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178Y1 - 낚시용 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178Y1
KR200415178Y1 KR2020060002644U KR20060002644U KR200415178Y1 KR 200415178 Y1 KR200415178 Y1 KR 200415178Y1 KR 2020060002644 U KR2020060002644 U KR 2020060002644U KR 20060002644 U KR20060002644 U KR 20060002644U KR 200415178 Y1 KR200415178 Y1 KR 200415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er
fishing
weight
buoyancy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덕
Original Assignee
박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덕 filed Critical 박상덕
Priority to KR2020060002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낚시를 할 때 사용되는 찌의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마련하여 수용공간부로 부력조절용 중량추를 용이하게 삽입가능케 하여 찌의 부력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찌의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마련하고 몸체의 중앙부를 분리하여 나수부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하여 상기 수용공간부에 부력조절용 중량추를 필요 및 용도에 따라 갯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중량추의 일회용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찌의 부력을 손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용공간부에 마련된 중량조절용 중량추를 일회용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낚시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하단에 걸부(12)를 마련하여 낚시줄(1)을 연결하는 통상의 낚시용 찌(10)에 있어서,
찌(10)의 몸체(11) 내부에 수용공간부(14)를 마련하고 몸체(11) 중앙부를 분리시켜 그 경계부에 나사부(13)를 마련하여 체결가능케 하고 상기 분리된 각각의 몸체(11) 일측에 통공(15)을 마련하고 상기 수용공간부(14)에 다수개의 부력조절용 중량추(20)를 삽입하는 것이다.
찌, 몸체, 걸부, 나사부, 수용공간부, 통공, 중량추

Description

낚시용 찌{Float of in the fishing}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줄 10 : 찌
11 : 몸체 12 : 걸부
13 : 나사부 14 : 수용공간부
15 : 통공 20 : 중량추
본 고안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낚시를 할 때 사용되는 찌의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마련하여 수용공간부로 부력조절용 중량추를 용이하게 삽입가능케 하여 찌의 부력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또는 저수지 등에서 낚시할 때, 찌의 부상높이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부력조절 수단은, 별도의 부력조절용 중량추를 별도로 구비하되 그 중량추는 대부분이 납덩어리로 되며 필요에 따라 조금씩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 낚시용 찌의 부상높이를 맞추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낚시용 찌의 찌 부력조절 수단으로 사용되는 납 등의 중량추는 낚시 직전에 찌의 부상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여러번에 걸쳐 납의 일부를 니퍼 등으로 뜯어 내야 하므로 호숫가나 강가 또는 저수지 등의 그 주변에 뜯어낸 납으로 인해 심하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호수나 저수지에서 납 등의 무게추를 조절하여 찌의 부력을 맞추더라도 장소를 이동하여 바다 등으로 장소를 옮기거나 미끼의 종류를 바꿔 사용하게 되면 좀전에 맞춰놓은 부력이 똑같을 수 없어 또 다시 부력을 맞추기 위해선 새로운 중량추를 달거나 기존 달려있는 납을 뜯어내어 찌의 부력을 맞추어야 하므로 번거러웠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낚시에 사용되는 찌의 부력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납 등의 부력조절용 중량추는 일회용으로 사용되어 소모성이 대단하여 낚시를 할 때 마다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낚시용 찌의 부상높이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부력조절용 중량추에 의한 여러 가지 제반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찌의 몸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마련하고 몸체의 중앙부를 분리하여 나수부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하여 상기 수용공간부에 부력조절용 중량추를 필요 및 용도에 따라 갯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중량추의 일회용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안출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낚시용 찌의 구성으로는 상,하단에 걸부(12)를 마련하여 낚시줄(1)을 연결하는 통상의 낚시용 찌(10)에 있어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찌(10)의 몸체(11) 내부에 수용공간부(14)를 마련하고 몸체(11) 중앙부를 분리시켜 그 경계부에 나사부(13)를 마련하여 체결가능케 하고 상기 분리된 각각의 몸체(11) 일측에 통공(15)을 마련하고 상기 수용공간부(14)에 다수개의 부력조절용 중량추(20)를 삽입한 것이다.
상기 몸체(11)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4)는 일정형상의 부력조절용 중량추(20)를 다수개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부력조절용 중량추(20)는 납 또는 황동등 의 금속재로 일정형상으로 마련하거나 주변의 작은 돌 등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11) 외부에 마련된 통공(15)은 상기 몸체(11) 내부의 수용공간부(14)에 마련된 부력조절용 중량추(20)를 수용공간부(14)에서 이탈을 방지하게끔 중량추(20)의 사이즈보다 작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호수나 저수지 또는 바닷가에서 사용하는 낚시용 찌(10)의 상,하단에 형성된 걸부(12)에 낚시줄(1)을 연결하고 몸체(11)의 외부를 잡고 회전시켜 나사부(13)에 의해 몸체(11)를 분리하여 분리된 몸체(11)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부(14)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력조절용 중량추(20)를 부상 높이에 따라 다수개 마련하여 다시 분리된 몸체(11)를 나사부(13)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낚시줄(1)과 함께 호수나 저수지 또는 바닷가로 투척을 하면 본 고안의 몸체(11) 외부에 형성된 통공(15)을 통해 물이 유입됨과 동시에 몸체(11) 내부의 수용공간부(14)에 위치한 중량추(20)에 의해 수중에서 찌(10)와 중량추(20)의 부력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찌(10)가 수면에서 많이 잠기게 되거나 많이 뜨게 되면 수용공간부 (14)에 마련된 중량추(20)를 조절하여 부력을 맞추어 수중의 미끼에 대한 물고기 입집상태를 수면에서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강이나 호수 또는 저수지 등에서 낚시할 때, 찌의 부상높이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납덩어리의 중량조절용 중량추를 조금씩 떼어내어 부상높이를 맞추는 것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낚시용 찌의 몸체 중앙을 분리시켜 나사부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하고 몸체 내부의 수용공간부에 중량조절용 추를 간편하게 삽입하도록 하여 찌의 부력을 손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용공간부에 마련된 중량조절용 중량추를 일회용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낚시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하단에 걸부(12)를 마련하여 낚시줄(1)을 연결하는 통상의 낚시용 찌(10)에 있어서,
    찌(10)의 몸체(11) 내부에 수용공간부(14)를 마련하고 몸체(11) 중앙부를 분리시켜 그 경계부에 나사부(13)를 마련하여 체결가능케 하고 상기 분리된 각각의 몸체(11) 일측에 통공(15)을 마련하고 상기 수용공간부(14)에 다수개의 부력조절용 중량추(20)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KR2020060002644U 2006-01-27 2006-01-27 낚시용 찌 KR200415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44U KR200415178Y1 (ko) 2006-01-27 2006-01-27 낚시용 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44U KR200415178Y1 (ko) 2006-01-27 2006-01-27 낚시용 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178Y1 true KR200415178Y1 (ko) 2006-05-02

