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363Y1 -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363Y1
KR200413363Y1 KR2020060000176U KR20060000176U KR200413363Y1 KR 200413363 Y1 KR200413363 Y1 KR 200413363Y1 KR 2020060000176 U KR2020060000176 U KR 2020060000176U KR 20060000176 U KR20060000176 U KR 20060000176U KR 200413363 Y1 KR200413363 Y1 KR 200413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idet
drive gear
backward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문수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0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3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0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friction clutch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본 고안은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노즐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들의 사이에 상기 랙기어들에 치합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의 후측으로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 각각과 양단이 접촉가능하게 회동축을 중심으로 지지되며, 일측 노즐의 후진이동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타측 노즐을 밀어 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스텝핑 모터에 연결된 하나의 구동기어를 이동하여 세정노즐 및 비데 노즐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비데, 스텝핑 모터

Description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NOZZLE DRIVING APPARATUS OF A BIDE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노즐 구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 는 본 고안이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의 노즐 고정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노즐 20: 제2노즐
12,22: 랙기어 14,24: 고정홈
30: 스텝핑 모터 35: 구동기어
40: 레버 41,42: 레버단부
45: 회동축 46; 홀더
본 고안은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 노 즐과 비데 노즐을 하나의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진 구동할 수 있는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고, 비데 본체의 일측에 위치된 조작부의 조작으로 세정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항문 세정 및 비데 세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이를 위해 비데는 항문 세정 및 비데 세정을 목적으로 하는 세정 노즐 및 비데 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세정 노즐 및 비데 노즐이 선택적으로 전진 인출되어 소정의 가열된 세정수를 사용자의 세정부위에 분사한다.
이와 같이 세정 노즐과 비데 노즐이 선택적으로 전진 인출되어 세정수를 분사한 후 후진 복귀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종래에는 두개의 스텝핑 모터를 이용한 비데 노즐 구동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즉, 세정 노즐 및 비데 노즐 각각을 제어하기 위해 2개의 스텝핑 모터를 구비하고, 구동회로를 통해 스텝핑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세정 노즐 또는 비데 노즐이 선택적으로 전진 및 후진 구동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2개의 스텝핑 모터를 이용하여 세정 노즐과 비데 노즐을 독립적으로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종래의 방식은 장치의 복잡화 및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며 구동회로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정 노즐과 비데 노즐을 하나의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전, 후진 구 동할 수 있는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는 제 1 및 제 2 노즐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들의 사이에 상기 랙기어들에 치합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의 후측으로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 각각과 양단이 접촉가능하게 회동축을 중심으로 지지되며, 일측 노즐의 후진이동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타측 노즐을 밀어 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랙기어의 전측부와 치합되게 위치하여, 일측 방향 회전시 전진 이동하는 노즐은 지속으로 전진 이동되지만 후진 이동하는 노즐은 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의 치합이 해제되면서 곧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일측 노즐이 후진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기어와 후진 이동하는 노즐의 랙기어의 치합이 해제되는 지점에서 상기 후진된 노즐을 홀딩하는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 각각의 외주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노즐의 후진 이동시 상기 고정홈에 끝단이 삽입되는, 끝단이 돌출된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을 지지하는 베이스에는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 의 고정홈에 대응하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양단이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의 후진 이동시 상기 고 정홈에 삽입되어 노즐을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이하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를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세정 노즐 및 비데 노즐로 지칭되는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을 구비하고, 상기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랙기어(12,22)와, 상기 랙기어(12,22)에 치합하며 스테핑 모터(30)에 연결된 구동기어(35) 및 지렛대 기능을 하는 레버(40)를 포함한다.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의 외주면 각각에는 랙기어(12,22)가 형성된다. 이들 랙기어(12,22)의 전단에는 상기 랙기어(12,22) 사이에 위치하여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의 랙기어(12,22)에 치합하는 구동기어(35)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35)는 스텝핑 모터(30)에 연결되어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에는 두 노즐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5)에 지지되는 회동축(45)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단부(41,42)가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과 접촉하여 회전에 의해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을 선택적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는 레버(40)가 설치된다. 레버(40)의 양 단부(41,42) 각각은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이 후면에 위치하며, 레버(40)가 지렛대 기능을 하여, 회동 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제1노즐(10) 또는 제2노즐(20)이 선택적으로 밀려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2a 내지 도 2e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의 구동기어의 회전에 따른 제1 및 제2노즐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동작 초기상태에서 제1노즐(10)과 제2노즐(20)의 랙기어(12,22) 전단으로 구동기어(35)가 치합되어 있고, 회동축(45)에 의해 지지되는 레버(40)가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의 후면에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 초기 상태에서 세정을 목적으로 제1노즐(10)의 전진 이동이 필요한 경우 구동기어(3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2b는 이와 같이 구동기어(3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구동기어(3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노즐(10)은 랙기어(12)의 이동에 따라 전진 이동하고, 제2노즐(20)은 랙기어(22)의 이동에 따라 후진 이동한다. 제2노즐(20)은 후진 이동을 시작한 후 곧이어 랙기어(22)가 구동기어(35)와의 치합가능영역을 벗어나게 되므로 치합이 해제되어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레버(40)는 제2노즐(20)이 후진 이동하면서 미는 힘에 의해 회동축(4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노즐(20)의 후진 이동이 정지될 때 미는 힘이 없어지므로 회동이 일어난 상태로 정지된다.
