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050Y1 -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 - Google Patents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050Y1
KR200416050Y1 KR2020060000498U KR20060000498U KR200416050Y1 KR 200416050 Y1 KR200416050 Y1 KR 200416050Y1 KR 2020060000498 U KR2020060000498 U KR 2020060000498U KR 20060000498 U KR20060000498 U KR 20060000498U KR 200416050 Y1 KR200416050 Y1 KR 200416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olt
floor
float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익
추수철
이택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드
Priority to KR2020060000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 재질적인 특성과 함께 구조적으로도 운동에너지를 잘 흡수하도록 진동 감쇠 등 바닥 충격을 고르게 흡수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하여 철 원판 디스크를 내부에 함침시켜 기능을 향상시켰으며 밑부분을 둥글게 가공하고 상부에는 철편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인 고무 완충재와 완충재의 겉으로 둥글게 플라스틱 등 자재로 외피를 이루는데 옆으로는 판넬 고정용 돌기를 사면에 설치하고 상부 중앙에는 너트 인서트 부를 포함하는 덮개를 구비한 외피부와 위 고무 완충재와 외피부를 띄우기 위한 장치로서 상부에 육각 렌지를 구비한 볼트 부로 이루어지는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를 제공한다.
방진, 바닥 충격음, 고무, 고무 마운트, 완충재, 뜬 바닥, 하이드 소닉큐 III

