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667Y1 -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667Y1
KR200414667Y1 KR2020060003747U KR20060003747U KR200414667Y1 KR 200414667 Y1 KR200414667 Y1 KR 200414667Y1 KR 2020060003747 U KR2020060003747 U KR 2020060003747U KR 20060003747 U KR20060003747 U KR 20060003747U KR 200414667 Y1 KR200414667 Y1 KR 200414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bridge
cover
top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03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6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는 얇은 두께를 가지며 중앙으로 갈수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호형의 단면을 가지며 폭방향으로는 두께가 일정하고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는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형성되며 양 단부에는 나사조립홈이 형성되어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공간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게 되므로 교량상판의 단부에 설치된 철근이 안전하게 보호되어 신축이음부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며 신축이음공간내에 이 물질이 투입되지 않으므로 신축이음의 시공기간이 월등하게 단축되고 조립설치 및 분해철거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신충이음공간을 완전히 폐쇄하므로 작업물의 낙하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A cover connecting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
도2는 도1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3은 도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4는 도1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가 설치된 교량상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신축이음보호덮개가 교량상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덮개본체 2. 교량상판
3. 신축이음공간 11. 조립돌
본 고안은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량의 신축이음의 시공전에 서로 이격된 교량의 상부에 이격되어 신축이음이 설치기전에 존재하는 빈공간을 덮는 신축이음보호덮개를 제공하므로서 교량의 신축이음단부에 설치된 철근의 변형이 방지되고 작업구간의 원활한 통행을 달성하며 신축이음부의 시공시 공기가 단축되고 작업물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는 신축이음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교량은 다수개의 교량상판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각 교량상판은 하절기와 동절기의 온도변화로 인한 신장과 수축이 발생되므로 항상 일정한 정도의 신축을 위한 이격거리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교량이 완전히 건설되기 전에는 교량상판의 단부의 상부에는 신축이음이 설치되는 철근구조물이 형성된 상태로 이웃하는 교량상판은 신축이음이 설치되는 빈공간상태인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교량상판은 이와 같이 이격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교량의 완성을 위하여 건축자재를 실은 덤프트럭과 같은 차량이 통행하게 되므로 교량상판의 단부에 설치된 철근이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신축이음의 설치가 어렵게 되며 교량의 설계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이외에 작업자가 신축이음공간에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차량의 바퀴도 신축이음공간에 빠지게 되어 타이어의 손상이 쉽게 되고 빈 신축이음공간속에 건축폐자재와 같은 쓰레기가 충진되어 신축이음시공시 이와 같은 쓰레기를 청소하여야 하므로 신축이음의 기간이 지연되며 작업중에 빈 공간으로 공구가 건축자재가 낙하되어 아래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꺼운 철판을 이격공간상에 배치하여 차량이 통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두꺼운 철판은 고가이므로 교량전체에 사용하기 어려우며 교량상에 운반하기에도 힘이 들뿐아니라 교량의 폭이 적어도 2차선 많게는 8차선 이상의 폭을 갖으므로 이격공간인 신축이음공간 전부를 폐쇄할 수 없어 차량이 통행하는 바퀴가 걸치는 부분만 설치하게 되므로 신축이음공간을 폐쇄한다고 볼 수가 없으므로 전술한 문제점이 그대로 발생되고 있는 현실이며 이러한 두꺼운 철판은 그 모서리가 날카로우므로 통행하는 차량의 바퀴를 손상시키며 작업자들에게 상해를 입힐 우려가 있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교량의 시공후에 철거문제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공간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게 되므로 교량상판의 단부에 설치된 철근이 안전하게 보호되어 신축이음부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며 신축이음공간내에 이 물질이 투입되지 않으므로 신축이음의 시공기간이 월등하게 단축되고 조립설치 및 분해철거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신충이음공간을 완전히 폐쇄하므로 작업물의 낙하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양단부는 얇은 두께를 가지며 중앙으로 갈수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호형의 단면을 가지며 폭방향으로는 두께가 일정하고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는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형성되며 양 단부에는 나사조립홈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A)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길이가 2000mm이고 폭이 500mm로 덮개본체(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축이음보호덮개(A)의 덮개본체(1)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는 얇은 두께를 가지며 중앙으로 갈수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호형의 단면을 가지며 폭방향으로는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중간부가 두꺼운 구조로서 덮개본체(1)의 중간에 집중되는 하중을 견디면서 용이하게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덮개본체(1)의 원호상의 상부면에는 차량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다이아몬드상의 다수의 요철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본체(1)의 양측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에는 연속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근접하게는 조립요홈(1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근접하게는 조립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요홈(11)은 인접한 다른 신축이음보호덮개(A)의 조립돌기(12)에 결합되어 조립되고, 상기 조립돌기(12)는 인접한 다른 신축이음보호덮개(A)의 조립요홈(11)과 결합되어 연속적으로 조립되므로 교량상판(2)사이의 신축이음공간(3)을 덮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본체(1)의 양단부에 인접하게는 교량상판(2)에 고정되는 나사조립홈(13)이 형성되어 덮개본체(1)가 교량상판(2)에 고정볼트(4)에 의하여 나사고정된 다. 