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834Y1 - 날 높이 조절 바리깡 - Google Patents

날 높이 조절 바리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834Y1
KR200413834Y1 KR2020060002055U KR20060002055U KR200413834Y1 KR 200413834 Y1 KR200413834 Y1 KR 200413834Y1 KR 2020060002055 U KR2020060002055 U KR 2020060002055U KR 20060002055 U KR20060002055 U KR 20060002055U KR 200413834 Y1 KR200413834 Y1 KR 200413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ixed
lever
mov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준
Original Assignee
오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준 filed Critical 오태준
Priority to KR2020060002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8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6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co-operating cutting elements both of which have shearing teeth
    • B26B19/063Movable or adjustable cutting h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작동 레버의 작동만으로 이동날을 전후 이동시켜 머리카락의 커팅(cutting) 길이를 조절하며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이 간편한 날 높이 조절 바리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지지 브라켓은 회동홈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판이 좌우 끝단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판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개방된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가이드 판의 후방 끝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후면 끝단에 형성된 고정단으로 형성되며,
"┛" 형상이며 전면 저부에 회동을 위한 회동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 돌기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안착홈이 상단 좌우에 형성된 전면단이 형성되어 상측이 개방되고, 상기 전면단과 이격되며 후방 좌우측에 상단으로부터 수직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하부 끝단에 고정을 위한 걸림턱이 내측에 형성된 좌우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상단 외측으로 지지를 위한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 레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바리깡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작동레바의 움직임으로 머리카락을 정교하게 길이를 조절하며 커팅이 가능하며, 이동레바의 일체로 된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이 간단하며, 합성수지 재지로 형성하여 제작 단가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전기 이발기, 전기 바리깡, 고정날, 이동날, 이동레바

