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516Y1 -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516Y1
KR200415516Y1 KR2020060005154U KR20060005154U KR200415516Y1 KR 200415516 Y1 KR200415516 Y1 KR 200415516Y1 KR 2020060005154 U KR2020060005154 U KR 2020060005154U KR 20060005154 U KR20060005154 U KR 20060005154U KR 200415516 Y1 KR200415516 Y1 KR 200415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roove
packaging
container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기
Original Assignee
민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영기 filed Critical 민영기
Priority to KR2020060005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5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제품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제품을 담은 용기를 기울여도 제품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제품이 눈에 띄도록 하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제품을 각각 담을 수 있는 낱개용기를 다수개 마련한 포장용기로서, 상기 낱개용기는 상기 제품을 담는 제 1홈과 상기 제 1홈의 하단에 연속 위치하여 상기 제품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 2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홈의 내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홈의 내측에 상기 제품이 끼워 맞춰진다.
상기와 같은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제품의 하단부가 제품용기에 끼워 맞춰지고 있으므로, 제품이 고정되어 제품의 전시시에 개별 제품들이 떨어지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액자모양, 트레이, 초콜릿

Description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Packing Container for Fixing Product}
도 1은 종래의 포장용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대한민국 의장 등록공보 제30-0367561호에 개시된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낱개용기 모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제품 100: 낱개용기
10: 제 1홈 11: 제 1홈의 내측 경사면
20: 제 2홈 21: 제 2홈의 내측
22: 제 2홈의 바닥부 30: 제 3홈
31: 제 3홈의 밑면
본 고안은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경우 제품을 담은 용기를 기울여도 제품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제품이 눈에 띄도록 하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생산한 후에는 포장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포장은 판매, 전시, 선물 등의 목적을 위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생산된 제품 그대로를 타인에게 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생산된 제품을 생산자가 바로 사용할 경우에는 포장이 필요 없지만, 다른 이에게 전달할 경우에는 제품에 대한 포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포장은 제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운반을 편리하게 해주며, 또한 시각적으로도 제품의 이미지를 좋게 해주는 기능 등을 한다. 포장은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회사에서 1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장식 등의 이유로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에 의해 2차 포장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1차 포장에서는 2차 포장에서보다 제품 보호 기능이 더 중요시되는데, 이는 제품이 손상되지 않고 소비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이유로 인해서이다.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특성에 맞는 포장용기 및 포장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품이 갖고 있는 특성인 형태, 질감, 무게, 원료, 점도, 녹는점 등이 충분히 고려된 포장이 이루어진다. 특히, 식품류의 경우에는 제품이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품의 특성이 포장에 더욱 큰 영향을 끼친 다. 예를 들어, 감자칩의 경우 과자가 눅눅해지지 않도록 합성수지로 된 포장용기에 진공으로 포장된다. 음료수의 경우 액체가 세지 않도록 캔(Can)이나 플라스틱(Plastic)으로 된 포장용기에 포장된다. 껌의 경우 각각 합성수지와 종이로 포장한 후, 일정 개수씩 모아서 합성수지로 다시 포장된다.
제품의 특성 외에도 제품의 사용목적에 따라 포장이 달라지기도 한다. 즉, 어떤 목적으로 사용될 것인지, 어디에 사용될 것인지, 누구를 위해 사용될 것인지 등과 같이 제품이 사용될 목적이나 상황, 대상에 따라서도 포장용기 및 방법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어린이용 과자의 경우 어린이가 개봉하기 쉽도록 절취선이 있는 포장용기에 포장된다. 젤리형(Jelly Type) 방향제의 경우 젤리를 담으면서도 향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된 포장용기에 포장된다. 발렌타인데이(Valentine Day)용 초콜릿(Chocolate)의 경우 식품이 아닌 선물로써 제품을 돋보이게 하는 디자인이 가미된 포장용기에 포장된다.
