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030Y1 - 유동물 용기 - Google Patents

유동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030Y1
KR200415030Y1 KR2020060004304U KR20060004304U KR200415030Y1 KR 200415030 Y1 KR200415030 Y1 KR 200415030Y1 KR 2020060004304 U KR2020060004304 U KR 2020060004304U KR 20060004304 U KR20060004304 U KR 20060004304U KR 200415030 Y1 KR200415030 Y1 KR 200415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corrugated pipe
stopper
fl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순
Original Assignee
임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순 filed Critical 임대순
Priority to KR2020060004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0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유동물 용기는 본체와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동물을 저장하는 본체는 윗면과 측면이 모두 밀폐되며, 본체의 밑면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구부는 자바라식 주름관과 마개를 구비하는데, 내부가 빈 주름관은 본체의 밑면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신축이 가능하고, 마개는 주름관의 끝단인 배출구에 결합된다. 주름관은 그 직경이 본체의 밑면으로부터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며, 개구부는 본체의 밑면에 대하여 함몰과 돌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안정적인 직립 보관이 가능하고, 미량의 내용물을 배출하기가 쉬어지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유동물, 용기, 개구부, 자바라식 주름관, 마개, 함몰, 돌출

Description

유동물 용기{Liquids container}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의 종래 기술을 보여 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의 개구부를 함몰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의 개구부를 돌출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의 개구부를 함몰시킨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의 다양한 모양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외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명칭>
10: 유동물 용기 1: 본체
2: 마개 2a, 5a: 나사
5: 배출구 7: 주름관
9: 개구부 l, m, n, o, p: 주름면
본 고안은 유동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의 나머지 부분은 모두 밀폐되고 밑면 중앙에만 자바라식 주름관을 포함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가 본체 내부로 함몰되거나 본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구조의 유동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마요네즈나 케첩 등의 겔상의 음식물이나 화장품 등의 각종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는 내용물의 양이 적어짐에 따라 미량으로 남아 있는 경우에 용기에서 배출하기가 까다로운 점이 있어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용기를 거꾸로 세우거나 기울여서 용기의 배출구로 내용물을 모이게 하여 남아 있는 내용물을 빼거나 억지로 힘을 주어 눌러 짜서 배출하는 등의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5458호 "유동물 용기(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312623호 "EXTENDABLE OR SHRINKABLE PLASTIC CONTAINER(이하, '종래기술 2'이라 함)" 등이 개시된바 있다.
종래기술 1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물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부마개가 결합되는 상부개구부와, 용기 본체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수평이 되는 밑면과, 밑면에 대하여 매립 및 돌출이 가능하며 하부마개가 결합되는 하부개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 1은 하부개구부가 함몰이 되어 직립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나, 개구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까다롭고, 용기 본체의 양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2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축과 확장이 되는 자바라식 용기 본체에 상단과 하단에 마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 2는 용기 본체를 직립시켜서 냉장고 등에 보관할 때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용기의 유동물이 마개 쪽으로 모이지 않아 밀어내서 짜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요네즈나 화장품 등의 유동물이 보관되는 용기에 내용물이 미량 남아 있는 경우라도 용이하게 배출을 가능하게 하며, 용기 본체를 직립시킨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며, 한쪽에만 형성되는 간단한 자바라식 개구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동물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는, 유동물이 저장되며 윗면과 측면이 모두 밀폐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밑면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자바라식 주름관과 마개를 구비하는데, 주름관은 상기 본체의 밑면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신축이 가능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마개는 상기 주름관의 끝단인 배출구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개구 부는 상기 본체의 밑면에 대하여 함몰과 돌출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주름관은 그 직경이 상기 본체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축성을 갖도록 연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기 배출구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그 상단이 원터치로 개폐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의 개구부를 함몰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의 개구부를 돌출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의 개구부를 함몰시킨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동물 용기(10)는 겔(gel)상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본체(1)와,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1)의 밑면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9)로 구성된다. 본체(1)는 개구부(9)가 형성된 밑면을 제외하고 윗면, 측면이 모두 밀폐되어 있다. 개구부(9)는 자바라식 주름관(7)과 마개(2)로 이루어진다.
주름관(7)은 본체(1)의 밑면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주름관(7)은 신축이 가능하며 내부가 비어있다. 마개(2)는 주름관(7)의 끝단인 배출구(5)에 결합된다. 마개(2)의 내측 둘레와 이에 대응하는 배출구(5)의 외측 둘레에는 나사 (2a, 5b)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다른 개폐 방식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개(2)와 배출구(5)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되, 마개를 돌려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마개(2)의 상단이 원터치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9)는 본체(1)의 밑면에 대하여 함몰과 돌출이 가능하다. 즉, 본체(1)의 밑면 중앙에 위치하는 개구부(9)는 도 2와 같이 본체(1)의 내부로 함몰시키거나 도 3과 같이 본체(1)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는 주름관(7)의 직경과 관련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체(1)에 함몰된 개구부(9)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자바라식 주름관(7)은 그 직경이 본체(1)의 밑면으로부터 배출구(5) 쪽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본체(1)의 밑면에 연결된 주름면(l)에서부터 배출구(5) 쪽에 연결된 주름면(p)으로 갈수록 자바라식 주름관(7)에 형성된 주름면(l, m, n, o, p)의 길이를 점점 더 짧게(l>m>n>o>p)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개구부(9)가 본체(1)의 내부로 함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용기를 직립시켜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개구부(9)는 수축과 연장이 용이하도록 본체(1)의 재질보다 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개구부(9)가 신축성을 갖고 본체(1)의 밑면으로 함몰과 돌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 내부의 측면과 밑면의 경계를 둥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와 같은 형태는 본체(1) 내부에 남아 있는 내용물이 적을 경우에 내용물이 개구부(9) 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쉽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의 다양한 모양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외관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는 원통 모양(a), 원뿔 모양(b), 장구 모양(c)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하여 장식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동물 용기는 자바라식 개구부가 본체의 밑면에 대하여 함몰과 돌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안정적인 직립 보관이 가능하고, 본체의 내용물이 줄어들었을 경우에 자연적으로 본체의 밑면으로 내용물이 이동하여 배출이 쉬워진다. 또한, 보관 용기의 한쪽에만 개구부가 형성되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개구부가 없는 쪽을 활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유동물이 저장되며 윗면과 측면이 모두 밀폐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밑면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본체의 밑면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신축이 가능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자바라식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끝단인 배출구에 결합되는 마개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본체의 밑면에 대하여 함몰과 돌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물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그 직경이 상기 본체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물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신축성을 갖도록 연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물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배출구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물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그 상단이 원터치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물 용기.
KR2020060004304U 2006-02-16 2006-02-16 유동물 용기 KR200415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04U KR200415030Y1 (ko) 2006-02-16 2006-02-16 유동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04U KR200415030Y1 (ko) 2006-02-16 2006-02-16 유동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030Y1 true KR200415030Y1 (ko) 2006-04-26

