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735Y1 - 조립식 온돌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온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735Y1
KR200411735Y1 KR2020050036682U KR20050036682U KR200411735Y1 KR 200411735 Y1 KR200411735 Y1 KR 200411735Y1 KR 2020050036682 U KR2020050036682 U KR 2020050036682U KR 20050036682 U KR20050036682 U KR 20050036682U KR 200411735 Y1 KR200411735 Y1 KR 200411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edium
prefabricated
passage structure
medium passage
bas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창
Original Assignee
민병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창 filed Critical 민병창
Priority to KR2020050036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7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온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의 이동 공급 및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시공으로 공사기간을 단축하며 실내 바닥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난방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흡음에 의한 층간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차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초 바닥 위에 설치되고 높이조절기능과 흡음기능을 동시에 갖는 레그어셈블리와, 상기 레그어셈블리와 결합되고 기초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 있는 상태로 중간의 지지역할을 가지며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수평지지고정부재와,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열매체통로구조가 마련 설치되는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와,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의 상부에 고르게 배치하여 설치되는 열매체통로구조와, 그리고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 및 상기 열매체통로구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열매체통로구조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표면마감부재가 조립 시공이 이루어지는 조립식 온돌시스템과 상기 열매체통로구조에 온열매체와 냉열매체를 이용하여 온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온도조절방식의 조립식 온돌시스템이 제공된다.
조립식, 온돌, 흡음, 진동, 높이조절, 열매체, 온도조절

Description

조립식 온돌시스템{Prefabrication Type Floor Heating System}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일례로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채택 활용되는 레그어셈블리의 일례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와 열매체통로구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예시도,
도 6은 도 5에 예시한 실시예의 변형례를 예시한 평면 예시도,
도 7은 도 4의 변형례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도 4 및 도 7에 예시한 일례의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또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온도조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
도 12는 도 11에 예시한 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 계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레그어셈블리(Leg assembly), 3: 수평지지고정부재,
5: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Base Assembly), 7: 열매체통로구조,
9: 표면마감부재
본 고안은 조립식 온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의 이동 공급 및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실내 바닥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난방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흡음에 의한 층간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차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있어서 실내 난방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공방식으로서는 옥내의 기초 바닥에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합성수지 관체(일명, "엑스엘파이프"라 함)나 동관 형태로 이루어진 온수파이프를 지그 재그 형으로 배치한 다음에 자갈이나 모래와 같은 세골재로 이들 온수파이프 사이를 온수파이프 높이만큼 채워 놓은 다음에 그 상부에 모르타르를 시공하는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식은 전체적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는 공정이 복잡하고 모르타르가 경화되어 다음의 작업을 수행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어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시공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내장되는 온수파이프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서도 온수파이프를 이루게 되는 전체 재질이 단일의 동일한 재질로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 방향에 걸쳐 동일하게 열전도가 이루어지게 되고, 다른 인접된 부위에 축열 내지 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결국 실내의 난방 내지 온도조절을 위하여 사용되게 되는 순수한 열은 모르타르라고 하는 전도성이 극히 낮은 매질을 통과하여야만 실내 난방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난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열효율도 낮은 폐단이 발생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 해소하기 위하여 모르타르 시공을 행하는 대신에 온수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상,하부 조립식 패널을 구성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건축물의 기초 바닥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고른 시공이 이루어져 있지 아니하여 이를 채택하기 위하여는 바닥을 평평하게 재시공을 행한 다음에 설치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기초 바닥의 평평한 상태로 시공을 행하는데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수지로 제작되는 패널의 강도가 그다지 높지 않아 별도의 보강을 위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하고 열전도율이 낮아 발생되는 문제점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실용화에 어려운 실정이다.
