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997B1 -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997B1
KR101362997B1 KR1020120045930A KR20120045930A KR101362997B1 KR 101362997 B1 KR101362997 B1 KR 101362997B1 KR 1020120045930 A KR1020120045930 A KR 1020120045930A KR 20120045930 A KR20120045930 A KR 20120045930A KR 101362997 B1 KR101362997 B1 KR 101362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eparation line
wall portion
contain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844A (ko
Inventor
김민순
Original Assignee
김민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순 filed Critical 김민순
Priority to KR102012004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9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4Plates with detachable wast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4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dividing a tubular body into separat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력을 가하는 경우 복수의 용기로 변화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부를 구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분리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의 용기로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분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A vessel including separating line}
본 발명은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력을 가하는 경우 복수의 용기로 변화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컵과 같은 용기는 그 구성을 보면 원통 형태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부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컵을 사용하는 형태는 컵의 입구에 유체나 기타 저장대상물을 담은 상태에서 측벽부를 잡거나 바닥부를 손으로 받친 상태에서 저장대상물을 음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컵은 종이 재질로 구성되거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보통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은 일회용으로 많이 쓰일 수 있다.
이러한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은 파티 또는 야외 외출시 또는 등산하는 경우에 휴대하기 간편하고 사용후 처리하기 간편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애용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컵은 음료수나 물을 마실 때 많이 사용되지만, 간혹 국수나 라면 기타 고체 형태의 음식물을 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컵의 좌우폭보다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컵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취식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컵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음용수 또는 음료수 이의외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활용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파지 및 음식물의 취식이 용이한 복수의 용기로 변화할 수 있는 컵과 같은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을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부를 구비한 컵에 있어서,
상기 컵은 분리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의 용기로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분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제공한다.
상기 분리선은 상기 측벽부에 마련되는 제1분리선과;
상기 제1분리선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제2분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리선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측벽부 상에 대향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선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표면에 형성된 파선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선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 표면을 따라서 형성된 연속된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선의 단면은 상기 측벽부와 바닥부의 내면 또는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파여진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선의 단면은 상기 측벽부와 바닥부의 내면과 외면 모두에 파여진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의 입구 테두리에 마련되며 상기 분리선과 연결되는 절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측벽부의 일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부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은 종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분리선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를 압착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하나의 컵과 같은 용기가 복수의 손접시 또는 앞접시와 같은 그릇 또는 용기로 변할 수 있다.
특히, 용기에 별도의 분리선 또는 절취선이 마련되어 용기의 입구를 잡고 양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컵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손쉽게 용기로 변할 수 있다.
게다가, 분리선 또는 절취선에 용기의 입구에 마련되는 절개홈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선 또는 절취선을 찾을 수 있게하고, 분리선 또는 절취선의 분리를 가이드 할 수 있다.
파티나 피크닉 또는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시 별도의 접시를 지참하지 않고도 용기를 분리하여 접시 대용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짐의 부피를 줄이는데도 기옇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선 또는 절취선의 평단면도이다.
도4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다양한 활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가 분리되어 복수의 용기로 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담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보호 대상은 용기이며, 이러한 용기는 컵이나 접시와 같이 소정의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물체이다.
본 발명에서는 쉬운 설명을 위하여 용기 중 대표적인 것으로 컵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컵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과 같이 소정의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라면 무엇이든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에 포함되는 컵(1)은 입구(2)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컵(1)은 원통형 형태로 마련되는 측벽부(10)와 상기 측벽부(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10)와 상기 바닥부(20)는 함께 저장공간(3)을 형성한다.
컵(1)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단면 형상은 원통형 뿐만 아니라 사각형, 육각형과 같이 비 원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컵(1)의 재질은 종이나 플라스틱 기타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컵(1)은 복수의 용기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측벽부(10)와 상기 바닥부(20)에는 분리선(30)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0)에 형성된 분리선(30)을 제1분리선(31)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바닥부(20)에 형성된 분리선(30)을 제2분리선(32)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제1분리선(31)은 상기 측벽부(10) 상에 복수개로 구현되는데, 복수의 제1분리선(31)들은 상호 대향되게 또는 대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하나의 제1분리선(31)이 상기 측벽부(10) 상에 형성되면, 다른 제1분리선(31)은 그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분리선(31)은 컵(1)이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컵(1)의 분리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분리선(31)은 파선 또는 점선 형태로 마련되어 절취 또는 분리 또는 파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있다.
