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514Y1 - 필터케이스 - Google Patents

필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514Y1
KR200412514Y1 KR2020060000822U KR20060000822U KR200412514Y1 KR 200412514 Y1 KR200412514 Y1 KR 200412514Y1 KR 2020060000822 U KR2020060000822 U KR 2020060000822U KR 20060000822 U KR20060000822 U KR 20060000822U KR 200412514 Y1 KR200412514 Y1 KR 200412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coupling portion
adsorbent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근
이성근
김홍현
김성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엘
Priority to KR2020060000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5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면부(12)에 다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며, 평면부(12)에서 굴곡 연장된 가장자리부(15)와, 평면부(12)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부결합부(19)가 형성된 상부연장부(17)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스(10)와; 평면부(22)에 다수 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며, 평면부(22)에서 굴곡된 가장자리부(25)와, 평면부(22)에서 연장 형성되며 결합부(29)가 형성된 연장부(27)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결합부(19) 및 결합부(29)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와 일체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0)로 이루어지는 필터케이스(1)에 관한 것으로,
필터케이스(1) 내부에 충진되는 활성탄소와 같은 흡착체를 커버(30)만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가 있으며, 용접이나 나사못(3)으로 고정되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되며, 먼저 상, 하부케이스(10, 20)를 조립하고 상, 하부케이스(10, 20) 조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흡착제를 충진하므로 내부에 필요한 양의 흡착제를 조절하여 충진할 수 있으며, 흡착제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상, 하부케이스(10, 20)를 분해하지 않으므로 상, 하부케이스(10, 20)의 용접부나 나사못(3) 결합부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상, 하부케이스(10, 20)를 반영구적으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필터케이스,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커버

Description

필터케이스{A Filter Cas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의 변형 예로서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 필터케이스의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필터케이스의 도 5에 대응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필터케이스 3 : 나사못
5a, 5b : 상, 하부 망체 10 : 상부케이스
11, 21 : 관통공 12, 22 : 평면부
13, 23 : 나사홀
15 : 가장자리부 17 : 상부연장부
19 : 상부결합부 20 : 하부케이스
25 : 가장자리부 27 : 연장부
29 : 결합부 30 : 커버
31 : 커버결합부 37 : 측면부
본 고안은 반도체 제조 공정 등에서 공기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필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 하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로 이루어져 필터케이스 내부에 충진되는 흡착제의 수명이 다한 경우 상, 하부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흡착제를 교체할 수 있으며, 흡착제를 요구되는 만큼 충분하게 충진할 수 있으며, 상, 하부케이스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다량의 실란, 디클로로실란, 암모니아, 산화질소, 아르신, 포스핀, 디보린 등을 사용하며, 상기 물질 중 실제 제조 공정에서는 소량만이 소모되며, 소모되지 않는 물질은 배기 가스에 포함되어 HCl, Cl2, HF 등과 같은 유해가스, 분진 및/또는 증기 형태로 배출된다.
소모되지 않고 배기 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상기와 같은 물질은 작업자 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 자체를 오염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배출되는 상기와 같은 유해성 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흡착제를 이용하여 정화하는 방식의 건식처리법도 그 한 예이다.
건식처리법은 흡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의 하나로서 알루미나, 소석회,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제올라이드 등의 무기 흡착제, 활성탄, 상기 무기 흡착제를 담체로 하여 알칼리 화합물이나 산성 화합물을 처리한 첨착 무기 흡착제 또는 금속으로 코팅한 첨착 무기 흡착제, 상기 활성탄에 화학물질을 첨착한 첨착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며, 상기에 기재한 무기 흡착제, 활성탄, 화합물이나 금속 첨착 무기 흡착제, 화학물질 첨착 활성탄을 다층 적층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흡착제가 충진되는 필터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필터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필터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가 충진되며, 흡착제가 충진된 필터케이스(이하 '필터'라고 한다.)를 필터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장전하고 필터에 배기 가스를 통과시켜 배기 가스에 포함된 다양한 오염 물질을 흡착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케이스(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와,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일체로 조립하는 다수 개의 나사못(103)과, 상기 상, 하부케이스(110, 12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상, 하 망체(105a, 105b)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다수 개의 관통공(111)이 형성된 사각형의 평면부(112)와, 상기 평면부(112)의 사면으로부터 굴곡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113)이 형성된 가장자리부(115)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20)는 다수 개의 관통공(121)이 형성된 사각형의 평면부(122)와, 상기 평면부(122)의 사면으로부터 굴곡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123)이 형성된 가장자리부(125)로 구성된다.
상기 평면부(112, 122)에 형성된 관통공(111, 121)을 통하여 배출 가스가 유입되고 유출된다.