그 이외에도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02205호인 "무배관 방식의 모듈화 패널의 온돌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시공이 이루어지는 바닥패널 자체를 온수순환용 배관 대신에 활용하여 무배관에 의한 시공을 행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이를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의 기초 바닥면이 평평하고 고르게 수평을 유지하여야만 시공이 가능하나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여 별도의 바닥시공이 이루어진 다음에나 시공이 가능한 정도로서 이러한 기술을 채택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바닥시공이 선행되어야만 하는 폐단이 있고, 층간 소음에 대한 대책과 같은 별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첫째 목적은 조립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둘째 목적은 건축물의 실내 기초 바닥의 높낮이가 고르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각 부위별로 높이 조절에 의하여 기초적으로 수평상태로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의 셋째 목적은 층간소음의 발생을 적게 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에 흡음 내지 차음이 가능하도록 하여 온돌시공 이외에도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넷째 목적은 열매체통로구조에 통과하게 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기능이 작용하여 4 계절의 외부 상황이나 기타 외부 상황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손쉽게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 바닥 위에 설치되고 높이조절기능과 흡음기능을 동시에 갖는 레그어셈블리와, 상기 레그어셈블리와 결합되고 기초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 있는 상태로 중간의 지지역할을 가지며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수평지지고정부재와,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의 상 부에 설치되고 열매체통로구조가 마련 설치되는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와,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의 상부에 고르게 배치하여 설치되는 열매체통로구조와, 그리고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 및 상기 열매체통로구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열매체통로구조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표면마감부재가 조립 시공이 이루어지는 조립식 온돌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매체통로구조에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열매체로서 별도로 조절되는 온열매체와 냉열매체를 이용하여 온도조절을 행하거나 상기 열매체통로구조에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열매체 자체의 온도를 조절하여 온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조립식 온도조절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인 조립식 온돌시스템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 바닥 위에 설치되고 높이조절기능과 흡음기능을 동시에 갖는 레그어셈블리(1)와, 상기 레그어셈블리(1)와 결합되고 기초바닥으로부터 이갹돠어 공간이 있는 상태로 중간의 지지역할을 가지며 견고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수평지지고정부재(3)와,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의 상부에 설치되고 열매체통로구조(7)가 마련 설치되는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의 상부에 고르게 배치하여 설치되는 열매체통로구조(7)와, 그리고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 및 상기 열매체통로구조(7)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열매체통로구조(7)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표면마감부재(9)가 조립 시공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레그어셈블리(1)는 나사부(12)를 갖는 나사부재(10)의 시트부(14)에 방진쿠션부재(16)가 결합되고 상기 시트부(14) 및 방진쿠션부재(16)를 감싸는 형태로 홀더부재(18)에 의하여 상호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상기 나사부(12)엔 조절너트(20)와 로크너트(22)가 끼워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에 나사부(12)를 끼우고 하부에선 조절너트(20)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고 높낮이의 조절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상부로부터 로크너트(22)를 조여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방진쿠션부재(16)는 시공이 이루어진 후에 기초바닥과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의 발생시에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게 되며 후술되는 수평지지고정부재(3)와 기초바닥과의 사이를 상기 레그어셈블리(1)에 의하여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층간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수평지지고정부재(3)는 다수의 베이스브라켓(30)에 의하여 상호간 조립된 형태로서 설치가 이루어질 공간의 크기에 맞게 수평으로 견고한 지지대를 이루도록 이루어지되, 이들 베이스브라켓(30)에는 다수의 체결공(40)이 형성되어 베이스브라켓(30)의 상호간 그리고 전술한 바 있는 레그어셈블리(1)의 나사부(12)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이루어져 이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바닥의 상태가 부위별로 그 높낮이가 다른 경우에도 그 상황에 따라 상기 레그어셈블리(1)를 활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가 전체 부위에 걸쳐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지지고정부재(3)로서 상기 레그어셈블리(1)를 설치하는 부위에는 별도의 브라켓(32)을 설치하고 그 브라켓(32)에 별도의 체결공(42) 을 마련하여 레그어셈블리(1)의 