또는 상기 제1분리선(31)은 파선이나 점선이 아닌 연속된 실선형태의 홈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도7에 개시된다.
다만, 컵(1) 자체에 액체가 담기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제1분리선(31)이 절취 또는 분리 또는 파열되기 전에는 컵(1)의 내부공간과 외부 공간은 구획되어야 한다.
상기 컵(1)의 입구(2) 테두리에는 절개홈(40)이 마련된다.
상기 절개홈(40)의 형태는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로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홈(40)의 기능은 사용자가 컵(1)의 입구(2)의 테두리를 잡고 양측으로 잡아당겨서 컵(1)을 복수의 용기로 분리하는 경우, 그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분리선(30)의 시작점이 어디인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절개홈(40)의 폭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좁아져서, 맨 아래쪽으로 수렴하고, 그 수렴점이 상기 제1분리선(3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20)에는 제2분리선(32)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2분리선(32)은 상기 바닥부(20)를 횡단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분리선(32)은 상기 바닥부(20)를 절반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분리선(32)은 하나의 제1분리선(31)과, 다른 제1분리선(31)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을 양측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제1,2분리선(31, 32)이 쪼개지면서 복수의 용기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2분리선(32)은 파선 또는 점선 형태로 마련되어 절취 또는 분리 또는 파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있다.
또는 상기 제2분리선(32)은 파선이나 점선이 아닌 연속된 실선형태의 홈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도7에 개시된다.
이때, 하나의 용기는 상기 측벽부(10)의 일부면과, 바닥부(20)의 일부면이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10)의 하부에는 단차부(11)가 마련되고, 상기 바닥부(20)는 상기 단차부(11)보다 약간 위로 올라와 있다.
특히, 컵(1)이 종이 컵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작 공정상 상기 바닥부(20)와 상기 측벽부(10)를 접합하기 위하여 상기 단차부(11)가 불가피하게 마련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상기 제1분리선(31)은 상기 단차부(11)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차부(11)에 형성된 제1분리선(31a)은 파선형태보다는 완전히 절개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부(11)는 상기 바닥부(20)와 상기 측벽부(10)가 접합되어 다른 곳 보다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완전하게 절개된 형태로 되는 것이 분리 과정에 도움이 된다.
상기 제2분리선(32)의 양단은 상기 단차부(11)에 형성된 제1분리선(31a)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상기 분리선(30)의 평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선(30)의 제1예는 상기 측면부(10) 또는 바닥부(20)의 내외면에 동시에 홈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내외면에 형성된 홈은 서로 연통되지 말아야 하는데, 연통되는 경우 물이나 기타 음료수와 같은 유체가 누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부 홈과 외부홈 사이에는 얇은 격벽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면에 형성된 홈과 외면에 형성된 홈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의 입구를 잡고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분리선(30)이 용이하게 찢어져서 용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내면에 형성된 홈과 외면에 형성된 홈은 그 단면이 반원곡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면에 형성된 홈과 외면에 형성된 홈은 종이나 플라스틱을 양방향(위아래 또는 좌우)에서 동시에 압착하여 측벽부(10)나 바닥부(20)의 두께를 축소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분리선(30) 이외의 부분보다 분리선(30) 부분의 두께가 현저하게 얇기 때문에 컵(1)을 양측으로 잡아당기면 분리선 이외의 부분이 찢어져서 분리될 확률이 현저하게 낮아질 수 있다.
도3(b)는 분리선의 제2예이다.
제2예에 의한 분리선(30)은 상기 측벽부(10) 또는 상기 바닥부(20)의 내면 또는 외면 중 어느 하나를 압착시켜서 홈을 만들어 그 부분의 단면적을 줄이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분리선(30)을 형성하는 홈 부분의 단면적이 다른 부분보다 현저하게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컵의 양측으로 잡아 당겨도 그 부분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그 홈 부분은 반대면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야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컵(1)을 사용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컵(1)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상의 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수나 물을 따라서 컵(1)에 담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컵(1)을 분리하여 손접시 또는 앞접시와 같은 간이 용기(50)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컵(1)의 입구 테두리를 잡고 양측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컵(1)은 상기 분리선(30)을 따라서 절개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분리되면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용기(50)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50)는 상기 측벽부(10)의 일부와 바닥부(20)의 일부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0)가 곡면형태로 되어 받침대 역할을 수 있어서, 사용자는 측벽부(10) 내면에 면 종류나 기타 고체 덩어리 형태로 되는 음식물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컵(1)에서 복수의 용기(50)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수량의 컵으로도 여러 종류의 음식물 또는 많은 사람들에 대한 음식물 분배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50)를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컵을 분리하여 용기(50)를 만든 이후에, 상기 컵(1)의 바닥부(20)를 입구(2)부분보다 아래로 기울여서 상기 측벽부(10)를 경사지게 놓은 후, 음식물을 그 위에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측벽부(10)와 바닥부(20)의 외면을 손바닥으로 지지하거나 잡고 포크나 젓가락 같은 식사도구를 이용하여 용기 안쪽에 담긴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다.