상기 상, 하 망체(105a, 105b)는 필터케이스(100)의 내부에 충진되는 흡착제가 상, 하부케이스(110, 120)의 평면부(112, 122)에 형성된 관통공(111, 12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 하부케이스(110, 120)의 내측에 용접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케이스(100)의 제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하부케이스(110, 120)가 될 금속 판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고, 상 기 절단된 금속판재에 다수 개의 관통공(111, 121)을 형성하고, 나사구멍(113, 123)을 형성한다. 그리고 4측 모서리를 절곡하여 각각 가장자리부(115, 125)를 형성하고 가장자리부(115, 125)의 이음 부분(115a, 125a)을 용접 연결하여 각각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의 내측으로 각각 상, 하 망체(105a, 105b)를 용접 설치한다.
상기 망체(105b)가 각각 설치 완료된 하부케이스(120)를 평면부(122)가 아래로 향하도록 적치하고, 평면부(122)와 가장자리부(125)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활성탄소와 같은 흡착제를 투입하며, 흡착제 투입 후 상, 하부케이스(110, 120)의 가장자리부(115, 125)가 서로 겹치도록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조립하고, 상기 상, 하부케이스(110, 120)의 가장자리부(115, 125)에 형성된 나사구멍(113, 123)에 나사못(103)을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에 있어서 흡착제가 가장자리부(115, 125)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부(115, 125)의 겹침 부분을 용접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케이스(100)에 흡착제를 충진하여 필터로 사용하는 경우, 흡착제의 흡착 수명이 다하여 흡착제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 가장자리부(115, 125)의 나사구멍(113, 123)에 체결된 나사못(103)을 모두 분리하여야 하며, 가장자리부(115, 125)의 겹침 부분에 용접이 되어 있는 경우 용접부도 분리하여야 하였으므로 흡착제 교체 시간이나 투입되는 노력의 낭비가 심하였 으며, 하부케이스(120)를 눕혀 놓고 흡착제를 투입하므로 이미 투입된 흡착제가 하부케이스(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주의를 하여야 하였으며, 또한 흡착제 교체를 위하여 상, 하부케이스(110, 120)를 분해하여야 하였으므로 분해 과정에서 용접부나 나사구멍(113, 123)의 손상에 의하여 상, 하부케이스(110, 120)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케이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상, 하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커버만 분리하여 필터케이스 내에 충진된 흡착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가 있어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력이 절감되며, 상, 하부케이스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 하부케이스를 반영구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 하부케이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로 흡착제를 투입하므로 투입된 흡착제가 다시 누출되는 염려가 없는 필터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는 평면부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평면부에서 굴곡 연장된 가장자리부와, 평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부결합부가 형성된 상부연장부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스와; 평면부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평면부에서 굴곡 연장된 가장자 리부와, 평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결합부가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결합부 및 결합부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 일체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연장부에 형성되는 상부결합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연장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는 관통공이거나 내측으로 형성된 오목부로, 상기 상부결합부 및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커버에 형성되는 커버결합부는 내측으로 형성된 오목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연장부에 형성되는 상부결합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연장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는 외측으로 형성된 볼록부로, 상기 상부결합부 및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커버에 형성되는 커버결합부는 관통공이나 볼록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는 평면부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평면부에서 굴곡 연장된 가장자리부와, 평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 굴곡부가 형성된 상부연장부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스와; 평면부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평면부에서 굴곡 연장된 가장자리부와, 평면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좌우측에 측부가 형성되고 끝단에 굴곡부가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될 때 굴곡부에 의하여 측면 지지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필터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1)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 필터케이스의 'A'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1)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1)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1)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 필터케이스(1)의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1)는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와, 상기 상, 하부케이스(10, 20)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10)는 다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된 평면부(12)와, 상기 평면부(12)에서 굴곡 연장된 가장자리부(15)와, 상기 평면부(12)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부결합부(19)가 형성된 상부연장부(17)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케이스(20)는 다수 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된 평면부(22)와, 상기 평면부(22)에서 굴곡 연장된 가장자리부(25)와, 상기 평면부(22)에서 연장 형성되며 결합부(29)가 형성된 상부연장부(27)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30)에는 상기 상부결합부(19) 및 결합부(29)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결합부(31)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결합부(19), 결합부(29) 및 커버결합부(31)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연장부(17)와 연장부(27)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상부결합부(19)와 결합부(29)를 관통공으로 형성하거나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결합부(31)는 상기 상부결합부(19) 및 결합부(29)와 동일한 간격으로 커버측면부(37)의 내측으로 오목부로 형성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으며,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결합부(19), 결합부(29) 및 커버결합부(31)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연장부(17)와 연장부(27)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결합부(19)와 결합부(29)를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부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결합부(31)는 커버측면부(37)의 외측으로 상기 상부결합부(19) 및 결합부(29)와 오목부로 형성하거나 관통공으로 형성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1)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 필터케이스(1)의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1)에서 상부케이스(10)의 평면부(12)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연장부(17)의 끝단 일부는 절곡되어 굴곡부(19a)를 형성하며, 하부케이스(20)의 평면부(22)에서 연장 형성된 연장부(27)의 끝단 일부는 절곡되어 역시 굴곡부(29a)를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27) 양측 또는 어느 일측으로 측부(27b)를 구비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케이스(10, 20)를 일체로 하고, 상기 굴곡부(19a, 29a)에 의하여 측면이 지지되도록 상, 하부케이스(10, 20) 내에 흡착제를 충진하고 판형태의 커버(30)를 측면 삽입한다. 