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633Y1 -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633Y1
KR200412633Y1 KR2020060000996U KR20060000996U KR200412633Y1 KR 200412633 Y1 KR200412633 Y1 KR 200412633Y1 KR 2020060000996 U KR2020060000996 U KR 2020060000996U KR 20060000996 U KR20060000996 U KR 20060000996U KR 200412633 Y1 KR200412633 Y1 KR 200412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onveyor belt
rotating shaft
rotated
stirr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환
김반진
정종수
서남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to KR2020060000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6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도나 산업배수처리 등에서 발생된 슬러지에 고화제를 혼합하는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 및 고화제가 투입되는 호퍼가 구비된 원료투입부와, 상기 원료투입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벨트로 구비되는 슬러지 이송부와, 상기 슬러지 이송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교반날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되고 상기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교반날로 인해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슬러지와 고화제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교반날이 슬러지와 고화제를 혼합시킬 수가 있다.
슬러지, 고화제, 혼합기

Description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Apparatus For Mixing Sludge}
도 1은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도 1에 도시된 A-A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교반날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구비되는 교반날의 평면 배치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처리장치 110 : 원료 투입부
111,112 : 호퍼 120 : 슬러지 이송부
121 : 컨베이어 벨트 122a,122b : 지지부재
130,130a(제1회전축),130b(제2회전축),130c(제3회전축),130d(제4회전축),
130e,130f : 회전축 131 : 회전력 전달부재
132a,132b : 벨트 풀리 133 : 벨트
133a,133b : 체인
134a,134b,134c,134d : 종동 스프로킷
135a,135b,135c,135d,135e : 보조 스프로킷
136a,136b : 구동 스프로킷 140 : 교반날
141 : 연결부재 142 : 혼합부재
143 : 요홈부 S1 : 슬러지
S2 : 고화제 M1,M2 : 모터
본 고안은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도나 산업배수처리 등에서 발생되는 슬러지(sludge)에 고화제를 첨가시킴으로써, 각종 유해한 물질을 무해화하여 산업자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중 음식물 쓰레기, 인분뇨, 축분뇨, 농수산 폐기물, 도축 폐기물, 산업폐기물 등의 유기질 폐기물은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처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각종 폐기물 중에는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폐기물들을 매립한 후 침출수, 지하오염, 다이옥신 등의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인분뇨, 가축의 분뇨, 가축 및 어패류의 유기질 폐기물을 비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유기질 비료로서 유용한 활용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과하고, 그 시행 및 활용도가 충분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야외퇴적이나 야외투기도 되고 있어 악취나 하천의 부영양화 등의 환경악화를 진행시키는 문제점도 발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유기질 비료로서 사용할 때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염분으로 인해서 토양과 식물의 생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하수도나 산업배수처리 등에서 발생된 산업폐기물을 각종 산업자재로 재활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슬러지 형태의 산업폐기물에 고화제를 첨가시켜 중금속 및 각종 유해한 물질을 무해화 시키거나 용출이 어려운 형태로 변화시키는 공정을 거친다. 이후 슬러지를 압출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냉각을 통해 슬러지를 고형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고형물을 각종 산업현장에서 사용함으로써, 지하수나 토양 등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생활 폐기물을 매립하거나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슬러지의 고형화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장치 내에 고화제를 투입시키는 정도에 불과하여 슬러지에 내포된 각종 중금속 및 유해물질을 완전하게 고형화시키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불완전한 상태의 슬러지를 매립하거나 재활용함으로써,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러지와 고형제의 혼합을 신속하고 원할하게 하여 고화시간 단축 및 슬러지에 내포된 유해물질의 고형화를 완전한 상태로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는, 슬러지 및 고화제가 투입되는 호퍼가 구비된 원료투입부; 상기 원료투입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벨트로 구비되는 슬러지 이송부; 상기 슬러지 이송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교반날;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되고, 상기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교반날로 인해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부재;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교반날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다수개로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러지 및 고화제가 투입되는 호퍼가 구비된 원료투입부; 상기 원료투입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벨트로 구비되는 슬러지 이송부; 상기 슬러지 이송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교반날;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되고, 상기 회전축들이 각각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교반날로 인해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 한 쌍의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체인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들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종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들 중 제1회전축과 제3회전축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들 중 제2회전축과 제4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3회전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상기 회전축의 중심부에서 외주면의 방사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된 위치로 구비된다.