나사부(12)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그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는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의 상부에 설치되고 열매체통로구조(7)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유니트(50)가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유니트(50)에는 상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구획홈(52, 54)이 각각 형성되고 표면 내측에는 수준기(56)가 내장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열매체통로구조(7)는 전술한 바 있는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의 구획홈(52,54)을 이용하여 직접 형성하거나 아니면 별도로 구성되는 부재를 상기 구획홈(52,54)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형태로 각각 구성이 가능한데, 우선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의 구획홈(52,54)을 이용하여 직접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1, 도 2, 도7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구획홈(52,54)의 하부 양측엔 요홈(72,72)을 각각 형성하고 상부 양측에도 요부(74,74)를 각각 형성하며 상부에는 하향돌부(82)와 양측 연장부(84) 및 중앙부(86)가 일체로 형성된 덮개(80)를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향돌부(82)의 하부로서 상기 요홈(72,72)에만 기밀유지용 패킹(76)을 내장 설치하고 상기 연장부(84)를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 체결 고정하는 구조로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향돌부(82) 및 연장부(84)의 하부로서 상기 요홈(72,72) 및 요부(74,74)에 동시에 기밀유지용 패킹(76,78))을 내장 설치하고 상기 연장부(84)를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 체결 고정하는 구조로 구성하여 기밀유지가 2단계에 걸쳐 이루어지도 록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 별도로 구성되는 부재를 상기 구획홈(52,54)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그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공통적으로 별도로 마련한 "ㄷ"자 형태의 하부부재(88)를 상기 구획홈(52,54)에 끼워 결합하고 그 상부에 패킹(78)이 위치한 상태로 덮개(80)를 덮어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되, 도 8에 예시한 형태는 덮개(80)를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는 형태이고 도 9에 예시한 형태는 덮개(80)를 억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상호간 끼워 결합하는 형태인 점이 서로 다른 점이다.
물론,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및 도 7에 예시한 경우에는 덮개(80)와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의 사이에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예시한 경우에는 덮개(80)와 하부부재(88)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호간 접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체결하거나 억지끼워맞춤을 행하는 것이 시공상 더욱 바람직하겠다.
모서리부위의 시공은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시공이 가능한데,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덮개(80)가 서로 마주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접합부(81)에는 기밀유지용 패킹(83)을 개재시켜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시공하고, 하부부재(88)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모서리부위는 별도의 연결부재(85)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부재(85)의 설치요부(87)를 활용하여 끝단부위 상호간 연결부재(85)의 설치요부(85)에 접합하여 서로 연결 작업 가능하도록 구성을 행하게 되며, 열매체통로구조(7)의 전체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는 레이아웃은 도 5나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그 구성을 행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적절하게 상황에 맞게 설계하여 활용이 가능하다.
이때,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나 하부부재(88)의 경우에는 열손실이 적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덮개(80)의 경우에는 전도율이 양호한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절곡 또는 압출 성형하거나 아니면 열전도율이 양호한 금속 또는 광물질을 분말 형태로 수지와 혼합하여 성형한 성형품을 사용하여 후술되는 표면마감부재(9)와 직접 접하도록 시공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이외에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어셈블리(5)의 구획홈(52,54)을 이용하여 열매체용 파이프(89)를 시공하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덮개(80)를 씌워 덮개(80)를 통하여 표면마감부재(9)에 전달되는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겠다.
다음, 표면마감부재(9)는 인테리어의 마감재로서 패널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 열매체통로구조(7)를 덮어씌우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소재는 목재나 석재를 가공하여 제작한 형태,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Precast Concrete Panel), 인조석이나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작한 형태로서 이들 인조석이나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열전도율이 상승되도록 금속분말 또는 천연광물질의 분말을 혼합하여 성형하는 패널을 제작한 형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건강증진용의 황토, 숯 등의 소재를 분말화하여 자체 또는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성형하는 형태 등 다양한 소재의 것을 활용하여 제작한 것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물론, 표면마감부재(9)의 표면엔 필요한 경우 종래와 같이 장판을 시공하여 활용할 수도 있겠다.
