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909Y1 -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 Google Patents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909Y1
KR200415909Y1 KR2020060005325U KR20060005325U KR200415909Y1 KR 200415909 Y1 KR200415909 Y1 KR 200415909Y1 KR 2020060005325 U KR2020060005325 U KR 2020060005325U KR 20060005325 U KR20060005325 U KR 20060005325U KR 200415909 Y1 KR200415909 Y1 KR 200415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od body
permanent wave
hair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순희
Original Assignee
하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순희 filed Critical 하순희
Priority to KR2020060005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9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22Means for fastening the hair on the curl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드본체 일측 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압박부재를 체결하여 앤딩 페이퍼의 사용 없이도 머리카락을 손쉽게 와인딩 시술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의 와인딩 후 고무밴드 대신 고정클립부재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압박부재 및 고정클립부재의 사용으로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에 있어서 머리카락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초보자도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는 머리카락에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하기 위한 로드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양단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제 1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외주면 상에 탈착홈이 형성되는 로드본체와, 상기 로드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 내에 각각 체결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제 2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본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압박부재와, 상기 로드본체의 타측에 끼워지는 고정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퍼머넌트, 웨이브, 머리카락, 로드본체, 압박부재, 고정클립부재

Description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ROD-SET FOR A PERMANENT WAVE}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측단면도.
도 4a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사용상태도.
도 4b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4c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10 : 로드본체
12 : 제 1 손잡이부 14 : 끼움홈
16 : 탈착홈 18 : 고정돌기
20 : 압박부재 22 : 제 2 손잡이부
24 : 끼움돌기 26 : 돌기부
30 : 탄성부재 40 : 고정클립부재
42 : 삽입부 44 : 지지부
46 : 출납손잡이 48 : 탈착돌기
본 고안은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에 사용되는 퍼머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드본체 일측 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압박부재를 체결하여 앤드 페이퍼의 사용 없이도 머리카락을 손쉽게 와인딩 시술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의 와인딩 후 고무밴드 대신 고정클립부재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압박부재 및 고정클립부재의 사용으로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에 있어서 머리카락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초보자도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머(permanent wave)는 보통 열이나 화학약품 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모발에 원하는 모양의 웨이브를 만들거나 직선으로 펴거나 함으로써 아름다움을 연출하는 미용수단의 하나이다.
특히 모발에 원하는 모양의 웨이브를 주고자 하는 파마의 경우에는 통상 소 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원통형 로드(rod)와 상기 로드에 파마액이 도포된 소정량의 머리카락을 엔딩페이퍼와 함께 필요한 길이만큼 와인딩 한 후 와인딩 된 머리카락을 로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로드의 앙측단부 외주부를 다라 격간으로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고정수단인 고무밴드를 걸어 로드에 머리카락을 고정케 한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시술방식은 엔딩 페이퍼를 이용해 머리를 감는 과정과 고무밴드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모발이 꺾이거나 손상되며, 심지어 머리카락이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도의 기술자가 아닌 초보자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박부재와 고정클립부재를 사용하여 모발의 갈라짐 또는 끊어짐 등의 손상 없이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초보자도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은, 머리카락에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하기 위한 로드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양단에 끼움홈이 형 성되는 제 1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외주면 상에 탈착홈이 형성되는 로드본체와, 상기 로드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 내에 각각 체결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제 2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본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압박부재와, 상기 로드본체의 타측에 끼워지는 고정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손잡이부와 제 2 손잡이부의 내측에는 각각을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손잡이부와 제 2 손잡이부가 탄성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고정클립부재는 상기 제 1 손잡이부와 제 2 손잡이가 형성되는 반대측의 로드본체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로드본체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에 비해 로드본체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반대측으로 출납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로드본체의 탈착홈 내에 끼워져 상기 고정클립부재를 상기 로드본체에 고정시키는 