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980Y1 -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 - Google Patents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980Y1
KR200413980Y1 KR2020060000875U KR20060000875U KR200413980Y1 KR 200413980 Y1 KR200413980 Y1 KR 200413980Y1 KR 2020060000875 U KR2020060000875 U KR 2020060000875U KR 20060000875 U KR20060000875 U KR 20060000875U KR 200413980 Y1 KR200413980 Y1 KR 200413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l
contents
end portion
cylindrical type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현
Original Assignee
두리제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제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제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0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9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65D17/506Rigid or semi-rigid members, e.g.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페일 캔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습기에 의한 내용물의 변질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내용물이 담겨지는 통 본체(20)의 상 하단부(22)(24)로 덮개 판(26)(28)이 각각 일체로 시밍 결합되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통 본체(20)는 내용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2)가 형성되는 상협 구조의 상단부(22)를 기준으로 하광 구조의 하단부(24)를 향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상협 구조의 상단부(22)에 밀봉 결합되는 덮개 판(26)으로는 상기 출입구(12)를 막기 위한 출입구 마개(30) 및 운반용 손잡이(40)가 일체로 장착 구비된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페일 캔, 손잡이, 상협하광

Description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Cylindercal type of pail can structure}
도 1은 종래 페일 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페일 캔의 상하 또는 좌우 적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단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페일 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페일 캔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단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페일 캔의 상하 또는 좌우 적층 상태를 보인 일부 절단 측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페일 캔 12: 출입구
20: 통 본체 22,24: 상 하단부
26,28: 덮개 판 30: 출입구 마개
40: 운반용 손잡이
본 고안은 액상이나 점성 상태의 각종 유동 물질, 예컨대 각종 오일이나 윤 활유, 화학물질, 도료, 시너, 유지류인 식용유나 간장 등(이하, ‘내용물’이라 약칭한다)을 담아 포장하는 데 사용되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pail ca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적 보관시 습기 유입으로 인한 내용물의 변질 및 오염 방지가 가능하고, 또 운반 구조의 개선을 통한 포장 부피의 감소는 물론 운반 취급이 매우 용이하도록 캔 구조가 현저하게 개선된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일 캔은, 각종 내용들을 담아 포장하기 위하여 주로 양철판(洋鐵板) 소재를 이용하여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지고, 또 운반을 위한 손잡이 및 내용물의 사용을 위한 주출입구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바, 종래 사용되고 있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사용되고 있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1)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통 본체(2)는 적층을 고려하여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통 본체(2)가, 출입구 마개(7)가 설치되는 상단부(3)를 기준으로 그 하단부(4)를 향해 좁아지도록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 본체(2)의 양 단부(3,4) 로는 상기 통 본체(2)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판(5)(6)이 각각 일체로 시밍 결합되어 지고, 상기 덮개 판(5)(6)은 페일 캔(1)의 적층을 위해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 본체(2)의 상단부(3)로 구비된 덮개 판(5)으로 형성된 출입구(도면상 도시 생략함)로는 내용물의 배출 사용을 위한 출입구 마개(7)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통 본체(2)의 상단부(3)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 걸이부 (8)로는 와이어가 절곡 형성된 타입의 운반용 손잡이(9)가 재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때 운반용 손잡이(9)는 항상 통 본체(2)의 외주 측면에 그대로 노출되어 지게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종래 페일 캔(1)에 있어서,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단부(3)의 덮개 판(5)으로 구비된 출입구 마개(7)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따라 사용하면 되고, 또한 운반시에는 통 본체(2)의 걸이부(8)에 걸어진 운반용 손잡이(9)를 상측으로 재침한 다음 손으로 잡고 운반하면 되는 구조이어서, 통상적인 페일 캔(1)의 내용물 사용이나 운반시에는 큰 문제가 없다 할 것이다.
하지만, 종래 상기한 구성의 페일 캔(1)은, 출입구 마개(7)가 구비된 상단부(3)를 기준으로 통 본체(2)가 상광하협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구조상 야적 및 포장시 상당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도 2a를 먼저 참조하면, 각 페일 캔(1)의 보관시 직경이 적은 하단부(4)가 이보다 직경이 큰 상단부(3)에 안착 지지되는 상태로 적층되기 때문에 상기 통 본체(2)의 상단부(3)가 하단부(4)에 의해 완전히 덮여질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페일 캔(1)의 야적(野積)시 습기가 상기 상단부(3)를 덮기 위하여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덮개 판(5)의 상면에 자연적으로 고일 수밖에 없고, 이렇게 상단부(3)의 덮개 판(5)으로 고여진 습기(물)는 출입구 마개(7)를 통해 통 본체(2)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고, 또 통 본체(2)의 내부로 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변질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페일 캔(1)의 운반 취급시 사용하게 되는 운반용 손잡이(9)가 통 본체 (2)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운반용 손잡이(9)의 양 단부가 재침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지는 걸이부(8) 역시 통 본체(2)의 외주면 보다 외 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통 본체(2)에 대한 걸이부(8) 및 운반용 손잡이(9)의 돌출 폭 만큼 페일 캔(1)의 전체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고, 또, 이러한 페일 캔(1)의 전체 부피 증가는 결국 이송 적재나 포장, 야적에 따른 면적의 확대가 불가피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 본체(2)의 측면 외주면으로 돌출 형성된 걸이부(8) 및 손잡이(9)가 적재 이송시나 포장, 또는 