한편,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노즐(20)의 랙기어(22)와 구동기어(35)는 치합 해제되지만, 제1노즐(10)의 랙기어(12)와 구동기어(35)는 계속 치합상태에 있으므로 구동기어(35)의 회전에 따라 제1노즐(10)은 독립적으로 계속하여 전 진 이동하고, 구동기어(35)를 회전시키는 스텝핑 모터(3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위치로 전진한 후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작용이 이루어진다.
세정 작용 완료 후, 구동기어(35)는 스텝핑 모터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데, 제2노즐(20)은 구동기어(35)와 연동관계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제1노즐(10)은 독립적으로 후진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노즐(10)의 후진 동작이 지속되면 제1노즐(10)은 도 2b 에 도시된 제1노즐(10)과 제2노즐(20)의 연동이 해제된 지점 즉, 제2노즐(20)의 랙기어(22)와 구동기어(35)가 치합해제되어 제2노즐(20)이 정지된 지점까지 후진 이동한다. 도 2d 는 제1노즐(10)이 후진 이동하여 제1노즐(10)과 제2노즐(20)의 연동이 해제된 지점까지 후진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1노즐(10)이 구동기어(35)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면 제1노즐(10)이 후진하면서 제1노즐(10)의 후측으로 접촉하고 있던 레버(40)의 일측 단부(41)를 밀게 된다. 따라서 레버(40)는 회동축(4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되고, 이 회동력에 의해 레버(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버(40)의 타측 단부(42)가 제2노즐(20)의 후측을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40)가 미는 힘에 의해 제2노즐(20)이 전방 이동하면서 제2노즐(20)의 랙기어(12,22)와 구동기어(35)는 다시 치합되고,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은 구동기어(35)의 회전에 의해 도 2a 와 같은 초기 상태 즉, 도 2e 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스텝핑 모터 및 이에 연결된 구동기어(35)에 의해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을 선택적으로 전진 이동시키고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는 후진 이동된 노즐을 구속시키는 홀더(46)를 포함한다. 이 홀더는 전측으로 돌출된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베이스(5)에는 각 노즐(10,20)에 대응하여 양단이 고정부(47)에 의해 고정되며 베이스(5)에 형성된 개구(6)를 통해 끝단이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홀더(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노즐(10) 및 제2노즐(20)의 외주면에는 제1노즐(10) 또는 제2노즐(20)이 구동기어(35)의 정, 역회전에 의해 동작이 시작되면서 후진 이동될 때 구동기어(35)와의 치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홀더(46)의 끝단이 삽입가능한 고정홈(14,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노즐(20)이 구동기어(35)에 의해 후진 이동한 후 치합이 해제되는 지점에서, 도 3a와 같이 홀더(46)의 끝단이 제2노즐(20)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24)에 삽입되어 제2노즐(20)을 고정하게 되므로 제1노즐(10)의 전진 이동이 일어나는 중에 제2노즐(20)을 안정적으로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노즐(10)이 후진 이동할 때 즉, 도 2d 의 상태에서 구동기어(35)에 의해 후진 이동이 일어나면, 레버(40)가 제1노즐(10)이 미는 힘에 의해 회동축(4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동력에 의해 레버(40)가 제2노즐(20)을 전방으로 밀게된다. 이 때에는 도 3b 와 같이, 레버(40)의 미는 힘에 의해 홀더(46)의 끝단이 고정홈(2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노즐(20)은 전진이동하고 구동기어(35)와 치합되면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의 설명은 제1노즐(10)이 전진이동할때 제2노즐(20)이 구속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노즐(20)이 전진 이동할 때에도 동일한 동작이 일어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선택적으로 전진 이동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1및 제2노즐(10,20)이 하나의 스텝핑 모터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전진 이동하지 않는 노즐은 후진이동하여 홀더에 의해 운동이 구속됨으로 여타의 경우에도 전진 이동하는 노즐의 운동을 방해하거나 두 노즐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특정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들은 전술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함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스텝핑 모터에 연결된 하나의 구동기어를 이동하여 세정노즐 및 비데 노즐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노즐 구동부의 구성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으며, 일측 노즐의 이동이 타측 노즐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즐의 이동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노즐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제 