Family

ID=4176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644U KR200415178Y1 (ko) 2006-01-27 2006-01-27 낚시용 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1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12983A1 (en) Live bait angel and chum bucket syetem
KR200415178Y1 (ko) 낚시용 찌
US20120073183A1 (en) Adaptable Fishing Float
KR100964289B1 (ko) 낚시찌
JP2003092961A (ja) 多機能補助パイプを使用する可変浮力中通し浮き
US20140075823A1 (en) Fishing weight having optimized buoyancy characteristics
CN211607936U (zh) 一种带有便于安装钓鱼铅坠的渔具
AU756476B1 (en) A fishing accessory that can be a float or a sinker
KR101702457B1 (ko)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KR100612134B1 (ko) 낚시찌세트
JP5923310B2 (ja) 液位測定手段を備えた液体貯溜装置
JP2006304745A (ja) ウキに接続された釣り糸の下方に取り付けるオモリの大きさを変えても一定の残存浮力を保つ釣り用の自立ウキ
KR200489018Y1 (ko) 낚시용 수중찌
JP2005013207A (ja) 魚釣具
KR200324455Y1 (ko) 유동 홀드가 구비된 낚시용 찌
KR200361715Y1 (ko) 부력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JP3207475U (ja) コマセ籠
KR20050075264A (ko) 다기능 수중찌
KR200344526Y1 (ko) 낚시줄 지지용 보조찌
KR20120002790U (ko) 보조찌를 갖는 낚시용 구멍찌
KR100632772B1 (ko) 낚시찌 부력 조절장치
KR200408860Y1 (ko) 플라스틱 파이프 찌톱
KR200355915Y1 (ko) 낚시용 중통찌
KR200179398Y1 (ko) 낚시용 찌 부력 조절구
KR200355916Y1 (ko) 반원구멍을 가지는 낚시용 흘림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