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861Y1 - 부화기 - Google Patents

부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861Y1
KR200414861Y1 KR2020060003146U KR20060003146U KR200414861Y1 KR 200414861 Y1 KR200414861 Y1 KR 200414861Y1 KR 2020060003146 U KR2020060003146 U KR 2020060003146U KR 20060003146 U KR20060003146 U KR 20060003146U KR 200414861 Y1 KR200414861 Y1 KR 200414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ing
case
incubator
light source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윤
Original Assignee
(주)오토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일렉스 filed Critical (주)오토일렉스
Priority to KR2020060003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8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부화실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부화실 내에 수용된 알을 비추도록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광원 제공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 제공부의 발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부화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하며, 상기 부화실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부화실 내의 알을 관찰하기 위한 검란부를 가지는 관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를 제공함으로써, 부화 중인 알을 부화기로부터 취출하지 않고도 부화 상태에 대한 관찰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부화 상태에 대한 정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부화기, 광원 제공부, 발광다이오드, 관찰 장치, 경통, 파인더, 투시창

Description

부화기{incubato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구조 중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구조 중 부화실에 광원 제공부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구조 중 관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상태 중 관찰장치를 통해 부화 상태를 촬영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10. 하부 케이스
120. 상부 케이스 121. 안착홈
122. 노출공 123. 안착턱
124. 통공 130. 부화실
200. 광원 제공부 210. 발광다이오드
220. 회로기판 300. 조작부
310. 디스플레이창 320. 조작 버튼
400. 관찰장치 410. 커버부
420. 검란부 421. 경통
422. 파인더 423. 투시창
424. 난반사 방지부 500. 카메라
본 고안은 부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알을 정해진 환경에서 일정 기간 동안 유지하여 부화시키는 도중 알의 부화상태를 관찰하도록 관찰 장치를 구비한 부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화기는 각종 알(예컨대, 조류 등의 알)을 부화 조건에 부합되는 환경으로 유지시켜 인공적으로 부화시키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상기한 부화기는 대량의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대량 부화기뿐만 아니라 소량의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소량 부화기가 있다.
이때, 상기 소량의 알을 부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소량 부화기는 통상 자연학습 등의 교육용으로 사용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4088호에서 제시되고 있는 소량 부화기가 그 일예이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소량 부화기는 교육용으로써 주로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알을 부화기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알이 실질적으로 부화중인지 혹은, 죽은 상태인지에 대하여 알기가 어려웠다.
즉, 부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부화기 내에서 부화되고 있는 알을 상기 부화기로부터 취출한 후 하나씩 빛에 비춰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알이 부화기로부터 자주 취출됨에 따라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부화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죽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었다.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부화기 내부에 램프를 설치하고, 도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한 구성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부화기는 알의 부화 상태를 근접해서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정확한 관찰이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제공되는 광원 역시 알의 일부로만 제공되어 상기 알의 전체적인 부화 상태에 대한 관찰이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화 중인 알을 부화기로부터 취출하지 않고도 부화 상태에 대한 관찰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부화 상태에 대한 정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관찰장치를 구비한 부화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화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부화실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부화실 내에 수용된 알을 비추도록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광원 제공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 되며, 상기 광원 제공부의 발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부화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하며, 상기 부화실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부화실 내의 알을 관찰하기 위한 검란부를 가지는 관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부화실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관찰장치를 이루는 커버부의 둘레는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턱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원 제공부는 상기 안착홈의 벽면에 매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 제공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찰장치의 검란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경통과, 상기 경통의 끝단에 설치되면서 투시창이 설치된 파인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통의 내벽면에는 빛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난반사 방지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경통의 끝단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부화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크게 케이스(100)와, 광원 제공부(200)와, 조작부(300) 및 관찰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케이스(100)는 부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는 서로 결합되며, 서로 간의 내부에는 각종 전장부품(도시는 생략됨) 및 알(1)의 부화를 위한 각종 구성들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알(1)의 부화를 위한 구성이라 함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온도 조절장치와, 습도 조절장치 및 송풍 장치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1)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부화실(130)을 가진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부화실(130) 내에는 상기 알(1)이 안착되는 안착홈(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121)에는 상기 알(1)의 일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를 향해 노출되도록 노출공(12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에는 상기 노출공(122)을 통해 노출된 알(1)을 지속적으로 굴려주는 전란장치(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형성된 부화실(130)의 테두리 부위에는 해당 부위를 따라 안착턱(1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턱(123)은 후술되는 관찰장치(400)가 해당 부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혹은, 쉽게 탈거됨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조이다.
다음으로, 상기 광원 제공부(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광원 제공부(2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부화실(130) 내에 수용되는 알을 비추도록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 제공부(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emitting Diode)(210) 및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210)가 실장되는 회로기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필요로 하는 특정 부위로만 광원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상기한 광원 제공부(200)는 상부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특히 상부 케이스(110)의 부화실(130)에 형성된 각 안착홈(1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121)으로 광원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 제공부(200)가 상기 안착홈(121)의 벽면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되는 알을 향해 광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안착홈(121)에는 다수의 통공(124)이 형성되고,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210)는 상기 각 통공(124) 내에 요입될 수 있도록 그의 회로기판(220)이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저면(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광원 제공부(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 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노출공(122)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121) 내의 알(1)을 향해 