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한 쌍, 또는 다수개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 및 상 기 연결부재들의 끝단에 구비되는 주걱형상의 혼합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는 벨트 풀리로 구비되고, 상기 벨트 풀리에 연결되는 벨트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상기 회전축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100)는, 원료투입부(110), 슬러지 이송부(120), 회전축(130), 교반날(14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원료투입부(110)는 슬러지(S1)와 고화제(S2)가 투입되는 부재로서, 상부에서 슬러지(S1) 및 고화제(S2)가 투입될 수 있도록 호퍼(111,112)가 구비된다. 상기 호퍼(111)는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슬러지(S1)와 상기 고화제(S2)가 투입시부터 혼합된 상태로 투입된다. 그러나, 도시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호퍼(111,112)로 구비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의 호퍼(111,112)로 상기 슬러지(S1)와 고화제(S2)가 투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호퍼(111,112)가 직접적으로 상기 슬러지 이송부(120)에 연결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러지 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1,112) 사이에 별도의 슬러지 수용부가 구비된다. 이 슬러지 수용부는 상기 호퍼(111,112)로 투입되는 슬러지(S1)와 고화제(S2)의 양을 수동/자 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슬러지 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화제(S2)는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시멘트 및 석회석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고화제(S2)는 산알칼리계 분말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화제(S2)는 별도의 고화제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슬러지(S1)에 투입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슬러지 이송부(120)는 컨베이어 벨트(121)로 구성되고, 상기 호퍼(111,112)의 하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일측 상단부에는 상기 호퍼(111,112)가 위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타측에는 고화된 슬러지(S1)의 후속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슬러지 저장부(미도시)가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는 바닥면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부재(122a,12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22a,122b)는 다수개의 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된 도면에서는 마주보는 상태로 지지부재(122a,122b)가 양측에 배치되고, 이 지지부재(122a,122b) 사이에 컨베이어 벨트(121)가 위치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구동모터(미도시)가 전원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121)의 구동 및 그 구성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13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즉,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122a,122b)를 연결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상면에 위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30)의 외주면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 (121)의 상면과 이격된 높이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0)의 양 끝단은 상기 지지부재(122a,122b)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축(130)은 상기 지지부재(122a,122b)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지지부재(122a,122b)와 상기 회전축(130)은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30)이 상기 지지부재(122a,122b)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축(13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30a,130b,130c,130d,130e,130f)들의 일측 끝단부에는 회전력 전달부재(131)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131)는 다수개의 회전축(130a,130b,130c,130d,130e,130f)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131)는 벨트 풀리(132a)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131) 중 어느 하나의 부재(131)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M1)가 연결된다. 이때에는 상기 모터(M1)의 회전축(130)에도 벨트 풀리(132b)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M1)에 구비된 벨트 풀리(132b)는 주동회전부이고, 회전력 전달부재(131)에 구비된 벨트 풀리(132a)는 종동회전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주동회전부와 상기 종동회전부는 벨트(133)로 연결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다수개의 벨트 풀리(132a)와 이들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벨트(133)로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의 벨트(133)로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131)는 벨트 풀리(132a)와 벨트(133) 외에 체인과 스프로킷, 그리고 감속기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반날(140)은 연결부재(141)와 혼합 부재(14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41)는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갖는 위치에 다수개로 구비된다. 즉, 회전축(130)에는 다수개의 교반날(140)이 위치되는데 회전축(130)의 동일 반경에는 적어도 3~4개의 연결부재(141)와 혼합부재(142)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 연결부재(141)는 회전축(13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130)의 중심부에서 방사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면서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재(14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회전 반경내에 3~4개가 구비되고, 하나의 회전축(130)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회전축(130)의 길이가 100cm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연결부재(141)는 약 10~20cm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회전축(130)에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부재(141)는 3~4개가 상기 회전축(1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부재(142)는 주걱형상으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혼합부재(142)는 평판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혼합부재(142)의 외측 테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기울어지는 요홈부(143)가 구비된다. 따라서, 슬러지(S1)와 고화제(S2)의 혼합률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의 작용효과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하수도나 산업배수처리 등에서 발생된 슬러지(S1)를 호퍼(111,112)에 투입시킨다. 이때, 작업자가 수동, 또는 기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슬러지(S1)를 투입시킨다. 상기 호퍼(111,112)에는 상기 슬러지(S1) 뿐만 아니라 고화제(S2)도 투입된다.
