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586Y1 -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 Google Patents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586Y1
KR200415586Y1 KR2020060004647U KR20060004647U KR200415586Y1 KR 200415586 Y1 KR200415586 Y1 KR 200415586Y1 KR 2020060004647 U KR2020060004647 U KR 2020060004647U KR 20060004647 U KR20060004647 U KR 20060004647U KR 200415586 Y1 KR200415586 Y1 KR 200415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cup body
cutout
folding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2020060004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5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이 내장되어 있는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면은 폴리에틸렌층이 코팅되고 내부에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 등의 내용물이 들어있는 상태로 밀봉포장되는 종이컵몸체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종이컵몸체는 좌우 양측면에 접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이부가 종이컵몸체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종이컵몸체의 하부에는 후면쪽으로 접혀지는 받침부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어 상기 받침부가 펼쳐지면서 종이컵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종이컵몸체의 상부에는 절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종이컵몸체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절취홈을 통해 상기 절취부를 종이컵몸체로부터 절취제거하여 종이컵을 개봉하도록 되어 있어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의 포장체겸 종이컵으로 동시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접이식 종이컵, 종이컵몸체, 받침부, 접이부, 절취부

Description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A folding paper cup within a tea}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이 접혀진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절취부를 절취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받침부와 접이부를 펼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받침부에 요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접이식 종이컵 2. 내용물
3. 종이컵몸체 4a, 4b. 접이부
5. 받침부 6. 절취부
7. 수위조절선 8. 단턱
9. 요홈 10a, 10b. 절취홈
11. 밀봉접착선 12. 스푼
13. 절취점선
본 고안은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이 내장되어 있는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면은 폴리에틸렌층이 코팅되고 내부에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 등의 내용물이 들어있는 상태로 밀봉포장되는 종이컵몸체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종이컵몸체는 좌우 양측면에 접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이부가 종이컵몸체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종이컵몸체의 하부에는 후면쪽으로 접혀지는 받침부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어 상기 받침부가 펼쳐지면서 종이컵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종이컵몸체의 상부에는 절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종이컵몸체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절취홈을 통해 상기 절취부를 종이컵몸체로부터 절취제거하여 종이컵을 개봉하도록 되어 있어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의 포장체겸 종이컵으로 동시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차나 녹차 등의 티백이나 일정량의 커피, 프림, 설탕이 혼합되어 있는 커피혼합물 등의 일회용 차(茶)는 종이로 된 봉지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넓은 장방형의 봉지나 긴 봉형상의 봉지에 담겨진 상태로 포장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장체로 포장된 일회용 차(茶)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에는 포장체를 절취한 후 그 내용물을 일회용 종이컵 등의 별도의 용기에 담고 적당량의 물을 부은 다음 티스푼으로 저어 음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어서 반드시 포장된 일회용 차(茶)의 내용물을 담을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일회용 종이컵의 내부에 별도의 포장체로 포장된 일회용 차(茶)가 들어있는 상태에서 종이컵의 상부를 밀폐한 형태의 일회용 차(茶)가 내장된 종이컵이 사용되고 있어 별도의 용기 없이도 일회용 차를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상부가 밀폐 포장된 종이컵을 개봉한 후 이차적으로 내부의 포장체로 포장된 일회용 차(茶)를 다시 개봉하여 종이컵에 그 내용물을 넣는 과정이 번거롭고 또한 종이컵 자체의 부피가 커서 휴대 및 운반, 진열 등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이식으로 접혀있는 접이식 종이컵의 내부에 별도로 포장하지 않은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 등의 내용물이 그대로 들어있는 상태에서 밀봉포장됨으로써 종이컵몸체의 절취부를 한번만 절취하고 접이부와 받침부를 펼쳐 종이컵몸체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물만 넣으면 간편하게 일회용 차(茶)를 마실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 휴대 및 운반 등이 용이한 포장체겸 종이컵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면은 폴리에틸렌층이 코팅되고 