체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목 부위가 결속되는 제1연결밴드와,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손가락 형상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자의 각 손가락이 고정되는 제2연결밴드로 구성된 연결밴드부재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손가락 단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주입시에 공명음이 발생되는 호각이 구성된다.

Description

응원용 장갑 {A GLOVE BALLOON FOR CHEERING }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응원용 장갑, 12,22:응원도구몸체,
14:공기주입구, 16,26:연결밴드부재,
18,28:호각.
본 고안은 응원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기장 등에서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다양한 응원도구로서의 기능과 응원 효과를 발휘하는 응원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스포츠 경기장에서 운동경기를 관람하는 것은 해당 스포츠에 대한 애호가 집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이와 같은 운동경기의 관람과정에서 응원행위는 박수를 치거나 목소리를 이용한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프로 스포츠의 등장과 다양한 스포츠 장려 프로그램에 의해 관람인구가 급속하게 증가되고 관람계층 또한 다양한 계층으로 확대되면서 현대사회의 중요한 놀이문화로 자리매김된 상태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경기장에서의 응원문화 또한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되고 있고, 응원에 사용되는 응원도구 또한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음향을 발생시키는 호각 종류나 서로 부딪치는 타격음을 이용한 풍선 종류의 응원도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기장에서 막대풍선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막대풍선은 공기를 주입하여 서로 부딪치게 되면 손벽을 치는 것 보다 큰 타격음이 발생되어 응원효과가 증대되고 손벽을 칠 때 발생되는 통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서 협소한 장소에서 많은 관람객이 응원에 집중하다 보면 다른 관람객에게 불필요한 피해를 줄 수 있고,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막대풍선은 응원시에 서로 부딪쳐서 타격음을 발생시키거나 흔들면서 응원효과를 발휘하는 정도로 밖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응원도구로서 사용범위가 단순하고 표현할 수 있는 응원기능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다양한 응원도구로서의 기능과 응원 효과가 발휘되도록 한 응원용 장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응원용 장갑은 손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응원도구에 있어서,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응원도구몸체와; 상기 응원도구몸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목 부위가 결속되는 제1연결밴드와,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손가락 형상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자의 각 손가락이 고정되는 제2연결밴드로 구성된 연결밴드부재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손가락 단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주입시에 공명음이 발생되는 호각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손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응원도구에 있어서, 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응원도구몸체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목 부위가 결속되는 제1연결밴드와,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손가락 형상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자의 각 손가락이 고정되는 제2연결밴드로 구성된 연결밴드부재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손가락 단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주입시에 공명음이 발생되는 호각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응원도구를 왼손 및 오른손에 각각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쌍으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왼손 및 오른손에 착용되는 응원도구몸체에 설치되는 호각의 공명음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각 손가락 부위에 호각이 설치되고 각 호각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은 각각 서로 다른 음색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손가락 부위 측면 또는 연결밴드부재의 외면상에는 보조 응원도구나 장식물이 설치되도록 고리 또는 밸크로 화스너로 형성되는 부속도구결속부재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손바닥면에는 광고문구 또는 문양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정면도,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10)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응원도구몸체(12)와, 상기 응원도구몸체(12)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주입구(14)와, 상기 응원도구몸체(12)에 손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밴드부재(16)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에 설치되어 공명음을 발생시키는 호각(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응원도구몸체(12)는 공기의 주입시에 팽창되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구성되고, 또한 인체의 손과 같이 관절부위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게 되면 이에 연동되어 응원도구몸체의 손가락 부분이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원도구몸체(12)의 손바닥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극기와 같은 문양이나 광고문구 등을 인쇄하거나 부착하여 응원시에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구(14)는 응원과정에서 간섭받지 않는 위치라면 응원도구몸체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주입이 편리하도록 엄지손가락에 해당되는 응원도구몸체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밴드부재(16)는 응원도구몸체(12)의 배면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목 부위가 결속되는 제1연결밴드(16a)와, 응원도구몸체(12)의 배면 손가락 형상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자의 각 손가락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밴드(16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부재(16)는 신축성이 있는 밴드를 응원도구몸체(12)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신축성 밴드에 밸크로 화스너(매직 테이프)를 부착하여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호각(18)은 주지된 호각의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응원도구몸체(12)의 손가락 단부에 설치되고 공기투입공를 통해 바람을 불어넣게 되면 공명발생홀(18a)의 작용으로 공명음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호각(18)의 설치 위치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검지 손가락에 해당되는 응원도구몸체(12)에 설치되므로서 응원과정에서의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호각(18)은 응원도구몸체(12)의 손가락 단부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구성되거나,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부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응원용 장갑(10)은 사용자의 왼손 또는 오른손에 맞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왼손용 응원도구몸체(12)와 및 오른손용의 응원도구몸체(12)에 설치되는 호각(18)의 공명음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호각음에 의한 다양한 응원의 연출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호각은 응원도구몸체(12)의 특정 손가락 부위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손가락 부위에 각각 호각이 설치되고 각 호각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이 서로 다른 음색을 갖도록 구성되므로서 서로 다른 음계에 의해 응원시에 간단한 응원가 등의 연주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원도구몸체(12)의 손가락 부위 측면 또는 연결밴드부재(16)의 외면상에는 휴대용 피리 또는 국기 등과 같은 보조 응원도구나 장식물이 설치되는 부속도구결속부재(17)가 구성된다.
