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465Y1 -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 Google Patents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465Y1
KR200414465Y1 KR2020050026655U KR20050026655U KR200414465Y1 KR 200414465 Y1 KR200414465 Y1 KR 200414465Y1 KR 2020050026655 U KR2020050026655 U KR 2020050026655U KR 20050026655 U KR20050026655 U KR 20050026655U KR 200414465 Y1 KR200414465 Y1 KR 200414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support plate
plate
bos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남
Original Assignee
이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남 filed Critical 이영남
Priority to KR2020050026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4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3/00Writing or drawing underlays, e.g. blotting pads
    • B43L3/008Writing or drawing underlays, e.g. blotting pads with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5/00Drawing boards
    • B43L5/002Drawing boards with pivoting draw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판을 회전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지지판에 360도 회전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필기판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필기나 메모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MEMO BOARD HAVING A TURNING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회전연결부재에 의한 필기판과 지지판의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지지판과 받침판의 힌지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의 배면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필기판 102 : 눈금
104,106 : 가로/세로라인 110 : 손목받침부
120 : 보스 122 : 볼트공
200 : 지지판 210 : 끼움공
220 : 관통공 230 : 힌지공
240 : 힌지바아 300 : 지지프레임
320 : 볼트 340 : 와셔
400 : 받침판 410 : 힌지고리부
420 : 걸림홈 430 : 요입부
본 고안은 필기 또는 메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필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필기판을 자유자재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필기나 메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나 간단한 메모작업시 습관적으로 책상 또는 탁자를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사람들은 상체를 굽히고 시선을 책상이나 탁자면에 있는 필기용지에 두며 필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해진 자세로 필기나 메모를 장시간 하게 될 경우 사람들은 피로감을 쉽게 느끼게 되고, 심지어 사용자의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근시, 목 신경통, 허리 신경통 등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앞으로는 정해진 일정한 필기자세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다양한 필기자세에 맞도록 필기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일정한 장소에 구애됨 없이 어느 곳에나 간편하게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필기대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종래의 일부 필기대에서는 필기용지(가령 A4용지)를 정해진 각도의 필기판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필기용지를 어느 한 방향(가령 세로방향)만 배치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기용지를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필기판을 회전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지지판에 대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필기판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필기나 메모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필기판; 상기 필기판과 상기 지지판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상기 필기판의 배면에 돌출 형성된 보스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며 상기 보스가 끼워지는 끼움공과, 상기 보스에 체결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끼워지는 와셔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셔의 직경은 상기 보스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필기대는 상기 필기판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회전방향을 갖도록 상기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걸려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기판의 하단에는 손목받침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기판의 테두리와 상기 손목받침부의 상단에는 눈금이 새겨지고, 상기 필기판의 전면부에는 상기 눈금에 대응하여 정사각형 격자무늬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에는 힌지고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힌지고리부와 결합되는 힌지바아가 구비되되, 상기 힌지고리부의 내면에는 다수의 홈이 배열 형성되고, 상기 힌지바아의 외면에는 상기 힌지바아의 회전시 상기 홈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배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회전연결부재에 의한 필기판 및 지지판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필기대는 필기판(100)과, 필기판(100)이 지지되는 지지판(200)과, 지지판(200)을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지지해 주는 지지프레임(300)과, 필기판(100)과 지지판(20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기판(100)은 필기 또는 간단한 메모를 위하여 필기용지(예컨대 A4용 지)가 올려질 수 있는 직사각형 평판으로서 지지판(200)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판(200)의 전면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후방에 있는 회전연결부재를 통해 지지판(20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필기판(100)의 배면에 돌출 형성된 보스(120)와, 상기 지지판(200)에 형성되며 상기 보스(120)가 끼워지는 끼움공(210)과, 상기 보스(120)에 체결되는 볼트(320) 및 상기 볼트(320)에 끼워지는 와셔(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스(120)에는 상기 볼트(320)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00)의 중앙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일정 직경의 관통공(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필기판(100)과 지지판(200)을 조립할 경우, 상기 필기판(100)과 지지판(200)을 맞대어 상기 보스(120)가 끼움공(210)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와셔(340)를 볼트(320)에 끼운 후 상기 볼트(320)를 보스(120)의 볼트공(122)에 체결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320)를 통해 조립된 지지판(200)과 필기판(10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와셔(340)의 직경을 상기 보스(12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와셔(340)를 적용하지 않고 상기 볼트(320)의 머리부의 직경을 상기 보스(12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조립구조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의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에서 볼 수 있듯이, 필기판(100)은 볼트(320)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지지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지지판(200)의 배면부에는 지지프레임(30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300)은 "U"자 형상의 외형을 이루며 그 양단은 지지판(200)의 배면부 상단에 돌출 형성된 힌지공(230)에 끼워져서 필기판(100)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필기대를 통해 필기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300)과 지지판(200) 사이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필기판(100)의 경사도를 갖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필기대는 지지판(200)과 지지프레임(300)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판(400)이 더 구비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판(200)과 받침판(400)의 힌지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받침판(400)의 단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힌지고리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00)의 하단에는 상기 힌지고리부(410)와 탄성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바아(240)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고리부(410)와 힌지바아(240)의 결합에 의해 지지판(200)은 받침판(400)에 대하여 필기판(100)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상하방향(상하방향)으로 회동가 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바아(240)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상기 힌지고리부(410)의 내주면상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홈(412)이 배열 형성되고, 상기 힌지바아(240)의 외면에는 상기 힌지바아(240)의 회전시 상기 홈(412)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되는 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40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하단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는 걸림홈(420)이 일정간격을 이루며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400)의 양 측면부는 내측으로 일정형태로 요입된 요입부(430)를 형성하여 중량감소와 아울러 외관미의 향상에 염두를 두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지판(200)과 지지프레임(300) 사이의 각도는 일정각도로 세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메모나 필기작업시 예컨대, 줄긋기나 표 그리기 등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치수작업을 수행하게 될 경우를 대비하여 필기판(100)의 전면부 테두리상에는 일정간극을 이루는 다수의 눈금(102)이 새겨져 있다.