다음에 전시적 기능이 대두되는 제품을 위한 종래의 포장용기에 대해 도 1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용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초콜릿과 같이 전시적 기능이 대두되는 제품을 위한 종래의 포장용기는 제품(1)들을 개별로 담을 수 있는 낱개용기(2)가 여러 개 결합 되어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낱개용기(2)는 제품을 담기 위한 홈으로 사각기둥이나 원기둥 등의 형태 또는 제품의 모양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다수의 제품(1)들은 포장용기 의 홈인 낱개용기(2)에 각각 삽입된 후, 종이 상자 등의 더 큰 포장용기에 다시 포장된다. 제품(1)은 낱개용기(2) 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부서지거나 손상을 입지 않으며, 전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시적 기능이 대두되는 제품을 위한 포장용 용기에 관한 디자인(Design)의 일례가 대한민국 의장 등록공보 제30-0367561호(2004.11.12 등록, 쵸코렛 포장케이스)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대한민국 의장 등록공보 제30-0367561호에 개시된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한민국 의장 등록공보 제30-0367561호에 개시된 디자인에는 쵸코렛, 캔디 등을 포장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포장지의 색깔을 여러 가지 색상으로 포장하여 색깔별로 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안되어 있다.
또, 포장용 박스에 관한 기술의 일례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325549호(2003.08.26 등록, 포장용 박스)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325549호에 개시된 기술은 바닥부의 서로 대응되는 모서리부에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에 손잡이구가 천공되는 제 1측면부, 상기 제 1측면부에 연장형성되며 상단에 일단이 개방된 손잡이 홈이 형성된 제 2측면부, 상기 제 1측면부 양쪽에 연장형성되고 하단 끝단에 제 1고정편이 돌출된 제 3측면부, 상기 제 2측면부 양단에 연장형성된 제 4측면부, 바닥부에서 제 1측면부와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는 모서리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제 1측면 커버, 제 1측면 커버에 연이어 성형되며 상단에 제 2고정편이 돌출되는 제 2측면 커버, 제 1측면 커버가 연이어지는 모서리에 접하는 제 1고정구가 양쪽에 형성된 바닥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2측면부가 합포되어 제 1고정편이 제 1고정구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2측면 커버 사이에 상기 제 3, 4측면부가 위치하도록 제 2고정편이 제 1고정구에 삽입됨으로써 2겹의 측면과 4겹의 측면이 형성되어 종방향의 하중에 견디는 내력(耐力)이 우수하며, 상단에 다수개의 ∪형 홈과 다수개의 ┗┐형의 절개부가 형성된 제 2칸막이와 제 1칸막이가 삽입됨으로써 내력을 더욱 보강해 줄 뿐만 아니라, 제품에 연결된 전선의 고정이 용이하여 전선을 보호하고, 정돈된 포장이 가능하도록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기계제품 또는 부품용 포장박스에 관한 기술의 일례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404794호(2005.12.22 등록, 골판지 포장박스)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404794호에 개시된 기술은 바닥부의 양 선단에 날개부가 수직으로 절첩 가능하게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 배치되며 상기 날개부에는 일정 간격에 걸쳐 절개홈이 요입되게 형성된 가로부재, 상기 연속배치되는 가로부재와 격자 형태로 수직으로 결합되어 박스 내부에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획하며 가로부재와의 연결을 위해 일정 간격에 걸쳐 상기 절개홈과 맞물리는 결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된 세로부재로 구성되며, 포 장박스의 내부를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분리 구획하면서 공간을 분리시키는 칸막이벽의 강성은 증대시키고, 중량의 기계제품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포장박스가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시적 기능이 대두되는 제품을 위한 포장용기에 관한 기술 및 상기 공보 제30-0203471호에 개시된 디자인에 있어서는 소비자가 전시된 제품의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 제품을 낱개용기에서 빼서 보아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용기가 제품의 크기보다 더 클 경우, 제품이 용기 안에서 헛돌기 때문에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하여 개봉할 때 제품이 흐트러져 있는 경우가 많고, 특히 매장에서 제품용기를 세워서 전시하는 경우 제품들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품들을 각각 테이프로 고정시켜 전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용기가 제품의 크기와 거의 비슷할 경우, 제품이 용기에 안정적으로 붙어 있기는 하나, 너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 또는 소비시에 제품을 용기에 빼고 넣기가 까다로워 제품의 손상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전시적 기능이 대두되는 제품을 위한 포장용기를 기능과 디자인의 측면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것으로, 제품의 하단부를 포장용기에 끼워 맞춰 제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낱개용기의 가장자리를 탁 트이게 함으로써 어느 각도에서든 제품의 측면을 정확하게 볼 수 있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낱개용기의 탁 트인 가장자리를 빗살, 수직 또는 수평 등의 문양을 이용하여 액자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한층 수려한 모습을 갖춘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는 다수의 제품을 각각 담을 수 있는 낱개용기를 다수개 마련한 포장용기로서, 상기 낱개용기는 상기 제품을 담는 제 1홈과 상기 제 1홈의 하단에 연속 위치하여 상기 제품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 2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홈의 내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홈의 내측에 상기 제품이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2홈의 하단에 연속 위치하는 제 3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품은 상기 제 2홈의 바닥부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2홈의 내측 형상은 상기 제품의 외측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외측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별형 또는 하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1홈의 내측 경 사면에는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무늬는 빗살무늬, 줄무늬, 격자무늬 또는 기하학적 무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초콜릿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대해 도 3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는 하나의 제품(1000)을 담을 수 있는 포장용기인 낱개용기(100)가 다수 결합되어 있다.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낱개용기(100)에는 제품(1000)을 담는 제 1홈(10), 제 1홈(10)의 하단에 연속 위치하여 제품(1000)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 2홈 (20), 제 2홈(20)의 하단에 연속 위치하는 제 3홈(30)이 형성된다.