Description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Rubber Mount of floating Floor}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진 고무 마운트의 3D 그림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 고무 마운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3D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진 고무 마운트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 고무 마운트 설치 시공 상태의 부분 단면도.
본 고안은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재질적인 특성과 함께 구조적으로도 운동에너지를 잘 흡수하도록 진동 감쇠 등 바닥 충격을 고르게 흡수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대개 방진 마운트는 각종 장치나 설비 등의 바닥이나 벽체 등에 설치할 때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때 운동에너지를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고무나 스프링들의 완충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그런데,
고무를 완충재로 사용하는 방진 고무 마운트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다양한 형상과 여러 구조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각종 계측기류, 공작기계 및 차량등의 방진을 위한 제품을 비롯하여 각종 냉난방 장치와 설비, 공조 장치와 설비 및 기타 방진 제품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고안의 기술이 속하는 원기둥 형상의 방진 고무 마운트에 속하는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충격을 완화하는 방법으로 완충부에서는 고무 자체만의 성질만을 이용하기보다는 고무 원기둥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외경을 서서히 작게 하거나 외부를 톱니 형상으로 가공하거나 고무 원기둥의 중간부가 배부른 형태로 가공하거나 혹은 밑부분의 중간 부분에 홈을 파는 등 형태 및 고무 재질상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위 완충부의 개구쪽 끝면 양측에 고정볼트 등을 통하여 바닥이나 벽체 등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하는 바 방진 고무 마운트 종래의 기술상의 완충부에는 위쪽 끝면 중앙부에서 공간부까지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가 설치되며 위 조절 볼트의 위쪽 끝 부분에는 대개 각종 장치나 설비와 결합하기 위한 캡볼트를 결합시킨 형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방진 고무 마운트는 하나의 장치로서 위쪽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나 설비 등에서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상기한 완충부가 수축된 상태로 진동을 감쇠하는 등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방진 고무 마운트 기술 중에서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고무 자체의 성질만을 이용하는 경우는 진동을 감쇠하는 등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하는 효율에 한계가 있으며 여러 가지 형태로 가공을 한 고무 마운트의 경우에 도 집중 응력을 받을 경우에는 내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일정 범위 이상의 하중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소기의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없거나 파손되어 장치나 설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설치 형태에 따라 부응할 수 있는 완충력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기도 하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상층부에서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고 수직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는 매우 취약하여 제대로 부응하기 어려우며 위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연결부에 직접 연결되어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래의 완충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 종래의 방진 고무 마운트는 대개 당초 제조된 형태대로 현장에서 고정부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대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질적인 특성과 함께 형태구조적으로도 운동에너지를 잘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수직 하중에 의한 충격 및 진동은 물론 여러 방향에서 오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화시키며 그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바닥을 띄워 뜬 바닥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성능을 별도로 부여한 방진 고무 마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도 1]은 재질적인 특성과 함께 구조적으로도 운동에너지를 잘 흡수하도록 진동 감쇠 등 바닥 충격을 고르게 흡수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하여 철편을 내부에 함침시켜 기능을 향상시켰으며 밑부분을 둥글게 가공하고 상부에는 철편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인 고무 완충재(01)와 완충재의 겉으로 둥글게 플라스틱(10) 등 자재로 외피를 이루는데 옆으로는 판넬 고정용 돌기(11)를 사면에 설치하고 상부 중앙에는 너트 인서트 부를 포함하는 덮개(12)를 구비한 외피부(10)와 위 고무 완충재(01)와 외피부(10)를 띄우기 위한 장치로서 상부에 육각 렌지(22)를 구비한 볼트부(20)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의 일 실시예는 [도 2]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면이 둥근 원기둥 형상인 고무 완충재(01)와 위 완충재를 감싼 외피부(10)는 소정 두께의 바닥을 이루는 판넬에 견고하게 부착하고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11)와 판넬을 떠올리기 위한 볼트(20)를 돌리기 위한 너트로 이루어진 인서트부(13)로 이루어졌으며 볼트부(20)는 볼트(21)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육각 렌지(22)를 이루어 현장에서 휴대용드릴 등으로 돌려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완충재(01)는 고무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방진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네오프렌(Neoprene)고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완충재(01)은 중간에 2mm두께의 원판 디스크 철판(03)을 넣어 원기둥 형상으로 받는 하중력의 방향을 조정하도록 하는데 이때 완충재(01)의 형상은 원기둥 이외에 타원기둥 형상이나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완충재(01)의 하부 끝부분에서 상부 끝부분까지 폭을 일정하게 하는 게 보통이지만 양끝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하부 끝부분(02)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 하여 설치시 받은 변위를 1.8mm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완충재(01)의 상부(04)도 2mm 철판 및 플라스틱제 원판 디스크를 구비하여 소정 두께로 이루어진 판넬 및 외피부(10)를 볼트부(20)을 돌려 떠올릴 때 고무로 이루어진 완충재(01)를 파고 들어가지 않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외피부(10)는 금속재 혹은 고강도 플라스틱재로 이루어 진다. 그런데 외피부가 금속제로 형성하는 경우 수분 접촉시 녹이 슬어 수명이 단축이 되고 녹방지 대책 금속을 사용하면 고비용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제를 사용하되 강도나 견고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외피부(10)은 소정 두께의 판넬을 부착하고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11)와 볼트부(20)를 삽입하기 위한 너트부(12)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사출성형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외피부(10)는 전체적으로 완충재(01)보다 반경이 각 2mm 크게 형성하여 완충재(01)이 변위가 일어날 때 지지하여 수평으로 더 이상 큰 변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하여 결과적으로 완충재(01)의 수직 변위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볼트부(20)은 판넬과 일체형으로 부착된 완충재(01)과 외피부(10)에 끼워져 판넬을 기본 바닥면에서 띄워 분리시키는 작용시킨다. 이때 볼트부(20)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30mm이나 판넬을 20mm정도 떠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판넬(30)의 크기와 두께는 필요에 의해 임의로 정할 수 있으나 다루는 중량이나 시공 측면을 고려하여 폭 600mm, 길이 1,200mm 및 폭 40mm 로(이때의 중량은 대략 30kg 정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 판넬의 용도는 주로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음 저감용(31)으로 사용하는데 이 판넬 한 장당 본 고안의 방진 고무 마운트가 다섯 개 정도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는 상기와 같이 판넬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제공(32)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데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설치되는 경우에 볼트부(20) 돌려 고르게 바닥에 밀착되면 외피부(10)와 완충재(01)의 기능으로 모든 방진 고무 마운트가 일정한 변위 수준, 즉 1.8mm 정도의 변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청구 범위 및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진 고무 마운트에 의하면 운동에너지를 잘 흡수하는 고무 자체의 성질과 함께 고무 가운데 철판 디스크를 넣어 방향성을 조절하며 변위량을 고르게 유지하며 초과하는 변위량은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여 진동을 감쇠하는 등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하는 효율을 정밀하게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뜬 바닥 구조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는 대략 중량이 100kg이상의 장치나 설비를 지지하는 것은 물론 평균체중이 63kg인 사람들이 거주하는 공동주택의 바닥면을 지지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진 고무 마운트는 주로 뜬 바닥 구조체, 특히 출원인 회사의 "하이드 소닉큐 III"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저감 시스템의 주요 구조를 이루기 위해 고안되었지만 타용도의 방진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에 의하면 상부에 각종 장치와 설비를 설치하고 사람들이 이동함에 따라 혹은 난방용 냉온수관과 배기관 등의 압력 작용으로 완충재가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전단 방향으로 진동과 충격을 받아 하중을 받게 되더라도 단계적으로 에너지량과 방향 등이 골고루 변형되고 위 변위량이 조절되어 받는 하중을 정밀하게 지지하게 된다.