이때, 구동모터의 동작으로 인해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컨베이어 벨트(121)의 상면으로 상기 슬러지(S1)와 고화제(S2)가 이송된다. 그리고, 별도의 모터(M1)에서 구동력이 인가되고, 상기 모터(M1)와 연결된 회전축(130)들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호퍼(111,112)에 투입된 슬러지(S1)와 고화제(S2)가 컨베이어 벨트(121)를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21)의 상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회전축(130)들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130)에 구비된 다수개의 교반날(140)이 슬러지(S1)와 고화제(S2)를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수개의 회전축(130)에 설치된 교반날(140)은 상기 회전축(130)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슬러지(S1)와 고화제(S2)의 혼합률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회전축(130)이 6개로 구비되었다고 가정할 때 상기 회전축(130)의 1(130a),3(130c),5(130e)에 위치된 교반날(140)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0)의 2(130b),4(130d),6(130f)에 구비된 교반날(140)이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첫번째 회전축(130a)의 교반날(140)에서 혼합되고 그 교반날(140)들 사이의 공간부는 두번째 회전축(130b)의 교반날(140)에서 슬러지(S1)와 고화제(S2)를 혼합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두번째 회전축(130b)의 교반날(140)들 사이의 공간부는 세번째 회전축(130c)의 교반날(140)이 혼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반날(140)의 위치는 짝수개와 홀수개의 회전축(130)에 동일하게 위치될 수도 있으나, 다수개의 회전축(130)에 구비된 교반날(140)의 위치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원료투입부(110)와 슬러지 이송부(120), 그리고 교반날(140)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갖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130)은 제1회전축(130a), 제2회전축(130b), 제3회전축(130c), 제4회전축(130d)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130b)과 상기 제3회전축(130c) 사이에는 모터(M2)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M2)에는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136a,136b)이 결합되고, 상기 모터(M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 스프로킷(136a,136b)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0a,130b,130c,130d)들에는 종동 스프로킷(134a,134b,134c,134d)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136a,136b)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136a)은 상기 제1회전축(130a)과 상기 제2회전축(130b)에 구비된 종동 스프로킷(134a,134b)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136a,136b) 중 다른 하나의 스프로킷(136b)은 상기 제3회전축(130c)과 상기 제4회전축(130d)에 구비된 종동 스프로킷(134c,134d)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즉, 한 쌍의 상기 구동 스프로킷(136a,136b)에는 각각 체인(133a,133b)이 감겨지고, 하나의 체인(133a)은 상기 제1회전축(130a)과 상기 제2회전축(130b)에 연결된다. 또한, 다 른 하나의 체인(133b)은 상기 제3회전축(130c)과 상기 제4회전축(130d)에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M2)에 동력이 전달되면 한 쌍의 상기 구동 스프로킷(136a,136b)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회전축(130a)과 제3회전축(130c)은 모터(M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2회전축(130b)과 제4회전축(130d)은 상기 모터(M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제1회전축(130a)과 상기 제3회전축(130c)이 컨베이어 벨트(121)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정방향으로 회전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제2회전축(130b)과 상기 제4회전축(130d)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회전축(130a,130b,130c,130d)들 사이에는 보조스프로킷(135a,135b,135c,135d,135e)이 더 구비된다. 도시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보조스프로킷(135a,135b,135c,135d,135e)은 5개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보조스프로킷(135a,135b,135c,135d,135e)은 5개보다 적거나 많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기 보조스프로킷(135a,135b,135c,135d,135e)의 숫자는 회전축(130a,130b,130c,130d)들의 회전력과 회전 방향 설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다수의 상기 보조스프로킷(135a,135b,135c,135d,135e) 중 제1보조스프로킷(135a)은 제1회전축(130a)과 제2회전축(130b)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보조스프로킷(135b)은 상기 제1보조스프로킷(135a)의 하측에 위치된다. 하나의 체인(133a)은 모터(M2)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킷(136a,136b)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 (136a)에 감겨진 상태로 제2회전축(130b)에 구비된 종동 스프로킷(134b)의 하측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제1보조스프로킷(135a)에 감기면서 제1회전축(130a)에 연결되고, 그 이후에 제2보조스프로킷(135b)에 감겨진 상태로 상기 모터(M2)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킷(136a)에 위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3보조스프로킷(135c)은 제3회전축(130c)과 제4회전축(130d)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4보조스프로킷(135d)은 상기 제4회전축(130d)의 후방부에 위치된다. 또한, 제 5보조스프로킷(135e)은 상기 제3보조스프로킷(135c) 또는 상기 제3회전축(130c)과 상기 제4회전축(130d)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구동 스프로킷(136b)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체인(133b)은 제5보조스프로킷(135e)과 제4보조스프로킷(135d)을 차례로 감싸면서 제4회전축(130d)에 구비된 종동 스프로킷(134d)의 하측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제3보조스프로킷(135c)의 하측을 감싸면서 제3회전축(130c)에 구비된 종동 스프로킷(134c)의 상측을 감싸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터(M2)의 회전력에 의해서 제3회전축(130c)과 상기 모터(M2)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4회전축(130d)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구비되는 교반날(140)은,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교반날(140)은 회전축(130)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날(140)은 도시된 도 6에서와 같이 회전축(130)의 외주면에서 횡방향으로 동일하게 위치된 교반날(140)들만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14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된 교반날(140)들도 동일한 형태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된 한 쌍의 교반날(140)들을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고, 다른 한 쌍의 교반날(140)들은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된 도 7에서는 회전축(130)에 대하여 기울어진 한 쌍의 교반날(140)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도시된 도 8에서는 회전축(130)에 결합된 4측 방향의 모든 교반날(140)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모두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다. 또한, 도시된 도 9에서는 교반날(140)의 일부는 정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고, 교반날(140)의 다른 일부분은 역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 10에서는 도 6 내지 도 9에서 보인 모든 형태의 교반날(140)들이 혼합될 수도 있으며, 교반날(140)의 위치가 불규칙하거나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엇갈린 형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형태의 교반날(140)은 앞서 언급했듯이,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구성에도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면들에서는 교반날(140)의 형태가 사각의 형태를 갖도록 개략적인 도시를 한 것이며, 원형 또는 라운드를 갖거나 다양한 형태의 교반날(140)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100)는, 하수도나 산업배수처리 등에서 발생되는 슬러지(S1)에 시멘트와 석회석과 같은 산알칼리계 분말의 고화제(S2) 첨가시, 교반날(140)을 이용하여 슬러지(S1)와 고화제(S2)의 혼합률을 극대화시키고, 각종 유해한 물질을 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S1)를 후속공정에서 처리한 후 산업자재로 재활용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슬러지와 고화제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교반날이 슬러지와 고화제를 혼합시킬 수가 있다.