내부에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 등의 내용물이 들어있는 상태로 밀봉포장되는 종이컵몸체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종이컵몸체는 좌우 양측면에 접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이부가 종이컵몸체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종이컵몸체의 하부에는 후면쪽으로 접혀지는 받침부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어 상기 받침부가 펼쳐지면서 종이컵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종이컵몸체의 상부에는 절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종이컵몸체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절취홈을 통해 상기 절취부를 종이컵몸체로부터 절취제거하여 종이컵을 개봉하도록 되어 있어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의 포장체겸 종이컵으로 동시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茶)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1)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이 내장되어 있는 포장체겸 종이컵으로, 내부에 각종 녹차나 홍차 등으로 만든 티백이나 커피와 설탕과 프림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커피혼합물 등의 내용물(2)이 들어있는 상태로 밀봉되는 종이컵몸체(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종이컵몸체(3)는 좌우 양측면에 각각 접이부(4a)(4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후면쪽으로 접혀지는 받침부(5)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고 상부에는 절취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이컵몸체(3)는 천연펄프 등으로 제조된 종이재질의 케이싱으로 내측면은 폴리에틸렌층이 코팅처리되어 있어 내부에 물을 부었을 경우 물이 외측으로 새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외주면에는 수위조절선(7)이 그려져 있어 상기 수위조절선(7)까지 정량의 물을 부어 용이하게 차(茶)를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이부(4a)(4b)는 종이컵몸체(3)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이컵몸체(3)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어 접이식 종이컵(1)을 포장체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종이컵몸체(3)가 압착된 상태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어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고 종이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이부(4a)(4b)를 펼쳐 종이컵몸체(3)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5)는 종이컵몸체(3)의 하부에 일체로 연설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상기 종이컵몸체(3)의 후면쪽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되 상기 종이컵몸체(3)보다 두껍고 단단한 종이재질로 되어 있고 하부 외주면에는 단턱(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이식 종이컵(1)이 포장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받침부(5)가 종이컵몸체(3)의 후면으로 접혀져 종이컵몸체(3)의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종이컵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5)를 펼 쳐 종이컵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종이컵몸체(3)를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받침부(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8)의 좌우 양측면에는 각각 내측방향으로 요홈(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이식 종이컵(1)을 종이컵으로 사용할 경우 종이컵몸체(3)를 하부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취부(6)는 종이컵몸체(3)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상부가 밀봉처리되어 상기 종이컵몸체(3)가 전체적으로 밀봉포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종이컵몸체(3)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절취홈(10a)(10b)을 따라 종이컵몸체(3)로부터 절취부(6)를 절취 제거하여 접이식 종이컵(1)을 개봉하도록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절취홈(10a)(10b)사이에 통상의 절취점선(13)을 형성하여 상기 종이컵몸체(3)로부터 절취부(6)를 더욱 용이하게 절취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절취부(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별도의 밀봉접착선(11)을 형성하여 상기 절취부(6)의 내측으로 종이컵몸체(3)의 내부에 들어있는 내용물(2)이 혼입(混入)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절취부(6)의 내부에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스푼(12)을 내장하여 상기 종이컵몸체(3)로부터 절취부(6)를 제거한 다음 상기 절취부(6) 내부의 스푼(12)을 꺼내어 내용물(2)을 물에 용해시킬 때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접이식 종이컵(1)의 종이컵몸체(3) 내부에 각종 녹차나 홍차 등으로 만든 티백이나 커피와 설탕과 프림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커피혼합물 등의 내용물(2)을 담고 종이컵몸체(3)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절취부(6)의 상부를 밀봉포장한 다음 종이컵몸체(3)의 양측면과 하부에 각각 구비된 접이부(4a)(4b)와 받침부(5)를 접어 접이식 종이컵(1)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의 포장체로 유통 및 휴대하게 되며, 사용자는 종이컵몸체(3)의 상부에 형성된 절취홈(10a)(10b)을 따라 절취부(6)를 절취 제거하여 종이컵몸체(3)를 개봉하고 상기 접이부(4a)(4b)와 받침부(5)를 각각 펼쳐 