전체적으로 시공하는 순서는 수평지지고정부재(3)와 레그어셈블리(1)를 활용하여 수평지지고정부재(3)를 전 부위에 걸쳐 수평을 이루도록 조립시공을 먼저 행하고 나서, 수평지지고정부재(3)의 상부에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를 배치시키되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에 내장 설치된 수준기(56)를 활용하여 수평지지고정부재(3) 및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의 수평시공을 보다 확실하에 점검히거 필요시 레그어셈블리(1)를 종정하여 수평 교정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의 상부엔 열매체 통로부재(7)를 시공한 다음, 표면마감부재(9)를 깔면 시공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통로구조(7)에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열매체로서 온도의 조절은 도 11 및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공통적으로 별도로 조절되는 매체로서 온열매체탱크(90)의 온열매체와 냉열매체탱크(92)의 냉열매체를 이용하여 밸브(91a,93a)가 각각 설치된 공급라인(90a)(92a)을 서로 공통으로 연결한 공급라인(94)을 열매체통로구조(7)의 유입구와 연결 설치하고, 열매체통로구조(7)의 배출부는 복귀라인(96)과 서로 연결하되 이를 중간에서 분지하여 순환펌프(98a,98b)와 밸브(91b,93b)가 각각 설치된 분지관(90b)(92b)을 각각 설치하여 구성하되, 도 11에 예시한 구성은 온열매체탱크(90)의 온열매체는 외부에서 별도로 가열수단에 의하여 온도가 높여진 상태로 공급하고 냉열매체탱크(92)의 냉열매체는 별도의 냉열수단에 의하여 온도가 낮추어진 상태로 공급하여 각각 활용이 가능하도 록 구성한 것이고 도 12에 예시한 구성은 온열매체탱크(90)의 온열매체는 온열매체탱크(90)의 내부에 가열수단(100)을 설치하여 온열매체의 온도가 낮아지면 이를 가열하여 적정의 높은 온도를 유지시키고 냉열매체탱크(92)의 냉열매체는 냉열매체탱크(92)의 내부에 별도의 냉각기(102)를 설치하여 냉열매체의 온도가 상승하면 이를 냉각시켜 적정의 낮은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하여 각각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하여 열매통로부재(7)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밸브(91a,93a)(91b,93b)를 개폐하여 온열매체 단독, 냉열매체 단독 또는 온열매체와 냉열매체의 혼합 조절에 의한 적정온도의 유지가 되는 상태로 공급하여 온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는 다수의 베이스브라켓(30)에 의하여 상호간 조립된 형태로서 시공이 용이하도록 중량, 크기, 제품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부측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 충격 또는 온도변화를 차단할 수 있는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품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합성수지베이스나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하고 그 위에 얹혀지게 되는 전체 중량과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베이스브라켓(30)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브라켓(30)으로 공간의 크기에 맞게 수평으로 견고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도록 이들 베이스브라켓(30)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브라 켓(32)과 상호간 또는 레그어셈블리(1)와 조립 결합할 수 있게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에는 베이스브라켓(30)을 포함한 수평지지고정부재(3)의 상부에 결합되고 열매체통로구조(7)를 형성하게 되며, 설치된 열매체통로구조(7)가 누수 또는 하자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니트(50)의 구획홈(52,54)에는 일체로 구성된 동파이프나 합성수지의 엑스엘파이프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내부에 설치할 수 있고, 그 상부에는 열전도가 우수한 덮개(80)를 활용하여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조립식 온돌시스템에 의하면, 레그어셈블리(1)에 의하여 수평지지고정부재(3)를 전 부위에 걸쳐 수평을 이루도록 조립시공을 먼저 행하고 나서, 수평지지고정부재(3)의 상부에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를 배치시키고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의 상부엔 열매체통로구조(7)를 시공한 다음, 표면마감부재(9)를 깔면 시공이 완료되고, 냉열매체와 온열매체에 의하여 열매체통로구조(7) 내부에 공급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시공이 이루어져, 조립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표면마감부재(9)와 열매체통로구조(7)의 덮개(80)가 직접 맞닿고 상기 덮개(80)와 표면마감부재(9)를 열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선택하게 되므로 열전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실내 기초 바닥의 높낮이가 고르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레그어셈블리(1)에 의하여 각 부위별로 높이 조절에 의 하여 기초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지지고정부재(3)에 의하여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레그어셈블리(1)의 상기 방진쿠션부재(16)는 시공이 이루어진 후에 기초바닥과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의 발생시에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고 수평지지고정부재(3)와 기초바닥과의 사이를 상기 레그어셈블리(1)에 의하여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층간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음 역할을 수행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매체통로구조(7)에 통과하게 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기능이 작용하여 4 계절의 외부 상황이나 기타 외부 상황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손쉽게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1. 기초 바닥의 위에 설치되고 높이조절기능과 흡음기능을 동시에 갖는 레그어셈블리(1)와,