Family

ID=4176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304U KR200415030Y1 (ko) 2006-02-16 2006-02-16 유동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0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105B1 (ko) 절첩가능한(foldable) 플라스틱병
US10897981B2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straw
US10329076B2 (en) Double-walled container
US5295609A (en) Container with integral straw
US20100038267A1 (en) Vacuum packaging container
JP2014234196A (ja) 二重容器
KR200415030Y1 (ko) 유동물 용기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US3406875A (en) Container closure
ES2268346T3 (es) Tapon dosificador para contenedor de liquidos.
JP6716341B2 (ja) 二重容器
JP4118406B2 (ja) プラスチックびん
JP4962953B2 (ja) 計量注出容器
JP2007045520A (ja) 底部吐出口式自立型マヨネーズ容器
JP2006240634A (ja) 高粘度液体用容器のキャップ
JP2007302254A (ja) 吐出容器
KR200222309Y1 (ko) 유동액 용기
KR200277791Y1 (ko) 배출구의 공기차단변을 형성한 튜브용기
KR200250733Y1 (ko) 액체저장 용기용 공기유입구
JP5769060B2 (ja) 詰め替えボトル
KR200328750Y1 (ko) 탄력노즐을 가진 고점도 액상물 용기
JP3098949U (ja) 飲料容器
KR200239438Y1 (ko) 액체용통
KR200389076Y1 (ko) 화장품 포장용 튜브
KR200365997Y1 (ko) 벨로우즈수단을 갖는 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