둘째, 교반날은 다수개의 회전축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의 동일한 회전방경에도 다수개의 교반날이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슬러지와 고화제의 혼합률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셋째, 다수개의 회전축에 구비된 교반날은 그 위치가 모두 상이하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슬러지와 고화제의 혼합률이 점처작으로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교반날은 주걱형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슬러지와 고화제의 혼합을 원할하게 진행시킬 수가 있다.

Claims (10)

  1. 슬러지 및 고화제가 투입되는 호퍼가 구비된 원료투입부;
    상기 원료투입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벨트로 구비되는 슬러지 이송부;
    상기 슬러지 이송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교반날;을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교반날로 인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부재;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교반날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다수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3. 슬러지 및 고화제가 투입되는 호퍼가 구비된 원료투입부;
    상기 원료투입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벨트로 구비되는 슬러지 이송부;
    상기 슬러지 이송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교반날;을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되고, 상기 회전축들이 각각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러지와 상기 고화제가 상기 교반날로 인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스프로킷;
    한 쌍의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체인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들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종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들 중 제1회전축과 제3회전축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들 중 제2회전축과 제4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3회전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상기 회전축의 중심부에서 외주면의 방사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된 위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한 쌍, 또는 다수개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들의 끝단에 구비되는 주걱형상의 혼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는 벨트 풀리로 구비되고, 상기 벨트 풀리에 연결되는 벨트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상기 회전축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KR2020060000996U 2006-01-12 2006-01-12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KR200412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996U KR200412633Y1 (ko) 2006-01-12 2006-01-12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996U KR200412633Y1 (ko) 2006-01-12 2006-01-12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633Y1 true KR200412633Y1 (ko) 2006-03-30

Family

ID=4176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996U KR200412633Y1 (ko) 2006-01-12 2006-01-12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6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33010A (zh) * 2023-08-11 2023-09-12 山东三箭建设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用填方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33010A (zh) * 2023-08-11 2023-09-12 山东三箭建设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用填方设备
CN116733010B (zh) * 2023-08-11 2023-11-07 山东三箭建设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用填方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3588B2 (en) Mixing apparatus and system
CN1078186C (zh) 处理污泥的方法和装置
CA1203231A (en)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 and semi-solid organic waste materials
US4509696A (en) Method for treating liquid and semi-solid organic waste materials
KR200412633Y1 (ko) 슬러지 혼합 처리장치
CN114850199A (zh) 一种利用农作物秸秆堆肥埋入地表土的土壤修复装置
KR101142954B1 (ko) 하수슬러지 복토화 장치
KR200486945Y1 (ko)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US4471916A (en)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 and semi-solid organic waste materials
EP0677464B1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silo or an equivalent container
KR20210023378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연속식 석회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960078B1 (ko) 해초비료 제조장치
JP3992180B2 (ja) 混合攪拌方法及び同装置
KR101778781B1 (ko) 슬러지 재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재활용 방법
KR100796805B1 (ko) 슬러지 혼합반응기
EP01047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liquid and semi-solid organic waste materials
KR102248109B1 (ko) 유기성 폐기물 혼합 반응장치
KR101914107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장치의 구동시스템을 이용한 슬러지 교반장치
KR20090034667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01334162A (ja) 脱水ケーキ細粒化装置
JP3058377U (ja) 生ゴミの微生物処理装置
US6948669B1 (en) Apparatus for mixing and aerating material
KR200207448Y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발효 시스템에 적용되는 원형 편심교반 이송장치
JP2001329564A (ja) 土改良方法及び装置
JP4277299B2 (ja) スクリュー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