    상기 레그어셈블리(1)와 결합되고 기초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 있는 상태로 중간의 지지역할을 가지며 견고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수평지지고정부재(3)와,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의 상부에 설치되고 열매체통로구조(7)가 마련 설치되는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의 상부에 고르게 배치하여 설치되는 열매체통로구조(7)와, 그리고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 및 상기 열매체통로구조(7)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열매체통로구조(7)와 밀착되게 설치되는 표면마감부재(9)가 조립 시공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어셈블리(1)는 나사부(12)를 갖는 나사부재(10)의 시트부(14)에 방진쿠션부재(16)가 결합되고 상기 시트부(14) 및 방진쿠션부재(16)를 감싸는 형태로 홀더부재(18)에 의하여 상호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상기 나사부(12)엔 조절너트(20)와 로크너트(22)가 끼워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지지고정 부재(3)에 나사부(12)를 끼우고 하부에선 조절너트(20)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고 높낮이의 조절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상부로부터 로크너트(22)를 조여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는 다수의 베이스브라켓(30)에 의하여 상호간 조립된 형태로서 설치가 이루어질 공간의 크기에 맞게 수평으로 견고한 지지대를 이루도록 이루어지되, 이들 베이스브라켓(30)에는 다수의 체결공(40)이 형성되어 베이스브라켓(30)의 상호간 그리고 전술한 바 있는 레그어셈블리(1)의 나사부(12)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는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의 상부에 설치되고 열매체통로구조(7)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유니트(50)가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유니트(50)에는 상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구획홈(52, 54)이 각각 형성되고 표면 내측엔 다수의 수준기(56)가 내장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고정부재(3)로서 상기 레그어셈블리(1)를 설치하는 부위에 별도의 브라켓(32)을 설치하고 그 브라켓(32)에 별도의 체결공(42)을 마련하여 레그어셈블리(1)의 나사부(12)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그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통로구조(7)는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의 구획홈(52,54)을 이용하여 직접 형성하되,
    상기 구획홈(52,54)의 하부 양측엔 요홈(72,72)을 각각 형성하고 상부 양측에도 요부(74,74)를 각각 형성하며 상부에는 하향돌부(82)와 양측 연장부(84) 및 중앙부(86)가 일체로 형성된 덮개(80)를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향돌부(82)의 하부로서 상기 요홈(72,72)에만 기밀유지용 패킹(76)을 내장 설치하고 상기 연장부(84)를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 체결 고정하는 구조로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돌부(82) 및 상기 연장부(84)의 하부로서 상기 요홈(72,72) 및 요부(74,74)에 동시에 기밀유지용 패킹(76,78))을 내장 설치하고 상기 연장부(84)를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 체결 고정하는 구조로 구성하여 기밀유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통로구조(7)가 별도로 마련한 "ㄷ"자 형태의 하부부재(88)를 상 기 구획홈(52,54)에 끼워 결합하고 그 상부에 패킹(78)이 위치한 상태로 덮개(80)를 덮어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통로구조(7)에 있어서 모서리부위의 시공은 대각선 방향으로 덮개(80)가 서로 마주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접합부(81)에는 기밀유지용 패킹(83)을 개재시켜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88)를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모서리부위는 별도의 연결부재(85)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부재(85)의 설치요부(87)를 활용하여 끝단부위 상호간 연결부재(85)의 설치요부(85)에 접합하여 서로 연결 작업 가능하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 열매체통로구조(7)의 하부부재(88)는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로 제작하고, 상기 열매체통로(7)의 덮개(80)는 전도율이 양호한 금속판재나 열전도율이 양호한 금속 또는 광물질을 분말 형태로 수지와 혼합하여 제작하여 이루어지고,