광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부(3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작부(300)는 상부 케이스(120)의 외면 중 부화실(130) 외측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 제공부(200)를 이루는 발광다이오드(210)의 발광을 조작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부(300)가 부화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임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 조작부(300)는 현재 부화기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310)과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32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창(3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는 온도, 습도, 부화예정일, 부화 진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관찰장치(4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관찰장치(400)는 부화실(130) 내부의 환경을 기기 외부의 환경(실내 환경)으로부터 차단함과 더불어 부화실(130) 내에 수용된 알(1)을 상기 부화실(130)로부터 취출하지 않고도 부화 상태에 대한 관찰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일련의 장치로써, 커버부(410)와 검란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41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부화실(130)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410)와 검란부(420)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 다. 이는 부화실(410) 내부를 외부 광원(예컨대, 태양광 혹은, 실내 조명 등)으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원활한 부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부화 상태의 관찰시 광원 제공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빛으로만 알(1)의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커버부(410)는 상기 부화실(13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410)의 둘레측 저부측 상기 부화실(130)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형성된 안착턱(1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버부(410)가 상기 안착턱(123)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부(410)에는 상기 부화실(1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 등의 별도 고정부재가 더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란부(420)는 상기 부화실(410) 내의 알을 관찰하기 위해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한 검란부(420)는 커버부(410)와 연결되는 소정 높이의 경통(421)과, 상기 경통(421)의 끝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경통(421)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파인더(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인더(422)에는 투시창(423)이 설치된다. 상기 투시창(423)은 부화실(130) 내부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투시창(423)을 통한 부화실(130) 내부의 관찰은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예컨대, 유리 등)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통(421)의 내벽면에 빛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난반사 방지부(424)가 더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난반사 방지부(424)는 빛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검은색 스폰지 등의 무광(無光)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통(421)의 끝단(파인더가 설치된 부위)(421a)이 상기 경통(421)의 하단(커버부와 연결되는 부위)(421b)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필요에 따라 부화실(130) 내부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경통(421)의 끝단을 상기 경통(421)의 하단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파인더(4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해당 부위를 통해 카메라(500)의 렌즈(510)가 안착된 상태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관찰장치(400)를 구성하는 경통(42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렌즈라 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렌즈나 오목렌즈 혹은, 줌 렌즈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렌즈는 파인더(422)를 통한 부화실(130)의 관측시 알(1)의 내부를 더욱 근접된 상태로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그 배치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사진기나 망원경 등에 적용되는 일련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화기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되는 바와 같다.
우선, 부화를 원하는 알(1)을 부화실(130) 내의 안착홈(121)에 안착시킨 후 관찰장치(400)를 이용하여 부화실(13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한다.
이의 경우, 상기 관찰장치(400)를 구성하는 커버부(410)는 부화실(1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안착턱(12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화의 진행을 위한 조작을 수행한다면 컨트롤러(도시는 생략됨)의 제어에 의해 온도 조절장치와, 습도 조절장치 및 송풍 장치가 동작되면서 부화실(130) 내부를 부화에 적합한 환경으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부화실(130)은 관찰장치(400)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커버부(410)와 검란부(420)가 외부로부터 빛의 유입을 차단함에 따라 상기 부화실(130)은 파인더를 통해서만 미세한 빛이 유입되는 암실(暗室)과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됨과 더불어 상기 검란부(420)의 투시창(423)에 의해 상기 부화실(130) 내부는 외부 환경(예컨대, 실내 온도)에 따른 온도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에 의해 알(1)의 부화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부화 상태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부화의 진행 상태에 대한 관찰을 수행하기 위해 조작부(300)를 조작할 경우에는 광원 제공부(200)를 이루는 각 발광다이오드(210)의 발광이 이루어지면서 부화실(130) 내의 안착홈(121)에 안착된 알(1)로 빛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해당 안착홈(121)에 안착된 알(1)의 내부가 검란(檢卵)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파인더(422)를 통해 상기 알(1)의 부화에 대한 관찰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검란부(420)를 이루는 경통(421)은 그 내벽면에 난반사 방지부(42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파인더(422)를 통한 알(1)의 부화 상태에 대한 관찰을 보다 정확히 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부화 상태에 대한 사진(혹은, 비디오)을 촬영하고자 한다면 파인더(422)가 구비된 경통(421)의 끝단을 상기 경통(421)의 하단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파인더(422)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개구가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구된 부위에 카메라(500)의 렌즈(510)를 안착시킨 후 부화실(130) 내부를 촬영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부화기는 알의 부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알이 부화되는 도중 상기 알을 부화기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상기 알의 부화 상태가 정확히 관찰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부화기는 알의 부화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외부 환경(예컨대, 빛이나 온도 등)으로부터 부화실 내부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로 이룸에 따 라 알이 제공받게 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부화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부화실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부화실 내에 수용된 알을 비추도록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광원 제공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 제공부의 발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부화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하며, 상기 부화실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부화실 내의 알을 관찰하기 위한 검란부를 가지는 관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부화실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관찰장치를 이루는 커버부의 둘레는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턱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공부는
    상기 부화실 내의 상기 알이 얹혀지는 면상에 매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공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장치의 검란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경통과,
    상기 경통의 끝단에 설치되면서 투시창이 설치된 파인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의 내벽면에는
    빛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난반사 방지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의 끝단인 상기 파인더가 설치된 부위는 상기 경통의 그 이외 부위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기.
KR2020060003146U 2006-02-03 2006-02-03 부화기 KR200414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146U KR200414861Y1 (ko) 2006-02-03 2006-02-03 부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146U KR200414861Y1 (ko) 2006-02-03 2006-02-03 부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861Y1 true KR200414861Y1 (ko) 2006-04-25