상기 신축이음보호덮개(A)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므로 중량이 가볍게 되어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조립설치와 분해이송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A)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교량상판(2)이 교각상에 배치되면, 교량상판(2)사이에는 신축이음공간(3)이 형성되고 교량상판(2)의 단부의 상부에는 철근(5)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신축이음공간(3)이 형성된 교량상판(2)(2)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음보호덮개(A)를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하고 고정볼트(4)로 고정시킨다. 다시 다른 신축이음보호덮개(A)를 이미 고정된 신축이음보호덮개(A)옆에 배치하고 인접한 조립돌기(12)와 조립요홈(11)을 결합시키고 다시 고정볼트(4)로 신축이음보호덮개(A)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신축이음보호덮개(A)를 고정시켜나가면, 본실시예에서 신축이음고정덮개(A)의 폭이 500mm이므로 4차선교량의 신축이음공간을 덮을 경우 교량폭을 20m로 할 경우 약 40개의 신축이음보호덮개(A)를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축이음보호덮개(A)가 교량상판(2)사이의 신축이음공간(3)을 덮게 되면, 교량시공중에 덤프트럭과 같은 차량이 통과하게 되어도 교량상판(2)의 철근(5)의 손상이 없게 되며 신축이음공간(3)내에 건자재가 충진되지 않게 되므로 별도로 신축이음공간(3)을 청소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위험물의 낙하가 방지되어 안전사고가 예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A)는 차가 진입하는 단부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므로 타이어와 부딪히어 타이 어를 손상시키거나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우려가 없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는 얇은 두께를 가지며 중앙으로 갈수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호형의 단면을 가지며 폭방향으로는 두께가 일정하고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는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형성되며 양 단부에는 나사조립홈이 형성되어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공간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게 되므로 교량상판의 단부에 설치된 철근이 안전하게 보호되어 신축이음부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며 신축이음공간내에 이 물질이 투입되지 않으므로 신축이음의 시공기간이 월등하게 단축되고 조립설치 및 분해철거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신충이음공간을 완전히 폐쇄하므로 작업물의 낙하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보호덮개(A)의 덮개본체(1)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는 얇은 두께를 가지며 중앙으로 갈수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호형의 단면을 가지며 폭방향으로는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중간부가 두꺼운 구조이고,
    상기 덮개본체(1)의 양측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에는 연속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근접하게는 조립요홈(11)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근접하게는 조립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본체(1)의 양단부에 인접하게는 교량상판(2)에 고정되는 나사조립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
KR2020060003747U 2006-02-10 2006-02-10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 KR200414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747U KR200414667Y1 (ko) 2006-02-10 2006-02-10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747U KR200414667Y1 (ko) 2006-02-10 2006-02-10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667Y1 true KR200414667Y1 (ko) 2006-04-21

Family

ID=4448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747U KR200414667Y1 (ko) 2006-02-10 2006-02-10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6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991B1 (ko) 2013-08-19 2014-04-16 김용철 신축이음장치용 신축성 마감부재 유닛, 그 마감부재 유닛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그 신축이음장치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991B1 (ko) 2013-08-19 2014-04-16 김용철 신축이음장치용 신축성 마감부재 유닛, 그 마감부재 유닛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그 신축이음장치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590B2 (en) Anti-expansion joint bridge constructed through detailed survey for bridge
JP4618731B2 (ja) 自動車道路高架橋の中央分離帯用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ガードフェンス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192078B1 (ko)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보호장치
KR101317926B1 (ko) 모노셀형 교량 신축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이음부의 보수방법
JP2007046365A (ja) 橋梁の継手部構造
US7080956B2 (en) Open bottom box culvert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5835371B2 (ja) 剛性防護柵の補強構造
KR200414667Y1 (ko) 교량용 신축이음보호덮개
EP2596174B1 (en) Culvert with a deformation zone
KR100700947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JP5164234B2 (ja) 橋梁用伸縮ジョイント
JP5958907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床版の部分的修復工法
KR102484097B1 (ko) 후타 보존 부분교체형 핑거조인트와 핑거조인트의 조립방법 및 교체방법
KR10157188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954597B1 (ko)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110195408B (zh) 桥梁伸缩缝防尘装置及其防尘减震装置
KR100794444B1 (ko) 복합 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슬래브교의 시공법
KR101203480B1 (ko) 분리형 핑거를 가지는 신축이음장치
KR101048422B1 (ko) 신축이음장치
CN206467567U (zh) 大位移等距变位伸缩缝
JP7405410B2 (ja) 縁石マット
JPS63803Y2 (ko)
CA2530850C (en) Open bottom box culvert
KR102305121B1 (ko) 가황식 배수시트 및 방수도포재를 이용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누수방지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