종이컵몸체(3)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받침부(5)가 종이컵몸체(3)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 다음 수위조절선(7)까지 끓는 물을 부어 간편하게 차(茶)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이식으로 접혀있는 접이식 종이컵의 내부에 별도로 포장하지 않은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 등의 내용물이 그대로 들어있는 상태에서 밀봉포장됨으로써 종이컵몸체의 절취부를 한번만 절취하고 접이부와 받침부를 펼쳐 종이컵몸체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일회용 차(茶)를 마실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 휴대 및 운반, 유통 등이 용이하고 자원절약 및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상의 일회용 종이컵에 있어서, 내측면은 폴리에틸렌층이 코팅되고 내부에 각종 티백이나 커피혼합물과 같은 내용물이 들어있는 종이컵몸체(3)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종이컵몸체(3)는 좌우 양측면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길게 접이부(4a)(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이부(4a)(4b)가 종이컵몸체(3)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종이컵몸체(3)의 하부에는 후면쪽으로 접혀지는 받침부(5)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5)는 종이컵몸체(3)보다 두껍고 단단한 종이재질로 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단턱(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받침부(5)가 펼쳐지면서 종이컵의 바닥면을 형성하여 하부에서 종이컵몸체(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종이컵몸체(3)의 상부에는 절취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부(6)는 상부가 밀봉처리되어 있어 상기 종이컵몸체(3)가 전체적으로 밀봉포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종이컵몸체(3)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절취홈(10a)(10b)을 통해 상기 절취부(6)를 종이컵몸체(3)로부터 절취 제거하여 종이컵을 개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5)는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8)의 좌우 양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요홈(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이식 종이컵(1)이 종이 컵으로 사용될 경우 종이컵몸체(3)를 하부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6)는 하부에 별도의 밀봉접착선(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취부(6)의 내측으로 종이컵몸체(3)의 내부에 들어있는 내용물(2)이 혼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6)의 내부에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스푼(12)이 내장되어 있어 상기 종이컵몸체(3)로부터 절취부(6)를 제거한 다음 상기 절취부(6) 내부의 스푼(12)을 꺼내어 내용물(2)을 물에 용해시킬 때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KR2020060004647U 2006-02-20 2006-02-20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KR200415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47U KR200415586Y1 (ko) 2006-02-20 2006-02-20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47U KR200415586Y1 (ko) 2006-02-20 2006-02-20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586Y1 true KR200415586Y1 (ko) 2006-05-03

Family

ID=4176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47U KR200415586Y1 (ko) 2006-02-20 2006-02-20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5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97B1 (ko) * 2012-05-01 2014-02-17 김민순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97B1 (ko) * 2012-05-01 2014-02-17 김민순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265B1 (ko) 포장재를 겸하는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ES2641865T3 (es) Recipiente y bolsa
DK2566786T3 (en) Packaging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KR200415586Y1 (ko)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KR100402286B1 (ko) 절첩식 포장겸용 음료용기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KR20090007513U (ko) 커피믹스용 분할포장구조
KR100847645B1 (ko) 즉석라면용기
KR100354713B1 (ko) 일회용 접는컵
KR200317344Y1 (ko) 용기가 구비된 일회용 포장대
CN218949732U (zh) 一种组合型折叠纸杯
KR20120085429A (ko) 일회용 커피용기
JP6138587B2 (ja) 内袋付き容器
KR101757851B1 (ko) 개봉시 일회용 용기로 겸용할 수 있는 밀봉 포장봉투 및 그 제조방법
US8337918B1 (en) Fillable filter envelope system
JPS6236751Y2 (ko)
KR200311781Y1 (ko) 커피믹스 포장체
KR200391890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용기
KR200439640Y1 (ko) 종이컵 겸용 티백 포장대
JP2004262497A (ja) 包装用袋
KR101523720B1 (ko) 일회용 액상 커피믹스
KR20020037079A (ko) 차원료가 내장된 일회용 컵
EP1818276A1 (en) Disposable contain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disposable container
KR20210002148U (ko) 개봉이 용이한 카톤팩
KR200395420Y1 (ko) 즉석식품용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