1 및 제 2 노즐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들의 사이에 상기 랙기어들에 치합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의 후측으로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 각각과 양단이 접촉가능하게 회동축을 중심으로 지지되며, 일측 노즐의 후진이동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타측 노즐을 밀어 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랙기어의 전측부와 치합되게 위치하여, 일측 방향 회전시 전진 이동하는 노즐은 지속으로 전진 이동되지만 후진 이동하는 노즐은 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의 치합이 해제되면서 곧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일측 노즐이 후진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기어와 후진 이동하는 노즐의 랙기어의 치합이 해제되는 지점에서 상기 후진된 노즐을 홀딩하는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 각각의 외주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노즐의 후진 이동시 상기 고정홈에 끝단이 삽입되는, 끝단이 돌출된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을 지지하는 베이스에는 상기 제1노즐 및 제2노즐 의 고정홈에 대응하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양단이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의 후진 이동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노즐을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KR2020060000176U 2006-01-03 2006-01-03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KR200413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176U KR200413363Y1 (ko) 2006-01-03 2006-01-03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176U KR200413363Y1 (ko) 2006-01-03 2006-01-03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363Y1 true KR200413363Y1 (ko) 2006-04-06

Family

ID=4176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176U KR200413363Y1 (ko) 2006-01-03 2006-01-03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3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56B1 (ko) 2006-06-19 2007-10-01 동양매직 주식회사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KR101372326B1 (ko) * 2008-01-22 2014-03-13 코웨이 주식회사 좌변기용 변좌
KR20170135125A (ko) * 2016-05-30 2017-12-08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56B1 (ko) 2006-06-19 2007-10-01 동양매직 주식회사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KR101372326B1 (ko) * 2008-01-22 2014-03-13 코웨이 주식회사 좌변기용 변좌
KR20170135125A (ko) * 2016-05-30 2017-12-08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장치
KR102547677B1 (ko) 2016-05-30 2023-06-26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2755B2 (ja) 製氷機用氷取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981633A (zh) 交通工具变速范围转换装置
KR200413363Y1 (ko)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JP3742840B2 (ja) 洗浄水供給装置
JP2013143822A (ja) モータ制御装置
KR100984781B1 (ko) 전동식 클립 자동 사출기
JP2007247281A (ja) 温水洗浄装置
JP2010057622A (ja) パチンコ機
KR101836394B1 (ko) 회전노즐의 구동제어방법
KR100762656B1 (ko)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KR100890424B1 (ko) 위생세정기의 노즐 구동장치
KR101016839B1 (ko) 회전 분사식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KR20050072171A (ko)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KR100607581B1 (ko) 비데의 노즐위치 제어방법
KR970003700Y1 (ko) 카세트 테이프 인출장치
CN101319515B (zh) 座便器喷管装置
JP5768445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050093020A (ko)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JP4057405B2 (ja) 洗浄バルブ駆動ユニット
JP2008198264A (ja) スロットローディング方式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緊急イジェクト装置
KR20050097079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200230982Y1 (ko) 디스크플레이어의매뉴얼이젝트장치
EP0499568A1 (en) Step-by-step timer switch activation system for program control devices
KR200177953Y1 (ko) 자동세차기의 수직브러시 구동장치
JP2022065448A (ja) ワイパ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ワイパーシステム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