제 1홈(10)의 단면은 역마름모형으로 형성되며, 제 1홈(10)의 하단과 제 2홈(20)의 상단은 동일면이고, 그 모양과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품(100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홈(10)을 통과하여 제 2홈(20)의 바닥부(22)에 끼워 맞춰진다. 즉, 제 2홈(20)의 내측(21)의 형상은 제품(1000)의 외측의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품(1000)이 사각육면체일 경우에는 제 2홈(20)의 내측(21)이 사각육면체의 측면인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제품(1000)이 별기둥일 경우에는 제 2홈(20)의 내측(21)의 형상도 별형으로 형성된다. 또, 제 2홈(20)의 바닥부(22)는 제품(1000)을 유지할 정도로 제 2홈(20)의 내측(21)의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즉, 제품(1000)의 단면 모양이 사각형, 삼각형, 원형, 별형 또는 하트형인 경우, 그에 따라 제 2홈(20)의 내측(21)의 형상을 동일하게 형성하면 된다.
또, 제 1홈(10)의 내측은 경사면(11)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품(1000)과 경사면(11) 사이에 벌어진 공간을 통해 제품(1000)을 낱개용기(100)에서 빼지 않고도 모든 각도에서 제품(1000)을 살펴볼 수 있고, 소비시에 용이하게 뺄 수 있다. 경사면(11)에는 일정한 무늬가 형성되어 마치 제품(1000)을 액자 속에 넣은 듯한 분위기가 연출된다. 상기 무늬로는 빗살무늬, 줄무늬, 격자무늬 또는 기하학적 무늬인 등 생산자가 원하는 다양한 무늬가 가능하다.
또한, 제 2홈(20)은 제품(1000)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홈으로서, 제품(1000)의 밑면 모양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품(1000)은 제 1홈(10)을 통과하여 제 2홈(20)에서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제 2홈(20)의 내측 (21)의 형상이 제품(1000)의 하단부의 외측의 형상과 동일해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10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1000)이 원기둥일 경우 제 2홈(20)의 내측(21)은 제품(1000)의 밑면 모양인 원형의 3차원 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 2홈(20)의 내측(21)의 형상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또, 제품(1000)이 삼각육면체일 경우 제 2홈(20)의 내측(21)의 형상은 삼각형의 3차원 기둥형인 삼각기둥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홈(20)은 사각기둥형, 삼각기둥형, 원기둥형, 별기둥형 또는 하트기둥형 등 다양한 3차원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홈(20)의 내측(21)의 높이는 최소한의 높이로 제품의 하단부를 끼워 맞춰줄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 3홈(30)은 낱개용기(100)에 담긴 제품(1000)을 보호하기 위한 홈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제 3홈(30)의 밑면(31)은 제 3홈(30)의 하단 외측으로부터 힘을 받을 경우, 제품(10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낱개용기 모양의 응용예에 대해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낱개용기 모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낱개용기(100)의 제 1홈(10)과 제 2홈(20)의 모양은 원형으로도 가능하며, 제품(1000)의 형태에 따라 삼각형, 별형, 하트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품(1000)이 초콜릿인 경우, 이 초콜릿을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담는다. 포장용기에 담긴 초콜릿은 포장용기를 수직으로 세우더라도 포장용기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지 않는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홈(20)에 초콜릿이 끼워 맞춰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즉, 제 2홈(20)의 내측(21)의 형태는 초콜릿의 단면인 사각형과 일치되어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초콜릿의 하단부가 제 2홈(20)의 내측에 끼워 맞춰져서 고정된다. 또, 각각의 낱개용기(100)에 담진 초콜릿은 제 1홈(10)의 경사면(11)에 형성된 세로줄 무늬로 인하여 마치 액자에 담긴 이미지를 연출하여 가시적인 효과를 높이게 된다.
