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766Y1 - 생선 후라이팬 - Google Patents

생선 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766Y1
KR200414766Y1 KR2020060003565U KR20060003565U KR200414766Y1 KR 200414766 Y1 KR200414766 Y1 KR 200414766Y1 KR 2020060003565 U KR2020060003565 U KR 2020060003565U KR 20060003565 U KR20060003565 U KR 20060003565U KR 200414766 Y1 KR200414766 Y1 KR 200414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ish
groove
pan
frying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길섭
Original Assignee
장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길섭 filed Critical 장길섭
Priority to KR2020060003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7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라이팬(10)의 조리면 중앙부를 만곡 요입시켜 저부바닥면이 평편한 조리홈부(12)를 형성하여 조리홈부(12)의 저부바닥면(14a)과 외주부 곡경사면(14b)을 제1 조리면(14)이 되게 하고 조리홈부(12) 외측의 상부 바닥면을 제2 조리면(16)이 되게 하여 생선 조리물(30)을 제1 조리면(14) 및 제2 조리면(16)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Figure 112006009409552-utm00001
후라이팬, 생선

Description

생선 후라이팬{FRYPAN FOR FISH}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생선 후라이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생선 후라이팬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생선 후라이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생선 후라이팬 12: 조리홈부
14: 제1 조리면 14a: 저부바닥면
14b: 외주부 곡경사면 16: 제2 조리면
20: 받침대 30: 생선 조리물
40: 돌선
본 고안은 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선 조리에 편리한 생선 후라이팬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라이팬은 내부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조리부와 조리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손잡이를 구비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조리부를 덮는 후라이팬 뚜껑도 후라이팬 세트로서 구비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후라이팬은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조리면이 평편하므로 생선과 같은 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생선의 양측 넓은 면은 익었는데도 불구하고 생선의 등이나 배측에는 아직 덜익어 생선의 등이나 배측까지도 완전히 익을 때까지 생선의 양측면을 익혀주므로 그 양측면이 타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생선용 후라이팬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생선의 등과 배와 같이 폭좁은 부위도 골고루 익히게 할 수 있는 개선된 생선 후라이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를 빠르게 하며 식용유 소모도 줄일 수 있는 생선 후라이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가스레인지 사용시 안전사고 방지도 도모할 수 있는 생선 후라이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후라이팬의 조리면 중앙부를 만곡 요입시켜 저부바닥면이 평편한 조리홈부(12)를 형성하여 조리홈부(12)의 저부바닥면(14a)과 외주부 곡경사면(14b)을 제1 조리면(14)이 되게 하고 조리홈부(12) 외측의 상부 바 닥면을 제2 조리면(16)이 되게 하여 생선 조리물(30)을 제1 조리면(14) 및 제2 조리면(16)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생선 후라이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생선 후라이팬(10)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생선 후라이팬(10)은 조리면 중앙부를 만곡 요입시켜 저부바닥면이 평편한 조리홈부(12)를 형성하여 조리홈부(12)의 저부바닥면(14a)과 외주부 곡경사면(14b)을 제1 조리면(14)이 되게 하고 조리홈부(12) 외측의 상부 바닥면을 제2 조리면(16)이 되게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여 생선 후라이팬(10)에서 생선을 조리하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생선 조리물(30)이 제1 조리면(14)이나 제2 조리면(16)의 어디에나 조리가 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조리홈부(12)의 제1 조리면(14)은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토막내지 않고 그냥 넣은 생선이라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제1 조리면(14)의 곡경사면(14b)은 생선의 등이나 배부분이 잘 밀착되도록 곡경사지게 형성해준다. 타원형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후라이팬의 직경 300mm를 기준으로 할 때 타원의 장축직경(곡경사면 포함)을 약 250mm정도로 하고, 타원의 단축직경(곡경사면 포함)을 170mm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조리홈부(12)의 곡경사면(14b)의 각도 θ는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저부바닥면(14a)을 기준으로 20°∼ 45°를 이루며, 조리홈부(14)의 깊이 H2는 후라이팬의 제2 조리면(12a)의 깊이 H1 대비 25 ∼ 35%정도가 되게 한다. 예컨대, 후라이팬의 직경이 300mm를 기준으로 할 때 제2 조리면(16)의 깊이 H1은 50mm정도가 적당한데, 이때 조리홈부(14)의 깊이 H2는 약 15mm정도가 바람직하다.
제1 조리면(14)은 상부 바닥면으로 형성된 제2 조리면(16)에 비해 비슷하거나 상대적으로 약간 더 넓게 되며, 제2 조리면(16)은 생선 기름 등이 제1 조리면(14)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약간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생선 후라이팬(10)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생선 후라이팬(10)에 대비해서 제2 조리면(16)에 다수의 돌선(40)들이 더 형성된 구성적 특징을 갖고 있다. 다수의 돌선(40)을 갖는 제2 조리면(16)은 생선 조리물(30)에 묻은 생선 기름 등이 더욱 잘 빠져 나갈 수 있게 해준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의 후라이팬(10)은 조리면의 전체 표면적이 조리홈부(12)가 없는 일반 후라이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넓어져 조리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생선 조리물(30)을 제1 조리면(14)의 저부 바닥면(14a)과 곡경사면(14b)에서 골고루 빠르게 익혀서 일차적으로 조리를 할 수 있게 해주고 그후 제2 조리면(16)으로 옮겨서 익히면 서서히 익게함과 아울러 생선 기름 등도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해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맛있게 조리된 생선 맛을 느낄 수 있게된다. 제2 조리면(16)은 제1 조리면(14)에 비해서 가스레인지의 화력이 다소 약하므로 생선 조리물(30)을 은근히 익힐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생선 후라이팬(10)의 제2 조리면(14)의 바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의 받침대(20)에 충분히 얹힐 수 있어 안전하며 제1 조리면(12)과 제2조리면(14)의 구성으로 인해 생선 후라이팬(10)의 바닥부가 단턱지게 구성되므로 가스레인지의 센 화력이 가스레인지에 열반사를 하는 정도가 낮아져 그만큼 안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히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18"은 후라이팬 손잡이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생선 조리시 생선의 등과 배와 같이 폭좁은 부위도 함께 골고루 익혀지도록 함과 아울러 조리시간도 단축시키고 식용유 소모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후라이팬의 조리면 중앙부를 만곡 요입시켜 저부바닥면이 평편한 조리홈부(12)를 형성하여 조리홈부(12)의 저부바닥면(14a)과 외주부 곡경사면(14b)을 제1 조리면(14)이 되게 하고 조리홈부(12) 외측의 상부 바닥면을 제2 조리면(16)이 되게 하여 생선 조리물(30)을 제1 조리면(14) 및 제2 조리면(16)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후라이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홈부(12)의 제1 조리면(14)은 타원형이며 제2 조리면(16)에는 다수의 돌선(40)들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후라이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홈부(12)의 경사면의 각도 θ가 바닥면 기준으로 20°∼ 45°를 이루며, 조리홈부(12)의 깊이 H2는 후라이팬의 제2 조리면(16)의 깊이 H1 대비 25 ∼ 35%정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후라이팬.
KR2020060003565U 2006-02-08 2006-02-08 생선 후라이팬 KR200414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565U KR200414766Y1 (ko) 2006-02-08 2006-02-08 생선 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565U KR200414766Y1 (ko) 2006-02-08 2006-02-08 생선 후라이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241 Division 2006-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766Y1 true KR200414766Y1 (ko) 2006-04-24