상기 부속도구결속부재(17)는 고리나 밸크로화스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밸크로화스너(일명:찍찍이 밴드)로 구성되어 다른 응원도구나 장 식물이 손쉽게 탈착되어 응원시에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기 연결밴드부재(16)의 외면상에 구성되는 부속도구결속부재(17)는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의 보관이나 휴대시에 왼손용과 오른손용을 서로 부착시킴으로서 사용상에 편의성이 도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 상태의 응원용 장갑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공기주입구(14)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응원도구몸체(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손과 같은 형상으로 팽창되는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손목 부분을 제1연결밴드(16a)로 고정하고 각 손가락을 각각의 제2연결밴드(16b)내로 삽입하면 착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왼손 및 오른손에 응원용 장갑(10)을 착용한 후 각 응원용 장갑의 손바닥 부분이 서로 접촉되도록 손벽을 치게 되면 맨 손으로 손벽을 칠 때 보다 큰 타격음이 발생되어 응원효과가 증대되고, 맨 손으로 손벽을 칠 때에 발생되는 통증 또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응원과정에서 응원용 장갑(10)의 손가락 부분에 위치된 호각(18)을 불게 되면 공명음에 의한 독특한 응원효과가 발휘되는데, 즉 별도로 호각을 휴대하거나 준비된 호각을 찾아서 불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이 손벽을 치는 과정에서 별다른 준비동작 없이 손쉽게 호각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10)은 각각의 손가락 부분을 별도로 움직 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개별 움직임을 이용한 응원동작이 가능하고, 또한 손바닥 부분에 형성된 광고문구나 문양(19)을 이용한 응원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광고문구를 이용한 홍보효과 또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20)은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응원도구몸체(22)와, 상기 응원도구몸체(22)에 손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밴드부재(26)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에 설치되어 공명음을 발생시키는 호각(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응원도구몸체(22)는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가벼운 발포우레탄으로 형성된다. 또한 인체의 손과 같이 관절부위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게 되면 이에 연동되어 응원도구몸체의 손가락 부분이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원도구몸체(22)의 손바닥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태극기와 같은 문양이나 광고문구 등이 인쇄되거나 부착된다.
상기 연결밴드부재(26)는 응원도구몸체(22)의 배면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목 부위가 결속되는 제1연결밴드(26a)와, 응원도구몸체(22)의 배면 손가락 형상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자의 각 손가락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밴드(26b)로 구성된다.
상기 호각(28)은 주지된 호각의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응원도구몸체(22)의 손가락 단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이 호각(28)이 설치되는 응원도구몸체(22) 손가락 부위에는 설치홀이 형성된다.