탈착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로드본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압박부재 및 고정클립부재는 나일론수지 재질로 사출형성되어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측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a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며, 도 4b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다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4c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로드세트(1)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머리카락에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하기 위한 로드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양단에 끼움홈(14)이 형성되는 제 1 손잡이부(12)가 형성되며 타측의 외주면 상에 탈착홈(16)이 형성되는 로드본체(10)와, 상기 로드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4) 내에 각각 체결되도록 끼움돌기(24)가 형성되는 제 2 손잡이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본체(10)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압박부재(20)와, 상기 로드본체(10)의 타측에 끼워지는 고정클립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드본체(1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양단에 끼움홈(14)이 형성되는 제 1 손잡이부(12)가 형성되며 타측의 외주면 상에 탈착홈(16)이 형성되는 것으로 퍼머넌트 웨이브가 시술되는 머리카락이 와인딩 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제 1 손잡이부(12)가 형성되는 로드본체(10)의 두께는 시술되는 퍼머넌트 웨이브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Ø7.5(mm), Ø9(mm), Ø10(mm), Ø11(mm), Ø12(mm), Ø13(mm), Ø15(mm), Ø17(mm) 인 것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로드본체(10)의 일측에는 제 1 손잡이부(12)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제 1 손잡이부(12)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손잡이부(22)가 형성되는 압박부재(20)를 로드본체(10) 상에서 탄성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제 1 손잡이부(12)의 끝단에는 시술자의 손에 묻어 있는 퍼머용액 및 물기로 인해 제 1 손잡이부(12)와 추후에 설명될 제 2 손잡이부(22)의 회동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돌기(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손잡이부(12) 상에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손잡이부(22)의 끼움돌기(24)가 끼워지는 끼움홈(14)이 형성되며, 추후에 설명될 압박부재(20)의 회동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상향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손잡이부(12)가 형성되는 로드본체(10)의 타측 외주면에는 탈착 홈(16)이 형성되는데, 전술한 탈착홈(16)은 추후에 설명될 고정클립부재(40)의 탈착돌기(48)가 끼워져 로드본체(10) 상에 고정클립부재(40)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탈착홈(16)이 형성되는 로드본체(10)에서 추후에 설명될 압박부재(20)와 면접되는 측은 압박부재(20)의 압박이 최대한 가해져서 머리카락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적절한 양의 머리카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되 내향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로드본체(1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로드본체(10) 외주면 상으로 다수의 미세한 돌기를 형성하여 와인딩 되는 머리카락이 미끄러져 빠져나가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로드본체(10) 상에는, 로드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끼움홈(14) 내에 각각 체결되도록 끼움돌기(24)가 형성되는 제 2 손잡이부(22)가 형성되어 로드본체(10) 상에서 회동 되는 압박부재(20)가 체결된다.
전술한 압박부재(20)는 로드본체(10)에 와인딩 되는 머리카락의 끝부분을 압박함으로써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고 와인딩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압박부재(20)는 끼움돌기(24)를 형성하여 로드본체(10)의 제 1 손잡이부(12)의 끼움홈(14) 내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제 1 손잡이부(12)와 제 2 손잡이부(22)의 내측에는 각각을 지지하는 탄성부재(30)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손잡이부(12)와 제 2 손잡이부(22)가 탄성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전술한 탄성부재(30)는 제 1 손잡이부(12)와 제 2 손잡이부(22)의 내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어 비틀림 응력을 받는 원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 2 손잡이부(22)는 전술한 제 1 손잡이부(12)와 마찬가지로 로드본체(10) 상에서의 회동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상향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제 1 손잡이부(12)와 제 2 손잡이부(22)는 각각 반대방향으로 상향 경사져서 형성되게 된다.
전술한 압박부재(20)의 제 2 손잡이부(22) 상에는 전술한 제 1 손잡이부(12)와의 회동시에 시술자의 손에 묻어 있는 퍼머용액 및 물기로 인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부(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압박부재(20)는 나일론수지(nylon6) 재질로 사출형성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압박부재(20)가 체결되는 로드본체(10)의 타측에는 고정클립부재(40)가 끼워지는데, 전술한 고정클립부재(40)는 로드본체(10)에 의해 와인딩 된 머리카락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고정클립부재(40)는 제 1 손잡이부(12)와 제 2 손잡이가 형성되는 반대측의 로드본체(10)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로드본체(10)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42)에 비해 로드본체(10)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44)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지부(44)의 반대측으로 출납손잡이(46)가 형성되며, 지지부 (44)의 내측에는 로드본체(10)의 탈착홈(16) 내에 끼워져 고정클립부재(40)를 로드본체(10)에 고정시키는 탈착돌기(48)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전술한 고정클립부재(40)의 지지부(44) 끝단은 로드본체(10)에 와인딩 된 머리카락 상에 끼워지고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상향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고정클립부재(40)는, 전술한 압박부재(20)와 마찬가지로 나일론수지(nylon6) 재질로 사출형성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퍼머넌트 웨이브가 시술될 일정량의 머리카락을 정리한다.