상기 판형태의 커버(30)는 일측으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필터케이스(1)의 조립 및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로 될 금속판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고 평판부(12, 22)에 관통공(11, 21)을 형성하고 3면을 절곡하여 가장자리부(15, 25)를 형성한다. 상기 관통공(11, 21)을 형성할 때 가장자리부(15, 25)로 될 부분에 나사못(3) 체결을 위한 나사구멍(13, 23)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나머지 일면에 각각 상부연장부(17)와 연장부(27)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연장부(17)와 연장부(27)에 각각 상부결합부(19)와 결합부(29)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결합부(19)와 결합부(29)는 커버(30)와의 결합 관계에 따라 오목부, 볼록부 또는 관통홀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장부(17)와 연장부(27)의 끝단 일부에 굴곡부(19a, 29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 있어서 가장자리부(15, 25)의 이음 부분(15a, 25a)은 충진될 흡착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 이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이 완료된 상, 하부케이스(5a, 5b)의 내측으로 망체(5a, 5b)를 설치하여 충진된 흡착제가 관통공(11, 21)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망체(5a, 5b)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 하부케이스(10, 20)의 가장자리부(15, 25)가 서로 겹치도록 하고, 가장자리부(15, 25)에 형성된 나사구멍(13, 23)에 나사못(3)을 체결하여 상, 하부케이스(10, 20)가 일체가 되도록 하며, 겹쳐진 가장자리부(15, 25)를 통하여 흡착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부(15, 25)의 겹침 부분을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커버(30)로 될 금속 판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고, 상기 커버측면부(37)로 되는 부분에 상기 상부결합부(19) 및 결합부(29)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결합부(31)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결합부(31)는 상기 상부결합부(19) 및 결합부(29)와 대응하여 오목부, 볼록부 및 관통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케이스(10, 20)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커버(30)는 판재로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이때 상기 커버(30)의 길이 방향 일측에 절곡된 커버절곡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커버측면부(37)의 이음 부분도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 하부케이스(10, 20)의 상부연장부(17)와 연장부(27)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흡착제를 충진하고, 충진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30)를 상기 상부연장부(17)와 연장부(27)와 결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필터의 사용에 의하여 흡착제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 하부케이스(10, 20)로부터 커버(30)를 분리하고, 상부연장부(17)와 연장부(27)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에 충진된 흡착제를 제거하고, 새로운 흡착제를 충진하며, 충진이 완료되면 커버(30)를 다시 상기 상부연장부(17)와 연장부(27)와 결합시킴으 로써 간단하게 흡착제 교환이 완료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케이스(1)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버(30)를 길이 방향으로 당김에 의해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더욱더 용이하게 흡착제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은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터케이스(1)에 의하면, 필터케이스(1) 내부에 충진되는 활성탄소와 같은 흡착제가 그 수명을 다하였을 때 필터케이스(1)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커버(30)만을 분리하여 내부에 충진되는 흡착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가 있으며, 용접이나 나사못(3)으로 고정되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되며, 먼저 상, 하부케이스(10, 20)를 조립하고 상, 하부케이스(10, 20) 조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흡착제를 충진하므로 내부에 필요한 양의 흡착제를 조절하여 충진할 수 있으며, 흡착제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상, 하부케이스(10, 20)를 분해하지 않으므로 상, 하부케이스(10, 20)의 용접부나 나사못(3) 결합부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상하부케이스(10, 20)를 반영 구적으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평면부(12)에 다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며, 평면부(12)에서 굴곡 연장된 가장자리부(15)와, 평면부(12)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부결합부(19)가 형성된 상부연장부(17)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스(10)와;
    평면부(22)에 다수 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며, 평면부(22)에서 굴곡된 가장자리부(25)와, 평면부(22)에서 연장 형성되면 결합부(29)가 형성된 연장부(27)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결합부(19) 및 결합부(29)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 및 하부케이스(20)와 일체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케이스(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상부연장부(17)에 형성되는 상부결합부(19)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연장부(27)에 형성되는 결합부(29)는 관통공이거나 내측으로 형성된 오목부이며, 상기 상부결합부(19) 및 결합부(2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커버(30)에 형성되는 커버결합부(31)는 내측으로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케이스(1).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상부연장부(17)에 형성되는 상부결합부(19)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연장부(27)에 형성되는 결합부(29)는 외측으로 형성된 볼록부이며, 상기 상부결합부(19) 및 결합부(2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커버(30)에 형성되는 커버결합부(31)는 관통공이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케이스(1).