야적시 상호 마찰 접촉되어 지는 경우 상기 마찰 부위가 심하게 손상되어 녹이 슬거나, 또는 찌그러지고 휘어지게 되는 등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어 외관상 미관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제품의 신뢰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운반용 손잡이(9)가 통 본체(2)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 취급시 통 본체(2)가 원통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페일 캔(1)의 상 하차시 굴려서 이동시키는 것이 전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1)은 통 본체(2)가 상 광하협(上廣下狹)으로 형성되고, 또 걸이부(8) 및 운반용 손잡이(9)가 통 본체(2)의 외주면 보다 외 측으로 돌출 및 노출된 구조에 의해 페일 캔(1)의 적층에 따른 습기 유입 문제와 더불어 전체 부피 증가로 인한 이송 적재, 포장 및 야적에 따른 불필요한 면적의 확대는 물론 돌출 및 노출 부위의 마찰 손상으로 인한 제품의 질 저하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초래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통 본체를 출입구 마개가 구비되는 상단부를 기준으로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로 제작하고, 운반용 손잡이 등이 통 본체의 외부로 전혀 돌출 또는 노출되지 않게 그 구조를 현저하게 개선함으로써 안정된 적층이 가능하면서도 야적시 습기 유입으로 인한 내용물의 변질이나 오염 우려를 막고, 또 페일 캔 전체 부피의 감소로 인한 적재 및 야적 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상 하차시 굴리는 것이 가능하여 운반취급 매우 용이하게 되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각종 내용물이 담겨지는 통 본체의 상 하단부로 덮개 판이 각각 일체로 시밍 결합되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통 본체는 내용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형성되는 상협 구조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하광 구조의 하단부를 향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상협 구조의 상단부에 밀봉 결합되는 덮개 판으로는 상기 출입구를 막기 위한 출입구 마개 및 운반용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일체로 장착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페일 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페일 캔의 개략 측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페일 캔(10)은, 내용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2)가 형성된 상협 구조의 상단부(22)를 기준으로 하광 구조의 하단부(24)가 넓어지도록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로 형성된 통 본체(20)를 포함한다. 통 본체(20)는 그 내부에 유동성 물질인 각종 내용물의 안정된 보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 하단부(22)(24)가 별도의 덮개 판(26)(28)에 의해 일체로 밀봉 결합 된다.
여기서, 통 본체(20)의 하단부(24)의 직경(L1)은, 본 고안의 목적상 상단부(22)의 직경(L2)보다 크게 형성되어져 적층시 상기 상단부(22)가 하단부(24)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어 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덮개 판(26)(28)의 밀봉 결합은, 통 본체(20)의 각 상 하단부(22)(24)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상호 일체로 분리되지 않도록 시밍(seaming) 결합되어 진다. 이러한 시밍 결합 방법은 해당 제관 업계에서 공지된 결합방법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그 결합 구성 역시 도면상에도 개략적으로만 도시 설명한다.
그리고, 상 하단부(22)(24)에 일체로 시밍 결합되는 각 덮개 판(26)(28)은, 일정한 공간(26a)(28a)이 마련되도록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형태로 결합 된다.
상기 상단부(22)로 결합되는 덮개 판(26)으로는 내용물의 입출을 위한 출입구(12)가 일 측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출입구(12)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 조립되는 출입구 마개(30)가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장착되는 것에 의해 밀폐되어 진다. 출입구 마개(30)는 특정의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아 개락적으로 도시한 것이나, 내부 및 외부마개로 구성되어 지고 또 상기 내부마개로는 신장부가 구비되어 있어 내용물을 따라 사용하는 경우 외 측으로 길게 신장되어 내용물을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출입구 마개(30)는, 예를 들어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365726호에 개재된 위조방지용 캔 마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22)의 덮개 판(26)으로는 그 중앙 상면에 운반을 위한 운반용 손잡이(4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본체(20)가 출입구(12)가 형성된 상단부(22)를 기준으로 상협하광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또 상기 상단부(22)로 구비된 덮개 판(26)의 상면 공간(26a) 내부에 위치되도록 출입구 마개(30) 및 운반용 손잡이(4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도 5a와 같이 페일 캔(10)을 상하로 쌓아 보관하는 경우 하측으로 위치되는 상협 구조의 페일 캔(10) 상단부(22)가 그 상측으로 위치되는 하광 구조의 다른 페일 캔 하단부(24)에 의해 전체적으로 덮여지는 상태로 적층되기 때문에, 야적이나 적층시 상협 구조의 상단부(22)의 공간(26a)으로는 습기 등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배제되는 것이어서 페일 캔(10)의 보관시 습기 유입에 따른 내용물의 변질이나 오염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반용 손잡이(40) 역시 상단부(22)의 덮개 판(26)으로 형성된 공간(26a)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통 본체(20)의 외주면으 로는 불필요한 돌출 부분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도 5b와 같이 페일 캔(10)을 좌우로 쌓아 보관하더라도 운반용 손잡이(40)에 의한 통 본체(20)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증대되지 않게 되어 운반 또는 야적에 따른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종래와 같이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한 야적이나 운반에 따른 부피 증대는 물론 각 구성부재 간의 마찰 등에 의해 녹이 발생되거나 해당 접촉 부분이 훼손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전혀 발생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 본체(20)의 측면 외주면, 예컨대 덮개 판(26)(28)이 구비되지 않은 측면으로는 손잡이 구성을 위한 구성 부재의 돌출이나 노출이 전혀 없기 때문에 페일 캔(10)의 운반시 굴리면서 이동시키는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페일 캔 구조에 따르면, 페일 캔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출입구를 기준으로 통 본체의 상 하단부가 종래와는 달리 상협하광 형태로 제작하기 때문에 야적이나 운반 적층시 출입구를 통한 습기의 유입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통 본체의 측면 외주면으로 운반을 위한 손잡이 등의 노출이나 돌출이 전혀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통 본체의 부피 증대나 구성 부재의 훼손 등의 제반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고, 통 본체를 굴리면서 운반할 수 있게 되는 등의 구조상 여러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통 본체(10)의 외주면으로는 강도 보강을 위한 원형 돌출테 등의 다양한 형태의 강도 보강부가 얼마든지 형성될 수 있다.