초콜릿을 낱개용기(100)에서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초콜릿(1000)의 상단을 잡고 꺼내면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초콜릿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탕, 캬라멜, 과자 등 모든 종류의 제품 포장에도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의하면, 제품의 하단부가 제품용기에 끼워 맞춰지고 있으므로, 제품이 고정되어 제품의 전시시에 개별 제품들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의하면, 제품과 낱개용기의 가장자리 사이에 벌어진 공간을 통해 소비자가 제품의 측면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에 의하면, 낱개용기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빗살, 수직 또는 수평 등의 문양을 통해 넓어진 공간의 허전함을 느끼기보다는 화려한 액자를 연상시켜 제품의 수려함을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7)

  1. 다수의 제품을 각각 담을 수 있는 낱개용기를 다수개 마련한 포장용기로서,
    상기 낱개용기는 상기 제품을 담는 제 1홈과 상기 제 1홈의 하단에 연속 위치하여 상기 제품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 2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홈의 내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홈의 내측에 상기 제품이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홈의 하단에 연속 위치하는 제 3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품은 상기 제 2홈의 바닥부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홈의 내측 형상은 상기 제품의 외측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외측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별형 또는 하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홈의 내측 경사면에는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는 빗살무늬, 줄무늬, 격자무늬 또는 기하학적 무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초콜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KR2020060005154U 2006-02-24 2006-02-24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KR200415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154U KR200415516Y1 (ko) 2006-02-24 2006-02-24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154U KR200415516Y1 (ko) 2006-02-24 2006-02-24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516Y1 true KR200415516Y1 (ko) 2006-05-03

Family

ID=4176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154U KR200415516Y1 (ko) 2006-02-24 2006-02-24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5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506A (ko) * 2021-09-17 2023-03-24 씨제이제일제당 (주) 선물세트 포장상자용 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506A (ko) * 2021-09-17 2023-03-24 씨제이제일제당 (주) 선물세트 포장상자용 트레이
KR102644812B1 (ko) * 2021-09-17 2024-03-0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선물세트 포장상자용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2579B1 (en) A food product and its packaging
US9187227B2 (en) Blister package with tiered rows of products
JP5419052B2 (ja) 部分的に露出されたブリスタートレイを有する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JP5559319B2 (ja) 製品表示ウィンドウを有する食料品パッケージング
KR101554009B1 (ko)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AU2012301356B2 (en) Pack for food, set for forming such a pack, and material sheet for such a set
RU2531893C2 (ru) Упаковка
ITMO20080132A1 (it) Contenitore per prodotti alimentari
KR200415516Y1 (ko) 제품 고정형 포장용기
GB2412911A (en) Box having a ball-like shape
JP2001322629A (ja) ケーキ等の易損品の包装体
CN109890712B (zh) 带后折翼的集成牵引系统
JP7201201B2 (ja) 包装用容器
US1903096A (en) Display package
JP3210953U (ja) 詰め合わせ商品用の包装箱
EP1931579B1 (en) Package with a support structure for confectionery products
JP2004217270A (ja) 菓子類の包装容器
JP3186621U (ja) 包装用容器
JP3181926U (ja) 組合せ箱
ITMO20100365A1 (it) Contenitore per prodotti alimentari
KR200315361Y1 (ko) 과자류의 포장 케이스
JP6663900B2 (ja) 菓子用包装容器
RU2731937C2 (ru)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ытия упаковка для множества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ы многослойного графического маркирования
KR200345902Y1 (ko) 선물 포장용 박스
KR200307705Y1 (ko)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