Description

날 높이 조절 바리깡{Electric cutter can regulate blade height}
도 1은 종래의 절삭날 어셈블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가 적용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가 적용된 결합사시도,
도 6a은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를 적용한 작동전 상태의 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를 적용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충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절삭날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레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날 2 : 지지 브라켓
3 : 이동날 4 :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5 : 코일 스프링 6 : 절삭날 어셈블리
7 : 가동 레버 8 : 지지대
9 : 밀대 10 : 몸체
11 : 이동 레바 21 : 가이드 판
21a : 회동홈 22 : 격벽
22a : 삽입부 22b : 걸림턱
23 : 안착부 24 : 고정단
33 : 고정홀 41 : 삽통홀
42 : 고정 돌기 51 : 체결대
52 : 지지대 111 : 회동돌기
112 : 측벽 112a : 삽입홈
112b : 걸림턱 113 : 전면단
113a : 안착홈 114 : 지지돌기
본 고안은 날 높이 조절 바리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 레버의 작동만으로 이동날을 전후 이동시켜 머리카락의 커팅(cutting) 길이를 조절하며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간편한 날 높이 조절 바리깡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의 이발은 일반적으로 가위에 의해 행하여져 왔다. 가위에 의해서는 한손으로 가위를 조작하고 이와 동시에 다른 손의 손가락 사이에 모발을 붙잡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미숙련자가 이발을 수행하는 것이 다소 어렵다.
특히, 가위를 조작할때, 가위의 날끝이 모발을 경사각도에서 맞물리게 하며 날이 닫혀짐에 따라 모발을 날끝을 따라서 부적당한 위치로 밀어 내려고 할 것이므로 직선커트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가위를 사용하는 직선커트는 상당히 수련을 요구하며 가정에서는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았다. 반면에, 동력식 이발기가 수년동안 가정에서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조작하기가 용이하고 직선커트를 달성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825,546호에 예시된 바와 같은 종래 이발기는 톱니형상 고정날과 톱니형상 가동날을 가진 절단헤드로 구비되어 있다. 가동날은 고정 및 가동날의 톱니형상 날끝 사이에서 모발전단 맞물림하여 왕복운동하도록 구동된다. 종래의 이발기가 커터헤드의 절단날끝을 지나 동출하는 빗을 갖지만, 피부접촉 또는 근접관계로 유지되는 절단날끝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이발기는 절단날끝에 의해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조작되는 것이 여전히 요구된다. 이는 어린이의 모발을 전단시킬때에 특히 중요하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발기는 용이하고 안전한 모발절단을 행하기에는 아직도 불만족스러움을 알 수 있다. 상기 문제는, 미숙련자에게 의해 안전하고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으며 특히 가정용으로 적합한 독특한 이발기를 제공하는 본 고안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 한 것으로 코일 스프링을 삽입 고정된 이동레바가 지지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어 날을 높이 조절 바리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날은 지지브라켓에 고정되고, 이동날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전방에 장착고정되어 상기 고정날위에 위치되어,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이동날이 고정날에 밀착되어 형성된 절삭날 어셈블리와,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를 구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구동모터부가 내설되고 상부로 작동레바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지지대와 밀대가 형성된 몸체가 구성된 전기 바리깡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회동홈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판이 좌우 끝단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판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개방된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가이드 판의 후방 끝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후면 끝단에 형성된 고정단으로 형성되며,
"┛" 형상이며 전면 저부에 회동을 위한 회동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 돌기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안착홈이 상단 좌우에 형성된 전면단이 형성되어 상측이 개방되고, 상기 전면단과 이격되며 후방 좌우측에 상단으로부터 수직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하부 끝단에 고정을 위한 걸림턱이 내측에 형성된 좌우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상단 외측으로 지지를 위한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 레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바리깡를 제공한다.
따라서 간단히 작동레바의 작동만으로 이동날을 전후진 시켜 머리카락의 커팅 길이를 조절 가능하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가 적용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가 적용된 결합사시도이고, 도 6a은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를 적용한 작동전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절삭날 어셈블리를 적용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날 높이 조절 바리깡의 충전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절삭날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레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날 높이 조절 바리깡는 일반적으로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날(1)은 지지브라켓(2)에 고정된다. 즉, 도면상의 지지 브라켓(2)의 전면으로 억지끼움으로 내입시켜 고정된다.
그리고 이동날(3)의 다수 형성된 고정홀(33)에 엔지니어링플라스틱(4)의 저부에 형성된 고정돌기(42)가 끼워져 전방에 장착고정되어 상기 고정날(1)위에 위치된다.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4)의 전면에 형성된 삽통홀(41)에 끼워지도록 끝단이 수직으로 꺽여 형성된 체결대(51)가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 지지대(52)가 형성된 코일스프링(5)에 의하여 상기 이동날(3)이 고정날(1)에 밀착되며, 지지 브라켓(2)에 고정되며 절삭날 어셈블리(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6)를 구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구동모터부(M)가 내설되고 상부로 작동레바(7)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지지대(8)와 밀대(9)가 형성된 몸체(10)가 구성된 전기 바리깡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6)을 형성하는 이동날(3)의 날 높이 조절을 위해 본 고안의 지지 브라켓(2)은 종래의 고정날(1)을 같은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전면이 고정을 위해 전면이 개방되고 회동홈(21a)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판(21)이 좌우 끝단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판(21)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개방된 삽입부(22a)가 형성되며, 상측에 걸림턱(22b)이 형성된 격벽(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판(21)의 후방 끝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후면 끝단에 형성된 고정단(26)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5)이 끼워게 "┛" 형상이며 전면 저부에 회동을 위한 좌우 양측에 회동 돌기(111)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 돌기(111)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안착홈(113a)이 상단 좌우에 형성된 전면단(113)이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부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전면단(113)과 이격되며 후방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단으로부터 내측에 수직 형성된 삽입홈(112a)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112a)의 하부 끝단에 고정을 위한 걸림턱(112b)이 형성된 좌우 측벽(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측벽(112)의 상단 외측으로 지지를 위한 지지돌기(114)가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 레바(11)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고정날(1)을 지지브라켓(2)의 전면으로부터 억지끼움으로 내입시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날(3)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4) 및 코일 스프링(5)는 전술한 종래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이후 코일 스프링(5)의 코일 형태로 감겨진 부분을 측벽(112)에 형성된 삽입홈(112a)에 끼워 하부까지 밀어 넣어 체결대(51)의 후방을 걸림턱(112b)에 걸리도록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체결대(51)가 전면단(113)에 형성된 안착홈(113a)에 안착고정 되게 결합고정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5)의 지지대(52)는 삽입부(22a)에 끼움 고정되어 걸림턱(112b)에 지지하며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 된 이동레바(11)의 회동 돌기(111)를 지지 브라켓(2)에 형 성된 회동홈(21a)에 따라 끼워 저면까지 밀어 고정시키며, 안착부(23)에 안착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고안의 절삭날 어셈블리(6)는 일반적인 구성요소로써 결합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된 완성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바(7)을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지지하며 밀게 되면 지지대(8)에 고정된 밀대(9)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밀대(9)의 전면이 이동 레바(11)의 지지 돌기(115)에 닿아 밀게 되면, 지지 브라켓(2)의 회동홈(21a) 내에서 회동 돌기(111)가 제자리에서 회동되며 상부는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이후 코일 스프링(5)이 전면으로 밀리게 되어 엔지니어링 프라스틱(4)와 이동날(3)이 동시에 고정날(1)의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날(1)의 사이로 내입되는 머리카락이 전면에서 커팅되어 전진된 이동날(3)에 의해 짧게 커팅이 되는 것이며, 반대로 작동레바(7)를 지지하는 엄지 손가락을 떼게 되면 코일 스프링(5)의 지지대(52)가 걸림턱(22b)을 미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밀게 되어 전술한 방식의 반대 방식으로 이동날(3)이 후방으로 후퇴되어 고정날(1)을 통해 내입되는 거리가 늘어난 머리카락이 길게 커팅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날(3)의 이동 거리는 전후 2~3mm 사이로 이동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작동레바의 움직임으로 머리카락을 정교하게 길이를 조절하며 커팅이 가능하며, 이동레바의 일체로 된 간단한 구조를 채택 하여 제작이 간단하며, 합성수지 재지로 형성하여 제작 단가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고정날(1)은 지지브라켓(2)에 고정되고, 이동날(3)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4)의 전방에 장착고정되어 상기 고정날(1)위에 위치되어, 코일스프링(5)에 의하여 이동날(3)이 고정날(1)에 밀착되어 형성된 절삭날 어셈블리(6)와, 상기 절삭날 어셈블리(6)를 구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구동모터부(M)가 내설되고 상부로 작동레바(7)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지지대(8)와 밀대(9)가 형성된 몸체(10)가 구성된 전기 바리깡에 있어서,
    회동홈(21a)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판(21)이 좌우 끝단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판(21)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개방된 삽입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2a)의 상측에 걸림턱(22b)이 형성된 격벽(22)과, 상기 가이드 판(21)의 후방 끝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안착부(23)를 형성하며 후면 끝단에 형성된 고정단(24)으로 이루어진 지지브라켓(2)이 형성되며,
    "┛" 형상이며 전면 하부에 양측으로 회동축(112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안착홈(112a)이 양측에 형성된 지지단(112)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단(112)과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부에 회동돌기(111a)가 형성된 측벽(111)이 좌,우에 형성되어 되, 상기 측벽(111)의 사이는 개방되고 내측에는 삽입홈(111b)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5)이 끼워지는 이동레바(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 높이 조절 바리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바(11)는 좌,우측벽 저부에 체결홀(111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111a)에 체결되게 양측 후방에 체결돌기(501)가 형성되어 'ㄷ'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양 끝단은 '「 ' 절곡되어 엔지니어링플라스틱(4)에 결합되는 지지바(501)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502)에 끼워지게 코일을 이루며 일단은 지지바(501)의 전면 내측에 지지되게 절곡되어지고 타단은 코일에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고정스프링(5')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 높이 조절 바리깡.
KR2020060002055U 2006-01-23 2006-01-23 날 높이 조절 바리깡 KR200413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55U KR200413834Y1 (ko) 2006-01-23 2006-01-23 날 높이 조절 바리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55U KR200413834Y1 (ko) 2006-01-23 2006-01-23 날 높이 조절 바리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834Y1 true KR200413834Y1 (ko) 2006-04-11