상기 필기판(100)의 하단에는 필기작업시 사용자의 손목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손의 피로를 덜어주어 작업 편의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만곡된 곡선을 이루는 손목받침부(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목받침부(110)의 상단에는 상기 필기판(100) 테두리부에 새겨진 눈금에 대응하는 다수의 눈금(102)이 새겨져 있다.
아울러, 상기 필기판(100)의 전면부에는 상기 눈금(102)에 대응하여 다수의 가로라인(104)과 이와 교차되는 다수의 세로라인(106)으로 구성된 정사각형의 격자무늬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필기대는 지지프레임(300)이 지지판(200)에 대해 회동가능한 힌지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필기판(100)의 경사각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기판(100)이 볼트(320)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지지판(200)에 대해 360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필기용지의 배치방향(예컨대,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 구애됨 없이 다양한 자세로 자유롭게 각도를 변경하여 필기나 메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필기용지를 필기판(100) 위에 올려놓은 상태로 필기나 메모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일 예로 들고 있으나, 필기판(100)의 전면부 재질을 일반적인 화이트 보드와 같이 쓰고 지우기가 가능한 매끄러운 재질로 구성하여 별도의 필기용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필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 보여진 회전연결부재는 보스(120)와 끼움공(210) 사이의 간격을 보다 넓히고 납작한 파이프 형상의 베어링을 상기 간격에 개재되도록 상기 보스(120)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필기판(100)의 회전작용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필기대의 필기판을 회전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지지판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용지의 배치방향에 따라 필기판을 적절히 회전시킨 상태에서 필기나 메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회동가능한 구조로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필기판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연결부재를 볼트 및 와셔로 구성하고, 필기판의 배면에 볼트가 체결되는 보스를 형성하고, 지지판에 보스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형성하며, 와셔의 직경을 보스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필기판의 회전구조를 별도의 복잡한 기구적 구조를 적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지지판에 필기판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받침판을 설치하고, 이 받침판의 상면에 지지프레임의 하단이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지지판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일정각도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필기판의 경사각도를 다양한 정해진 각도로 자유롭게 변경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필기판 하단에 손목받침부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 가 필기나 메모작업을 할 경우 손목을 상기 손목받침부에 받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필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장시간 작업시 손의 피로를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필기판의 테두리와 손목받침부의 상단에 눈금을 형성하고, 상기 필기판의 전면부에 상기 눈금에 대응하여 정사각형 격자무늬를 형성함에 따라, 줄긋기나 표그리기 등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작업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판의 힌지고리부의 내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고, 지지판의 힌지바아에 상기 홈에 걸릴 수 있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지지판의 회전시 돌기가 다수의 홈에 단계적으로 걸리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판과 받침판 사이의 각도가 일정한 단계별로 조절 가능해지고 지지판의 회전에 따른 조작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지판;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필기판;
    상기 필기판과 상기 지지판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상기 필기판의 배면에 돌출 형성된 보스;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며 상기 보스가 끼워지는 끼움공;
    상기 보스에 체결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끼워지는 와셔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셔의 직경은 상기 보스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판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회전방향을 갖도록 상기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걸려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판의 하단에는 손목받침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판의 테두리와 상기 손목받침부의 상단에는 눈금이 새겨지고, 상기 필기판의 전면부에는 상기 눈금에 대응하여 정사각형 격자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힌지고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힌지고리부와 결합되는 힌지바아가 구비되되, 상기 힌지고리부의 내면에는 다수의 홈이 배열 형성되고, 상기 힌지바아의 외면에는 상기 힌지바아의 회전시 상기 홈에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KR2020050026655U 2005-09-15 2005-09-15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KR200414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55U KR200414465Y1 (ko) 2005-09-15 2005-09-15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55U KR200414465Y1 (ko) 2005-09-15 2005-09-15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465Y1 true KR200414465Y1 (ko) 2006-04-20

Family

ID=4929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655U KR200414465Y1 (ko) 2005-09-15 2005-09-15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4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28B1 (ko) * 2014-04-21 2014-12-01 세명엔지니어링(주) 다각도 개방형 아크방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28B1 (ko) * 2014-04-21 2014-12-01 세명엔지니어링(주) 다각도 개방형 아크방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482Y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150003823U (ko) 각도조절 보조책상
US20120074284A1 (en) Flexible Support Structure
KR200414465Y1 (ko) 회전기능을 구비한 필기대
KR20041383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KR200280495Y1 (ko) 마우스패드
JP2009265218A (ja) 表示装置
US20070007423A1 (en)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KR10073583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이트 보드
JP2001070224A (ja) 浴槽洗い具
KR200413852Y1 (ko) 수강용 책상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US6881065B1 (en) Penmanship aid
KR200293084Y1 (ko) 탁상용 달력
KR100238440B1 (ko) 착탈식 이동형 독서 겸용 경사 필기판
KR19980014268U (ko) 컴퓨터 마우스용 팔받침대
KR20100009295U (ko) 다용도 교실책상
KR200412368Y1 (ko) 절첩식 독서대가 설치된 책상
KR200331484Y1 (ko) 강의용 의자
CN212171821U (zh) 一种美术教学使用的透写台
CN217695586U (zh) 学习桌
CN214164537U (zh) 板夹
KR200467024Y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독서대
KR200396467Y1 (ko) 상판 각도가 조절되는 책상 .
CN2718969Y (zh) 多功能枢转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