  4. 평면부(12)에 다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되며, 평면부(12)에서 굴곡 연장된 가장자리부(15)와, 평면부(12)에서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 굴곡부(19a)가 형성된 상부연장부(17)를 구비하는 상부케이스(10)와;
    평면부(22)에 다수 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며, 평면부(22)에서 굴곡된 가장자리부(25)와, 평면부(22)에서 연장 형성되며 좌우측에 측부(27b)가 형성되고 끝단에 굴곡부(29a)가 형성된 연장부(27)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가 일체로 형성될 때 굴곡부(19a, 29a)에 의하여 측면 지지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커버(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케이스(1).
KR2020060000822U 2006-01-11 2006-01-11 필터케이스 KR200412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822U KR200412514Y1 (ko) 2006-01-11 2006-01-11 필터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822U KR200412514Y1 (ko) 2006-01-11 2006-01-11 필터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514Y1 true KR200412514Y1 (ko) 2006-03-28

Family

ID=4176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822U KR200412514Y1 (ko) 2006-01-11 2006-01-11 필터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51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37B1 (ko) 2006-09-14 2007-08-09 주식회사 카엘 흡착제 교체가 용이한 필터
KR101105846B1 (ko) * 2009-08-17 2012-01-13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흡착제 교체가 용이한 필터 여재
KR200459063Y1 (ko) * 2009-10-15 2012-03-22 김영길 흡입공기와 탈취필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킨 탈취장치
CN107596862A (zh) * 2017-11-08 2018-01-19 山西新华化工有限责任公司 微型吸附单元
KR101817475B1 (ko) * 2017-07-03 2018-02-21 이상훈 활성탄의 재생과 교체가 가능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37B1 (ko) 2006-09-14 2007-08-09 주식회사 카엘 흡착제 교체가 용이한 필터
KR101105846B1 (ko) * 2009-08-17 2012-01-13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흡착제 교체가 용이한 필터 여재
KR200459063Y1 (ko) * 2009-10-15 2012-03-22 김영길 흡입공기와 탈취필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킨 탈취장치
KR101817475B1 (ko) * 2017-07-03 2018-02-21 이상훈 활성탄의 재생과 교체가 가능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WO2019009458A1 (ko) * 2017-07-03 2019-01-10 이상훈 활성탄의 재생과 교체가 가능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CN107596862A (zh) * 2017-11-08 2018-01-19 山西新华化工有限责任公司 微型吸附单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514Y1 (ko) 필터케이스
US20060249027A1 (en) Rigid adsorption apparatus, and methods
US68057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fluid using a manifold
US8409337B1 (en) Air handling filtration equipment with adjustable media bed and method of use
CA2811194A1 (en) Apparatus for removing air contaminants
WO1999028968A1 (fr) Preservation de la proprete des substrats et boite de rangement de substrats
DE502007004909D1 (de) Filter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Feinstäuben aus einem staubbeladenen Gasstrom sowie Filteranlage
JP7146642B2 (ja) 浮遊分子汚染の制御のための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
JP5544656B2 (ja) フィルタおよび油水分離装置
JP2014008476A (ja) 排ガス処理装置、活性炭吸着塔及び濾過式集塵器
KR102395497B1 (ko) 연료 전지 필터 장치 및 연료 전지 필터 장치가 구비된 연료 전지 필터 시스템
KR101748782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휘발성 유해가스 처리장치
JP2007263024A (ja) Hcフィルタ、hcフィルタ固定枠、並びにエアクリーナ
JP6114438B1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1518320B1 (ko) 하이브리드형 유해가스 처리 시스템
JP4868941B2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取付構造
JP6443679B2 (ja) 排ガス処理方法
KR20110043134A (ko) 가스 스크러버
WO2006083239A1 (en) Plastic mono-block pocket filter frame
CN211963476U (zh) 一种化工厂烟气脱硫脱硝除尘设备
WO2006004540A1 (en) A frame for an air filter unit
JP2000042346A (ja) 吸着カートリッジおよび空気除湿装置
JP5158416B2 (ja) ケミカルフィルタユニットの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JP2005074372A (ja) 吸着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有害排ガス処理装置
US20090230052A1 (en) Hydrogen sulfid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