상기 응원용 장갑(20)은 사용자의 왼손 또는 오른손에 맞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왼손용 응원도구몸체(22)와 및 오른손용의 응원도구몸체(22)에 설치되는 호각(28)의 공명음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은 공기주입식이 아니라는 차이점은 제외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과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즉 제2실시예에서는 공기주입구의 구성이 삭제되고, 부속도구결속부재와 같은 구성은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은 작용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에 의하면, 맨 손으로 손벽을 치는 것 보다 큰 타격음이 발생되어 응원효과가 증대되고 손벽을 칠 때 발생되는 통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응원과정에서 개별 손가락 동작을 이용하거나 보조 응원도구를 설치하여 다양하게 응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별도로 호각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호각의 공명음을 다양하게 발생시켜 응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손바닥 부분에 광고문구나 문양을 형성한 응원용 장갑의 독특한 형상과 움직임 으로 인해 특별한 광고효과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손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응원도구에 있어서,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응원도구몸체와;
    상기 응원도구몸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목 부위가 결속되는 제1연결밴드와,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손가락 형상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자의 각 손가락이 고정되는 제2연결밴드로 구성된 연결밴드부재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손가락 단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주입시에 공명음이 발생되는 호각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2. 손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응원도구에 있어서,
    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응원도구몸체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목 부위가 결속되는 제1연결밴드와, 응원도구몸체의 배면 손가락 형상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자의 각 손가락이 고정되는 제2연결밴드로 구성된 연결밴드부재와;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손가락 단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주입시에 공명음이 발생되는 호각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도구를 왼손 및 오른손에 각각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왼손 및 오른손에 착용되는 응원도구몸체에 설치되는 호각의 공명음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각 손가락 부위에 호각이 설치되고 각 호각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은 각각 서로 다른 음색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손가락 부위 측면 또는 연결밴드부재의 외면상에는 보조 응원도구나 장식물이 설치되도록 고리 또는 밸크로 화스너로 형성되는 부속도구 결속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도구몸체의 손바닥면에는 광고문구 또는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KR2020060004425U 2006-02-15 2006-02-15 응원용 장갑 KR200416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25U KR200416068Y1 (ko) 2006-02-15 2006-02-15 응원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25U KR200416068Y1 (ko) 2006-02-15 2006-02-15 응원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068Y1 true KR200416068Y1 (ko) 2006-05-10

Family

ID=4176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425U KR200416068Y1 (ko) 2006-02-15 2006-02-15 응원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0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07A2 (ko) * 2008-10-27 2010-05-06 Kim Chun Yeong 박수 판을 이용한 응원도구
JP7424604B2 (ja) 2019-09-25 2024-01-30 株式会社Zen 応援グッ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07A2 (ko) * 2008-10-27 2010-05-06 Kim Chun Yeong 박수 판을 이용한 응원도구
WO2010050707A3 (ko) * 2008-10-27 2010-08-12 Kim Chun Yeong 박수 판을 이용한 응원도구
JP7424604B2 (ja) 2019-09-25 2024-01-30 株式会社Zen 応援グッ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990838U (zh) 乐器指力练习盘
US8225425B2 (en) Noisemaker apparatus
US20040192158A1 (en) Transformable toy
US6000063A (en) Novelty sports hat with three-dimensional team insignia
KR200416068Y1 (ko) 응원용 장갑
US20040116042A1 (en) Bobble-head doll with deformable head
US6269487B1 (en) Tennis glove
US7343636B1 (en) Combination cheering aid and seat cushion
US7582818B2 (en) Violin thumb pad
CN209591186U (zh) 一种乐器指力练习盘
US7146648B1 (en) Novelty implements for providing user enjoyment
US20080076318A1 (en) Mascot Rally
US20020098923A1 (en) Hand mounted ball striking game implement
US6340507B2 (en) Self-securing pompon
KR20090002553U (ko) 모자용 끈 홀더
CN104835481A (zh) 一种打槌及打琴
KR200393668Y1 (ko) 완구를 겸하는 팔목밴드
JP3012598U (ja) 打楽器を一体に有する手袋
KR200265649Y1 (ko) 다양한 의사표현이 가능한 다기능 응원용 보조기구
US9737778B2 (en) Sports training device
JP3017112U (ja) 応援用具
CN202722731U (zh) 万用表带
CN203165435U (zh) 一种便于演奏的陶笛
KR0131494Y1 (ko) 나팔 겸용 응원기
JP2010162291A (ja) ビリヤード用ブリッジ形成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