Family

ID=4448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146U KR200414861Y1 (ko) 2006-02-03 2006-02-03 부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8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95B1 (ko) * 2006-05-26 2007-05-04 최인겸 전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화기
CN115136927A (zh) * 2022-05-25 2022-10-04 安徽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鸡蛋孵化方法及孵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95B1 (ko) * 2006-05-26 2007-05-04 최인겸 전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화기
CN115136927A (zh) * 2022-05-25 2022-10-04 安徽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鸡蛋孵化方法及孵蛋装置
CN115136927B (zh) * 2022-05-25 2023-12-01 安徽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鸡蛋孵化方法及孵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5241B2 (en) Culture observation system
US7383078B2 (en) Imaging apparatus with heating element
CN105333517B (zh) 空气清洁装置
US20110205351A1 (en) Culture observation system
KR20120049167A (ko) 중의 망진 검사 장치
KR200414861Y1 (ko) 부화기
ATE556534T1 (de) Kamerabeleuchtung für ein elektronisches vergrösserungsglas
Schenk et al. Spatial learning by rats across visually disconnected environments
JP6657805B2 (ja) 光学機器
CN201481396U (zh) 中医望诊检测装置
JPH09252421A (ja) ボアホールテレビカメラ装置
KR20140084510A (ko) 프레파라트의 제작 및 보관, 관찰이 가능한 현미경 일체형 과학 키트
CN217065082U (zh) 昆虫趋光行为反应测试装置
ES2719925B2 (es) Dispositivo para fotografías macroscópicas de especímenes anatomopatológicos de pequeño tamaño
US20240118591A1 (en) Light box for photography and videography
US20240069415A1 (en) Box for the remote display of an object
KR20180076754A (ko) 로봇 물고기의 수중공연 시스템
Kelley et al. Character‐contrast measurements on reflective displays using replica masks
TH16753B (th) กล่องควบคุมแสงสำหรับวัดความเข้มข้นของสารเคอร์คูมินพร้อมกันหลายความเข้มข้น
KR20220064075A (ko) 플레이트 상부 촬영용 소형 스튜디오 장치
JP6403053B2 (ja) 郵便受け
RU15883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мотра с монитором
KR20220048115A (ko) 휴대용 곤충 관찰통
JPH10240121A (ja) 住宅室内の視環境予測方法
JPH1083060A (ja) 暗箱用明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