그런 다음, 로드본체(10)의 제 1 손잡이부(12)와 압박부재(20)의 제 2 손잡이부(22)를 회동시켜 정리된 머리카락의 끝단을 압박 지지한다.
그런 다음, 압박 지지된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머리카락을 와인딩 해 준다.
머리카락의 와인딩이 완료되면, 고정클립부재(40)의 지지부(44)를 상향회동시켜 로드본체(10)에 와인딩 되어 있는 머리카락을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클립부재(40)의 삽입부(42)를 로드본체(10) 내에 삽입하는데, 이때 고정클립부재(40)의 탈착돌기(48)이 로드본체(10)의 탈착홈(16)내에 고정 지지 될 때까지 삽입해 준다.
그런 다음, 퍼머용액 및 중화재 등을 도포해 주며, 제거시에는 전술한 사용 방법의 역순으로 제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에 따르면 압박부재와 고정클립부재를 사용하여 모발의 갈라짐 또는 끊어짐 등의 손상 없이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초보자도 쉽게 시술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머리카락에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하기 위한 로드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양단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제 1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외주면 상에 탈착홈이 형성되는 로드본체;
    상기 로드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 내에 각각 체결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제 2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본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압박부재; 및
    상기 로드본체의 타측에 끼워지는 고정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부와 제 2 손잡이부의 내측에는 각각을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손잡이부와 제 2 손잡이부가 탄성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부재는 상기 제 1 손잡이부와 제 2 손잡이가 형성되는 반대측 의 로드본체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로드본체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에 비해 로드본체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반대측으로 출납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로드본체의 탈착홈 내에 끼워져 상기 고정클립부재를 상기 로드본체에 고정시키는 탈착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본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 및 고정클립부재는 나일론수지 재질로 사출형성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KR2020060005325U 2006-02-27 2006-02-27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KR200415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325U KR200415909Y1 (ko) 2006-02-27 2006-02-27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325U KR200415909Y1 (ko) 2006-02-27 2006-02-27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692 Division 2006-02-27 2006-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909Y1 true KR200415909Y1 (ko) 2006-05-10

Family

ID=4176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325U KR200415909Y1 (ko) 2006-02-27 2006-02-27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9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720B1 (ko) 2009-02-27 2011-10-13 이경진 모근부 파마기
KR101176334B1 (ko) 2012-06-21 2012-08-22 이성준 모근 인접 모발용 헤어 로드 세트
KR101832099B1 (ko) 2017-06-21 2018-02-23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헤어 컬링용 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720B1 (ko) 2009-02-27 2011-10-13 이경진 모근부 파마기
KR101176334B1 (ko) 2012-06-21 2012-08-22 이성준 모근 인접 모발용 헤어 로드 세트
KR101832099B1 (ko) 2017-06-21 2018-02-23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헤어 컬링용 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4215A5 (ko)
KR100731926B1 (ko)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JP2004057256A (ja) 毛髪保持具
KR200415909Y1 (ko)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
US1652356A (en) Hair waving and curling device
KR200348037Y1 (ko) 파마용 로드 세트
US5207235A (en) Process and roller for applying a perm to previously permed hair
KR200374495Y1 (ko) 파마기구
US6450176B1 (en) Hair-winding tool and hair wave-forming method
KR200260224Y1 (ko) 파마로드
KR200220250Y1 (ko) 파마용 기기
KR200348181Y1 (ko) 퍼머로드 세트
JP3119081U (ja) ヘアカール用ロッド
KR200488610Y1 (ko) 헤어로드
JP2011183010A (ja) ヘアーカーラー
US6026826A (en) Device for permanently curling hair
JP6940205B2 (ja) パーマロッド
KR200485194Y1 (ko) 헤어롤
KR102598587B1 (ko) 헤어밴드 고정 키트 및 그 사용방법
JP2004033685A (ja) 洗浄ブラシ用チャンネルブラシ
JP2017185032A (ja) ヘアセット用器具
JP2007136149A (ja) スイングカールパーマロッド
US2645232A (en) Hair curler
KR100972298B1 (ko) 퍼머용 롯드
KR200331257Y1 (ko) 헤어롯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