즉, 용기(50)가 손접시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7은 상기 분리선(30)이 도1과 같이 파선형태로 형성된 것이 아닌 연속된 홈 형태로 마련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리선(30)은 상기 측벽부(10) 및 바닥부(20)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도7에서 나타난 분리선(30)의 평단면은 도3과 동일하며, 그 기능이나 분리되는 상태는 상술한 파선 형태의 분리선과 동일하다. 따라서, 연속된 홈 형태의 분리선(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도1내지 도3에서 설명한 분리선(30)에 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겠다.
1: 용기(컵) 10: 측벽부
20: 바닥부 30: 분리선
31: 제1분리선 32: 제2분리선
40: 절개홈 50: 용기

Claims (10)

  1. 수용공간을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부를 구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분리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의 용기로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되, 상기 측벽부 및 바닥부를 압착하여 형성되는 분리선과,
    상기 용기의 입구 테두리에 마련되며 상기 분리선의 절개를 안내하며, 그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절개홈과,
    상기 측벽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부보다 아래로 내려가도록 배치되며 상기 분리선이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벽부 및 바닥부에 형성된 분리선은 파선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단차부에 형성된 분리선은 완전히 절개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은 상기 측벽부에 마련되는 제1분리선과;
    상기 제1분리선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제2분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선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측벽부 상에 대향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표면에 형성된 파선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 표면을 따라서 형성된 연속된 홈 또는 실선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의 단면은 상기 측벽부와 바닥부의 내면 또는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파여진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의 단면은 상기 측벽부와 바닥부의 내면과 외면 모두에 파여진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로 분할된 용기는 상기 측벽부의 일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부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삭제
KR1020120045930A 2012-05-01 2012-05-01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 KR101362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930A KR101362997B1 (ko) 2012-05-01 2012-05-01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930A KR101362997B1 (ko) 2012-05-01 2012-05-01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844A KR20130122844A (ko) 2013-11-11
KR101362997B1 true KR101362997B1 (ko) 2014-02-17

Family

ID=4985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930A KR101362997B1 (ko) 2012-05-01 2012-05-01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9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86Y1 (ko) * 2006-02-20 2006-05-03 김정호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KR101032141B1 (ko) * 2010-11-15 2011-05-03 양영애 파우치 및 그 제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86Y1 (ko) * 2006-02-20 2006-05-03 김정호 차가 내장된 접이식 종이컵
KR101032141B1 (ko) * 2010-11-15 2011-05-03 양영애 파우치 및 그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844A (ko)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653B2 (en) Double-stack shrimp tray
US20120248124A1 (en) Disposable plates and bowls with attached utensils
US8998022B2 (en) Food storage insert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KR101362997B1 (ko) 분리선을 구비하는 용기
US10633155B2 (en) Disposable food container with utility lid
CN101933749B (zh) 一种集成牙签的餐具
KR20150121282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JP3175492U (ja) 容器
CN206499277U (zh) 一种多层盖碗
CN212912102U (zh) 一种饭菜分离的餐盒
CN208640258U (zh) 一种设置有托盘式桶盖的双层结构饮料桶
CN217408046U (zh) 一种可降解的植物纤维餐盒
WO2022102124A1 (ja) 飲食サービス用什器
KR101267511B1 (ko) 적층식 음식포장용기
EP1202656B1 (en) Food tray for the personalised delivery of meals, suitable for allowing taking the meals in situ
CN207886057U (zh) 一种组合式陶瓷餐盘
KR20180131875A (ko) 다용도 트랜스 뚜껑 종이컵
CN210901785U (zh) 一种一次性保温餐盒
CN208217460U (zh) 一种多功能的双层结构饮料桶
WO2015190681A1 (ko) 테이크 아웃용 음료용기
WO2008125602A1 (en) Tray for food and drinks
EP3272660B1 (en) Packaging for slices of food products
KR20130051258A (ko) 젓가락을 가지는 일회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