Family

ID=4176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055U KR200413834Y1 (ko) 2006-01-23 2006-01-23 날 높이 조절 바리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8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2999B2 (en) Comb arrangement, cutting head, and hair cutting appliance
RU2737101C2 (ru) Механизм регулировки длины для машинки для стрижки волос
US5054199A (en) Hair cutter
JPH04220283A (ja) 電気バリカン及びその組刃
JPS601029B2 (ja) 刃集合体
JP5109158B2 (ja) カッターナイフ
KR200413834Y1 (ko) 날 높이 조절 바리깡
EP2158066B1 (en) An electric apparatus and a shaving apparatus
JP3130866U (ja) 理美容鋏
US6243955B1 (en) Hair clipper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CN207736325U (zh) 一种修剪器的刀头结构
JP7479524B2 (ja) 毛用櫛のためのスペーシングアセンブリ
CN205497545U (zh) 可调节理发长度的理发剪
KR20100020221A (ko) 연필깎이
KR200382077Y1 (ko) 삽출식 비산방지판이 구비된 전기 바리깡
JP2905047B2 (ja) 切断具
JPS607649Y2 (ja) 電気かみそり
KR200382080Y1 (ko) 전기 바리깡
JPS605883Y2 (ja) 電気かみそり
JPH0314131Y2 (ko)
CN210233114U (zh) 一种可调式毛发修剪器刀头及毛发修剪器
JPH0427509Y2 (ko)
JPS5924305Y2 (ja) トリマ機構付電気カミソリ
KR200382078Y1 (ko) 양날식 전기바리깡
JPS5845666Y2 (ja) 電気バリカ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