Claims (4)

  1. 철 원판 디스크를 내부에 함침시켜 하중의 방향을 조절하며
    밑부분을 둥글게 가공하고 상부에는 철편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인 고무 완충재와,
    완충재의 겉으로 둥글게 플라스틱 등 자재로 외피부와,
    상기의 외피부는 옆으로 판넬 고정용 돌기를 사면에 설치하고 상부 중앙에는 너트 인서트 부를 포함하는 덮개를 구비하였으며 위 외피부를 상기한 고무 완충재에서 띄우기 위한 장치로서 상부에 육각 렌지를 구비한 볼트부로 이루어지는 뜬 바닥 구조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무 완충제는 방진 고무를 주재료로하여 상부와 중간부에 철판을 함침되어 있으며, 상부와 중간부의 철판은 바닥부상(Floating)을 위하여 볼트를 하강시킬때 방진 고무에 하중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적정한 변위를 일으키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마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피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 부상(floating)시 볼트를 체결하여 주고 볼트의 조임시 바닥이 원만히 부상할 수 있도록 바닥 앵커(Anchor) 역할을 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마운트 .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볼트부는 볼트체결시 볼트의 머리가 외피 부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바닥을 부상(floating) 시키기 위하여 육각렌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방진 고무 마운트.
KR2020060000498U 2006-01-06 2006-01-06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 KR200416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98U KR200416050Y1 (ko) 2006-01-06 2006-01-06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98U KR200416050Y1 (ko) 2006-01-06 2006-01-06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050Y1 true KR200416050Y1 (ko) 2006-05-10

Family

ID=4176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498U KR200416050Y1 (ko) 2006-01-06 2006-01-06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0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06B1 (ko) * 2010-12-20 2011-06-29 (주)퓨쳐테크 진동 방지장치
KR102455829B1 (ko) * 2022-06-30 2022-10-20 (주)영광씨엠씨 칸막이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06B1 (ko) * 2010-12-20 2011-06-29 (주)퓨쳐테크 진동 방지장치
KR102455829B1 (ko) * 2022-06-30 2022-10-20 (주)영광씨엠씨 칸막이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3641B2 (en) High-performance shear friction damper
KR101916806B1 (ko) 복합충격완충기능과 방음 방진기능을 갖는 내진기능의 바닥구조
KR101765108B1 (ko) 내진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내진 보강방법
KR101832706B1 (ko) 물탱크용 상하조절용 내진건식패드
US20200181931A1 (en) Damper for reinforcing earthquake resistance
KR200416050Y1 (ko) 뜬 바닥 구조체 구성을 위한 방진 고무 마운트
JP5128970B2 (ja) 床支持具及び床構造
KR101108007B1 (ko) 주차장치의 기둥프레임 지지장치
WO2007061199A1 (en) Supporting system for double floors
JP4622663B2 (ja) 免震支承
KR101312958B1 (ko) 중량물의 진동감쇄장치
KR101090973B1 (ko) 중량체에 의한 충격음 저감 바닥구조체
JP5968688B2 (ja) 減震構造体
CN209779436U (zh) 一种桥梁减隔震支座
KR102498283B1 (ko) 볼타입 작동체가 구비된 면진장치
JP7224101B2 (ja) 変位ストッパーと免震建物
KR200422532Y1 (ko) 높이 조정이 자유로운 뜬 바닥 구조체 구성용 방진 고무마운트
JP5128969B2 (ja)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KR200413295Y1 (ko) 다중 스프링-라버 패드 방진마운트
JPH1037212A (ja) 免震地盤
KR200423550Y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2141981B1 (ko) 뜬 바닥마루 구조의 들보지지용 방진고무
KR100920200B1 (ko) 제진합판을 사용한 플라이우드패널 방식의 이중바닥 시스템
KR200384918Y1 (ko)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JP2014145243A (ja) 薄型摩擦減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