Family

ID=4448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565U KR200414766Y1 (ko) 2006-02-08 2006-02-08 생선 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7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190B1 (ko) 2013-04-24 2013-11-07 김태석 다용도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26099B1 (ko) * 2018-02-28 2019-02-26 (주)코메탈 조리용 후라이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190B1 (ko) 2013-04-24 2013-11-07 김태석 다용도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4116399A (zh) * 2013-04-24 2014-10-29 金兑硕 多用途烹饪器皿及其制造方法
CN104116399B (zh) * 2013-04-24 2015-11-25 金兑硕 多用途烹饪器皿及其制造方法
KR101926099B1 (ko) * 2018-02-28 2019-02-26 (주)코메탈 조리용 후라이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45295S1 (en) Cooking pan for a kettle grill
US8869681B2 (en) Cooking pan with a shelf
WO2006024824B1 (en) Egg cooking utensil
KR200414766Y1 (ko) 생선 후라이팬
CN203935086U (zh) 一种石墨煎锅
US10398261B2 (en) Spatula
KR101621186B1 (ko) 계란 후라이용 덮개
JP3145115U (ja) 食材返し付きフライパン
KR200452997Y1 (ko) 오목부가 구비된 프라이팬
KR200376113Y1 (ko) 타원 형상을 갖는 생선 튀김용 프라이팬
KR101536924B1 (ko) 주방장용 프라이팬
CN210408048U (zh) 一种防油溅的炒锅
KR200339232Y1 (ko) 고기 구이판
KR101280021B1 (ko) 다기능 구이판
CN205493583U (zh) 一种五合一煎烤盘
KR100742386B1 (ko) 일체형 기름 접시
JP2014168598A (ja) フライパン
KR200306154Y1 (ko) 프라이팬
JP3207544U (ja) グリル用ロースター
KR200306153Y1 (ko) 프라이팬
KR20150123116A (ko) 조리용기용 덮개
KR101628808B1 (ko) 조리용기용 덮개
KR200387735Y1 (ko)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KR20110023666A (ko) 표면에 반구형 돋을새김이 형성된 접시
KR200305087Y1 (ko)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