Claims (2)

  1. 각종 내용물이 담겨지는 통 본체(20)의 상 하단부(22)(24)로 덮개 판(26)(28)이 각각 일체로 시밍 결합되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통 본체(20)는 내용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2)가 형성되는 상단부(22)를 기준으로 하단부(24)를 향해 넓어지도록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상단부(22)에 밀봉 결합되는 덮개 판(26)으로는 상기 출입구(12)를 막기 위한 출입구 마개(30) 및 운반용 손잡이(4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일체로 장착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 본체(10)의 상단부(22)의 직경(L1)은 하단부(24)의 직경(L2) 보다 적게 형성되어 상기 통본체(10)의 상호 적층시 완전히 커버되게 덮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
KR2020060000875U 2006-01-11 2006-01-11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 KR200413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875U KR200413980Y1 (ko) 2006-01-11 2006-01-11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875U KR200413980Y1 (ko) 2006-01-11 2006-01-11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980Y1 true KR200413980Y1 (ko) 2006-04-14

Family

ID=4929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875U KR200413980Y1 (ko) 2006-01-11 2006-01-11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9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60B1 (ko) * 2006-10-18 2014-10-27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액체 약품의 분배 장치 및 분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60B1 (ko) * 2006-10-18 2014-10-27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액체 약품의 분배 장치 및 분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0604A (en) Disassembleable, reusable container
EP0585290B1 (de) Grossvolumiges deckelfass
JP3578763B2 (ja) パレットコンテナ
NZ242658A (en) Bulk transport container with cylindrical inner container, and outer container of regular stackable shape
US20040104230A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goods
US11352169B2 (en) Pallet assembly
RU2760720C2 (ru) Контейнер с поддоном
DE10259126B4 (de) Kunststofftonne
US20170355485A1 (en) Transportation container
US11370606B2 (en) Hopper-in-frame for transporting proppant material
EP0303264B1 (en) Safety pallett-drum assembly system for transport of dangerous materials
DE202009010748U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 und/oder zur Lagerung von Gefahrgütern/Gefahrstoffen
KR200413980Y1 (ko) 원통형 타입의 페일 캔 구조
US6705484B2 (en) Plastic transport container with reinforced floor
AU2004242750B2 (en) Freight container
DE202009010684U1 (de) Deckelbehälter
DE4308861C2 (de) Stapelbarer Behälter mit Deckel
KR101810977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US3428204A (en) Receptacle
CA1333055C (en) Knock-down bulk storage container
DE4327442A1 (de) Faß, das besonders zum Versenden von Chemikalien oder Abfällen geeignet ist
KR20020010133A (ko) 합성물질 컨테이너
US5836472A (en) All poly container with separable tank and pallet members
RU216736U1 (ru) Бидон
RU217621U1 (ru) Бидо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