    표면마감부재(9)는 인테리어의 마감재로서 패널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조립식 베이스어셈블리(5)와 열매체통로구조(7)를 덮어씌우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어셈블리(5)의 구획홈(52,54)을 이용하여 열매체용 파이프(89)를 시공하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덮개(80)를 씌워 덮개(80)를 통하여 표면마감부재(9)에 전달되는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채택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통로구조(7)에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열매체로서 온열매체탱크(90)의 온열매체와 냉열매체탱크(92)의 냉열매체를 이용하여 밸브(91a,93a)가 각각 설치된 공급라인(90a)(92a)을 서로 공통으로 연결한 공급라인(94)을 열매체통로구조(7)의 유입구와 연결 설치하고,
    열매체통로(7)의 배출부는 복귀라인(96)과 서로 연결하되 이를 중간에서 분지하여 순환펌프(98a,98b)와 밸브(91b,93b)가 각각 설치된 분지관(90b)(92b)을 각각 설치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매체탱크(90)의 온열매체는 온열매체탱크(90)의 내부에 가열수단(100)을 설치하여 온열매체의 온도가 낮아지면 이를 가열하여 적정의 높은 온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냉열매체탱크(92)의 냉열매체는 냉열매체탱크(92)의 내부에 별도의 냉각기(102)를 설치하여 냉열매체의 온도가 상승하면 이를 냉각시켜 적정의 낮은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하여 각각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시스템.
KR2020050036682U 2005-12-28 2005-12-28 조립식 온돌시스템 KR200411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82U KR200411735Y1 (ko) 2005-12-28 2005-12-28 조립식 온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82U KR200411735Y1 (ko) 2005-12-28 2005-12-28 조립식 온돌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641A Division KR100687652B1 (ko) 2005-12-28 2005-12-28 조립식 온돌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735Y1 true KR200411735Y1 (ko) 2006-03-16

Family

ID=4176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682U KR200411735Y1 (ko) 2005-12-28 2005-12-28 조립식 온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7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21B1 (ko) 2006-05-09 2007-06-12 민병창 조립식 온돌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751716B1 (ko) 2006-03-21 2007-08-23 김뢰호 건축물 층간바닥용 차음, 단열,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KR101550559B1 (ko) 2014-06-09 2015-09-04 코디 그룹, 엘엘씨 충격 및/또는 소음 감쇄형 온수 순환식 기초 바닥 패널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716B1 (ko) 2006-03-21 2007-08-23 김뢰호 건축물 층간바닥용 차음, 단열,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KR100727321B1 (ko) 2006-05-09 2007-06-12 민병창 조립식 온돌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550559B1 (ko) 2014-06-09 2015-09-04 코디 그룹, 엘엘씨 충격 및/또는 소음 감쇄형 온수 순환식 기초 바닥 패널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1896Y1 (ko) 조립식 온돌시스템
JP2009074743A (ja) ヒートポンプ式床暖房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られる蓄熱容器
KR200411735Y1 (ko) 조립식 온돌시스템
US20100218923A1 (en) Cooling / heating panel
KR101830681B1 (ko) 조립식 온수판넬
KR100727321B1 (ko) 조립식 온돌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687652B1 (ko) 조립식 온돌시스템
KR10069178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바닥패널
KR20080004185U (ko) 조립식 온돌패널
KR100633383B1 (ko) 온돌 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55955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냉난방 바닥구조
KR101004797B1 (ko)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237497B1 (ko) 개선된 조립식 온돌난방 시스템
KR100958414B1 (ko) 난방 구조
KR101170016B1 (ko)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반건식 욕실 난방 패널
WO2006051609A1 (ja) 冷暖房用建物壁構造
KR20060121490A (ko) 화장실용 바닥 난방 구조
KR20060125044A (ko) 공동 주택의 바닥 마감 모르타르 자재를 갖는 층간 충격음차단구조
KR10071271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바닥 패널 조립체
KR100663693B1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20050002149A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101170414B1 (ko) 개량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KR200324282Y1 (ko) 보일러용 온돌
JPS61184337A (ja) 床暖房用蓄熱槽
CN218721889U (zh) 一种采暖供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